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태영-
dc.contributor.author이정옥-
dc.creator이정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0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2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7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242-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사회의 변화가 교육발전을 앞서가고 있는 오늘날, 교육이 교육의 기능을 다하자면 교육목표, 내용, 방법이 개선될 수 있는 새로운 교육혁신이 절실하다. 이러한 교육 위기 상황에서 20세기 통신 문명의 발달로 등장한 TV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의 연구 결과를 골고루 보여 오면서 교육을 위한 매체로 이용되었다. 그리하여 선진 각국에서는 TV 교육방송에 대한 여러 성공적인 사례들을 보여왔고, 우리 나라에서도 TV 교육방송이 본격적으로 시작된지 수년, 이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 연구는 방송 매체가 주는 영향력과 이에 따른 수용자 심리가 주축을 이루었을 뿐, 메시지를 구성하는 방송 제작자나 교육방송에 있어 성과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교사의 문제는 구체적으로 검토되지 않았다. 특히 TV교사(Television Teacher)는 TV 교육방송 체제 내에서 중요한 요원으로 활동하면서 메시지를 작성하고, 전달하여 수용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송신자로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요청된다. 본 연구에서는 ETV(Educational Television) 프로그램의 질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TV 교사의 위치와 역할 및 자질요건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함께, TV 교사의 제도에 관한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KEDI) TV 교육방송의 TV교사 4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한 현황 조사를 하고, 20명의 TV 프로듀서들과 인터뷰를 하여 앞으로의 보다 깊고 계속적인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일반적 사항, 선발, 훈련, 자질, 역할과 활동, 직업적 만족등 6개 요인에 의해 구성된 질문지의 조사 결과를 종합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KEDI 교육방송의 TV 교사들은 대부분 일선 교사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일정한 선발 기준이나 제도에 의하지 않고 개별적인 추천에 의해 선발되고 있었다. 선발된 TV 교사들은 프로듀서나 연구원들이 개별적으로 훈련을 맡고 있어 훈련 정도나 방법에 체계가 없고 편향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이들 TV 교사가 지녀야 할 자질 요건에 관해서는 프로듀서와 TV 교사가 거의 일치하고 있었으나, TV 교사가 교직 경험을 중요시 한 반면, 프로듀서는 스튜디오에서의 임기응변과 탤런트 기질을 중요시 하였다. 이 자질은 TV 교사들에게 가장 부족되고 있는 점이라고 프로듀서들은 말하고 있어 방송 기술 연수의 필요성을 강조해 주었다. 이들이 담당하고 있는 역할은 기본적으로 출연과 방송 원고 작성인데, 자료 준비, 프로그램 계획에까지 참여하는 적극적인 교사도 있었으나 대부분은 시간에 쫓겨 실제 원고 작성이나 연습에 많은 시간을 투여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재 TV 교사들의 활동에 있어서도 시청각 자료 사용, 출연 기술등에 더욱 훈련을 필요로 했다. 앞으로의 보다 나은 프로그램을 위한 방송 후 평가와 피이드백 체제에 있어서도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피이드백 체제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직업적인 만족에 있어 TV 교사들은 주로 사명감과 자신의 적성에 맞는다는 이유로 활동을 계속하기를 원했고, 그만둘 생각이 있는 사람들은 다른 직업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 일에 전념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 그만두고자 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교육 관계 기관의 협조로 TV 교사들이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갖게 되고, 경제적·사회적인 신분 보장이 되고, 선발과 훈련 제도가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이들의 활발한 활동으로 ETV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몇가지 제언을 해보고자 한다. 첫째, 바람직한 TV 교사가 지녀야 할 자질을 설정하고, 방송 전문가와 교육 전문가 등으로 이루어진 선발 위원회가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엄격한 테스트에 의해 선발된 TV 교사가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세째, TV 교사의 활동 결과를 만족스럽게 이루기 위해 충분한 시간을 이에 할애할 수 있는 제도적 배려가 있어야겠다. 즉, 파견 근무나 현직에서의 업무량을 줄여 주는 등, 교육 관계 기관의 협조가 있어야겠다. 네째, TV 교사의 자격 범위를 확대하고 전문 TV 교사를 양성하여야 한다. 다섯째, 제작자와 TV 교사(송신자), 그리고 교실 교사와 학생(수신자)간의 피이드백 체제가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져야겠다.;The changes of the modern society are very rapid, even preceding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For education to be fully functioned, it is keenly necessary that the purposes, the content and the methods of education be innovate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society. Today is called the era of educational crisis. In such a situation, television, a typical brainchild of twentieth century civilization, has been utilized as a medium of education. But many researches revealed that television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in utilizing it as an educational medium. Many successful cases were reported about the educational television (ETV) in some advance countries, and several years have passed since Korea full-fledgedly launched television educational broadcasting, and now it is under brisk discussion. There are many researches on educational television. Most of them were centered around the influences of broadcasting media, and the audience's psychological attitudes towards that media, but few of them examined or studied the producer or the TV Teachers, who respectively constitute the message of the