View : 6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영자-
dc.contributor.author李知炫-
dc.creator李知炫-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9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4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8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42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wo types of story based on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sex role concepts on 5- and 6-year-old children's sex role perception that has been stereotyped more or less already. The problem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Will the children's sex role perception be influenced by two types of story based on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sex role concepts? 2. Will the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story types have different effect on boys and girls? 3. Will the Level of children's sex role stereotypes be correlated to the story effects? The subjects were 72 5- and 6-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They were assigned to 3 experimental conditions, that is control condition, nontraditional story condition and traditional story condition. the number of children and age distribution of groups were identical. The experiment was given individually in order of pretest, treatment and posttest. The tools of this experiment were 2 sex role stereotype tests and 4 experimental stories. The sex role sterotype tests that were used in pre- and posttest were revision of Ashby and Wittmaier's adjective checklists. Each test included 16 short stories. 4 experimental stories were two traditional stories applied to traditional group and two nontraditional stories to nontraditional group. In analysis of data, two-way ANOVA, Scheffte´'s multiple comparison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1. The children's stereotyped attitudes were alleviated, when they Listened to the story An which the sex roles of characters were described nontraditionally. 2. The children's stereotyped attitudes were not increased, when they Listened to the story in which the sex roles of characters were described traditionally. 3. The traits of characters that were presented An stories to show the sex roles of man and woman had a effect on the change of children's sex role perception more directly than the traits that were not presented. 4. The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story types have similar effect on boys and girls. 5. The level of children's sex role stereotypes was correlated to the story effect negatively.;본 연구는 전형적·비전형적 성역할 개념을 토대로 한 두 가지 유형의 이야기가, 이미 어느 정도 고정화된 5·6세 유아의 성역할 지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려고 하였으며 이런 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전형적·비전형적 성역할 개념을 토대로 구성한 두 가지 유형의 이야기는 아동의 성역할 지각에 영향을 줄 것인가? 2. 전형적·비전형적 이야기 유형은 남아와 여아에게 다른 영향을 줄 것인가? 3. 아동의 성역할 개념 고정화 정도는 이야기의 효과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인가?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대상자는 5·6세 아동 72명으로, 3가지의 실험조건에 남녀의 수와 연령분포가 동일하게 되도록 배정하였다. 실험절차는 사전검사, 실험처치( 통제집단 제외 ), 사후검사로 나뉘어 지며 모든 실험절차는 개별아동에 대하여 한자리에서 시행되었다. 실험조건은 통제조건, 비전형적 이야기조건, 전형적 이야기조건의 3가지이며 각 이야기 조건에 2가지씩의 실험이야기가 실험처치로 사용되었다. 사전·사후검사에 사용된 성역할 고정관념 검사는 Ashby와 Wittmaier가 국민학교 4학년 아동의 성역할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체크리스트를 우리 사회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맞고 아동에게 말로 설명이 가능한 짧은 이야기로 수정한 것이며, 사전·사후검사 각각 1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실험결과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이야기의 유형 및 피험자의 성별에 따르는 차이와 이야기에 제시된 인물특성이 이야기 효과의 직접적인 요인인지를 알기 위한 통계적 방법으로 각각에 대한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했으며 어느 이야기 유형의 효과가 더 큰지를 보기 위하여 Scheffe 방법에 의한 중다비교를 했고 각 아동의 성역할 개념 고정화 정도와 이야기 효과와의 상관관계를 알기 위하여 적률 상관계수 r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녀 등장인물의 성역할이 사회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반대로 제시된 이야기를 들은 아동은 아무런 이야기도 듣지 않은 아동에 비하여 전보다 고정화된 태도가 완화되었다. 2. 남녀 등장인물의 성역할이 사회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일치되게 제시된 이야기를 들은 아동은 아무런 이야기도 듣지 않은 아동과 마찬가지로 성역할 태도에서 큰 차이없는 반응을 나타내었다. 3. 남녀 등장인물의 성역할을 나타내기 위하여 이야기에 제시된 인물의 특성은 제시되지 않은 특성들에 비하여 아동의 성역할 지각을 변화시키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4. 전형적·비전형적 성역할 개념을 토대로 구성한 이야기는 아동의 성역할 지각을 변화시키는데 남아와 여아에게 비슷한 영향을 주었다. 5. 각 아동의 성역할 개념 고정화 정도와 실험이야기의 효과와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및 문제 = 5 C.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성역할 학습에 관한 제 이론 = 7 B. 선행 연구 = 13 1. 연령에 따른 성역할 태도의 발달양상 = 13 2. 아동의 성역할 태도의 성차 = 15 3. 성역할 고정관념의 기능 = 18 4. 이야기와 성역할 고정관념 = 22 C. 가설설정 = 25 Ⅲ. 연구방법 = 27 A. 실험대상 및 집단설정 = 27 B. 도구 = 28 C. 절차 = 32 D. 자료처리 = 34 Ⅳ. 결과 및 해석 = 36 Ⅴ. 결론 및 논의 = 42 참고문헌 = 49 부록 = 55 ABSTRACT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318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이야기-
dc.subject유아-
dc.subject성역할-
dc.subject유아발달-
dc.title이야기 유형이 5·6세 유아의 성역할 지각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tory types on 5- and 6- year-old children's sex role perception-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8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