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신자-
dc.contributor.author최성희-
dc.creator최성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0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6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7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681-
dc.description.abstract교수-학습과정에서 사용되는 교과서에는 거의 전단원에 걸쳐 삽화가 사용되고 있다. 이때 삽화는 단지 장식으로서 첨가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유발시키고, 교과내용의 이해와 전달을 돕고, 내용의 기억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삽화가 학습자에게 교과내용을 보다 빨리 정확하게 전달하는 교수매체라는 것을 인식할 때, 교육공학의 연구영역에 포함되어 근본적이고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적 목적은 삽화가 교과서 내에서 수행해야 하는 기능과 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삽화가 지녀야 할 기능적 속성에 관한 제 이론을 고찰하고, 이를 근거로 국민학교 교과서에 있는 삽화의 기능 및 그 실태에 관해 교사들의 의견을 조사하는데 있다. 본 조사연구의 대상으로는 서울시에 있는 7개 국민학교의 210명의 교사가 선정되었다. 7개 교육구청에서 한 학교씩을 임의로 선발 하였고, 선발된 각 학교에서 30명씩의 교사가 표집되었다. 총 대상자 210명의 교사에게 질문지가 배부되었고, 이 중 187부가 회수되었다. 국민학교 교과서에 있어서 삽화의 기능 및 실태에 관한 국민학교 교사들의 의견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과내용과 삽화의 내용은 일치하고 있었다. 2. 삽화의 표현방법과 색의 사용은 비교적 적절하였으나, 수채화가 주로 사용되었다. 3. 교과내용과 삽화내용을 명확히 전달해 줄 수 있는 Caption과 지시가 사용되지 않았다. 4. 교과내용이나 쪽과 관련해서 삽화의 배치와 크기가 적합하지 않았다. 5. 삽화의 표현은 주로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A brief glance at instructional textbooks shows that they are repleted with illustrations. Now, however, there is not much doing research on text illustrations. Illustrations in textbooks indirectly assist learning by keeping the student interested in the text, directly assist com-prehension by visually clarifying a point in the text, and assist later retention of information by being easier to recall than verbal ideas al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attributes as well as the functions of illustration in instruc-tional textbooks, and, through this research, to survey the teachers' opinions on the current conditions and functions of illustrations in elementary textbook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0 elementary teachers. Seven schools were stratifically random-selected from seven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in Seoul and 30 teachers in each school were drawn. 21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87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Finding were such as follows; 1. The illustration corresponded with the content of text. 2. The representation of illustration and the use of color were relatively appropriate, however, water color was largely used. 3. There was not much used "caption"and"label" to convey the text and illustration. 4. The position and size of illustration was irrelevant regarding the text and page layout. 5. The illustrations were the lack of dynamic proper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및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교과서에 있어서 삽화의 정의 및 가치 = 3 B. 삽화의 기능적 접근 (Functional Approach) = 7 C. 삽화의 기능적 속성 = 19 D. 삽화의 교육적 효과 = 35 Ⅲ. 질문지 조사결과 및 분석 = 38 A.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38 B. 연구의 결과 및 해석 = 40 Ⅳ. 결론 및 제언 = 48 참고문헌 = 51 부록 = 60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123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국민학교-
dc.subject교과서-
dc.subject삽화-
dc.subject시청각-
dc.title국민학교 교과서 삽화의 기능에 관한 조사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creator.othernameCHOI, Seoung-hee-
dc.format.pagevii,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시청각교육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