program and can be said to decide the ultimate results of the program. Especially the TV teacher of TV program plays very important roles and activities in deciding its quality, and composing and transmitting the messages to the audience and influencing them immediately. So systematic research is necessary on the TV teacher in ETV. The present study aims at providing a basis for further and more systematic research on the TV teachers in educational program. For this purpose, frist,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the position, the role and the qualifications of the TV teacher were surveyed in literature. Second, questionnaires about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TV teacher employement system were given to the 49 TV teacher at KEDI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it were analyzed. And, third, interviews with 20 producers at KEDI were made about the whole of television educational broadcasting in Korea. The questionnaires were constituted of 6 factors- the general matters, the selection, the training, the qualification, the role, the activity,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as a vocation of the tv teachers. Its results were analyzed as follows. The TV teachers at KEDI were mainly the school teacher, selected by personal recommendation, not by an established standard to system. They were being trained by producers of researchers at KEDI without any systematic enthods. And about the qualifications of the TV teachers, though, the TV teachers themselves and the producers have the same idea in the most areas, the TV teachers generally made much of their educational career of experience, while the producers thought more of the studio. What was specially worthy was that most of the TV teachers responded to be difficient about the latter. The roles of the TV teachers were basically the performance in the studio and the preparation of the script. Occasionlly they participated in collecting materials and planning the programs. But they did not spend enough time in preparing the scripts and in practising the taping. And they needed more training in suing the materials and in skills of performance when taping. They didn't get the systematic and continuous feedback system that they could evaluate their programs after on air. What they felt dissatified with their activities was that they do not spend enough time in preparing the taping, which was mainly caused by lack of cooperation of the educational institute concerned. But many TV teachers wanted to continue to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of TV programs, if financial and social advantages were given to them. Based on the above analysis, some suggestions were made. 1. TV teachers should be selected by the TV Teachers Selection Commette composed of specialists in education and broadcasting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regulations about the qualifications for the TV teachers. 2. Training system for the TV teachers selected through a strict test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make them play their roles desirably. 3. Sufficient time should be available for the smooth activities of the TV teachers. For this, there should be cooperation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concerned, such as letting them serve in the broadcasting institute provisionally or reducing the amount of their work at school. 4. The range of the qualifications for the TV teachers should be expanded, and furthermore, professional TV teachers should be cultivated. 5. Feedback system between the senders (producers and TV teachers) and the receivers (classroom teachers and the students) should be establish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및 목적 = 1 B. 연구의 문제 및 방법 = 4 C. 용어의 규정 = 7 Ⅱ. 이론적 배경 = 12 A. 교육에 있어 ETV의 활용과 TV 교사 = 12 B. TV 교사의 위치 및 역할 = 19 C. TV 교사의 자질 요건 = 31 Ⅲ. 연구의 결과 및 분석 = 38 A. 응답자의 일반적 특징 = 38 B. TV 교사의 선발 = 41 C. TV 교사의 훈련 = 45 D. TV 교사의 자질 요건 = 48 E. TV 교사의 역할 및 활동 = 53 F. TV 교사의 직업적 만족도 = 65 Ⅳ. 결론 및 제언 = 71 참고문헌 = 77 부록 = 80 ABSTRACT =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494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ETV-
dc.subject텔레비전-
dc.subject교사-
dc.subjectEDUCATIONAL TELEVISION-
dc.titleETV에 있어서 텔레비젼 교사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V TEACHER IN EDUCATIONAL TELEVISION-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시청각교육과-
dc.date.awarded198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