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1 Download: 0

認知的 觀點에서 본 어머니와 幼兒間의 質問-對答에 관한 硏究

Title
認知的 觀點에서 본 어머니와 幼兒間의 質問-對答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Question-Answer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and Preschool Children Viewed in Cogitive light
Authors
이강미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인지적 관점어머니유아질문-대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귀윤
Abstract
1 . 연구의 목적 인지발달의 중요성을 점차 인식하게 됨에 따라, 이에 관련이 큰 언어 교육 측면이 유아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강력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최근의 교육경향에 입각하여 성인-아동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어머니의 질문유형과 아동의 대답능력을 분석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갖고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1)어머니와 아동의 질문-대답 상호작용 중 어머니가 주로 많이 사용하는 질문유형은 무엇인가? 이것은 아동의 연령 ,성(性) 및 어머니의 교육정도와 관련이 있는가? 2)아동은 어떤 질문유형에 더 잘 대답하고 있는가? 이러한 아동의 대답능력은 아동의 연령별 ,성별 ,그리고 어머니의 교육정도와 관련이 있는가? 3)아동의 대답이 부적절했을 경우, 어머니는 주로 어떤 유형의 후속보조질문( follow-up question )을 많이 사용하는가? 또 이것은 아동의 연령별 ,성별 및 어머니의 교육정도와 관련이 있는가? 4)다양한 언어자극환경 변인들 중 아동의 대답능력에 더욱 크게 관련되는 변인은 무엇인가? 2 .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며 물리적 환경이 비슷하고 경제적 수준이 중정도라고 생각되는 거주지역에 살고있는 만 3세와 5세의 취학전 아동 60명과 그들의 어머니로 되어있다. 먼저, 어머니의 질문유형과 아동의 대답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섯장으로 구성된 그림을 사용하였다. 이것을 어머니에게 제시하여 아동에게 자유롭게 질문할 수 있도록 한 후 이에 대한 아동의 대답과 함께 녹음하여 자료처리하였다. 둘째로 언어자극환경과 아동의 대답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별도로 제작된 설문지를 어머니에게 배부하여 따로 수거하였다. 검사결과 수집된 자료로, 연구문제 1과 3을 조사하기 위하여 x^(2)와 t-test를 적용하였으며, 연구문제 2를 알아보는 데는 t- test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연구문제 4의 검증을 위해서는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3 . 연구의 결론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질문유형은 아동의 연령에 따라 의의있는 차를 보였다. 어머니의 교육정도와는 부분적인 차를 보였고, 아동의 성별과는 별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각 질문을 형태별 및 인지적 난이도별로 살펴보면, 자유형 질문과 난이도 수준이 높은 질문들은 연령이 높은 아동에게,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은 아동에게, 그리고 여아에게 많이 던져지고 있었다. 전체 질문빈도의 순을 보면, 전체적으로 어머니들은 선택형 보다는 자유형 질문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질문의 90 % 이상이 인지적 난이도 수준I (네 /아니오)과 Ⅱ(이름 붙이기 )에 머루르고 있음이 밝혀졌다. 2) 아동의 대답능력은 연령에 따라 의의있는 차를 나타냈다. 아동의 성 (性) 및 어머니의 교육정도와는 부분적인 면에서만 관련이 있었다. 즉, 아동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전체적인 질문에 대해 잘 대답하고 있었다. 또, 여아는 남아보다 자유형 질문과 난이도 수준 Ⅲ,Ⅳ의 질문에 대해 더 잘 대답하고 있었고,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은 아동이 자유형 질문 및 인지적 난이도별 질문에 대해서도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아동이 획득한 점수의 순은 아동의 연령 ,성별 ,그리고 어머니의 교육정도에 상관없이, 인지단계가 낮은 질문에 더 높은 점수를 보여 주었다. 3)어머니의 후속보조질문은 아동의 연령 ,성별 ,어머니의 교육정도에 따른 의의있는 차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그러나 아동이 적절한 대답을 못했을 경우, 문장의 내용은 그대로 두고 문장요소간의 위치만 변형시켜 다시 질문하는 사례가 가장 많았다. 4)아동의 연령별 대답능력을 예언해 주는 언어발달 자극환경의 하위 변인의 종류는 질문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3세 아동의 경우 '다양한 장면에서의 언어사용 강조' 가, 5세 아동의 경우에는 '정확한 언어사용의 강조' 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Gradually according to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ognitive development, the assertion that language education must be emphasiz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ecomes strong. This Study based on that fact has two main Purposes : The first one is to analyze the types of mothers 'question and children's answering ability, the second one is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 variables affecting them. The problem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What types of question does the mother use during the interaction of question-answer with her child? And do these question types would differ according to child's age, sex, and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2) What are the mother's question types that the child gives better answer? And do these child's answering abilitis would differ according to child's age, sex, and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3) What types of follow-up question does the mother use in the case of child's inappropriate answer? And do these follow-up questions would differ according to child's age. sex, and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4) What are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predict child's answering ability at each age among various environments stimulating Language development?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60 children at age 3 and 5 in Seoul, and their mothers. They are middle class children. To investigate the types of mother's question and child's responses, 5 sheet of pictures were utilized, and their interaction was recorded. The inventory of environmental process variables originally constructed by Wolf (1969) was used to measure the environments stimulating language development. It contained 3 sub-variables and was constructed of 20 items. The data of present study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of x^(2), t-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types of mother's question were differed according to child's ag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was found partially significant in mother's question according to form and cognitive levels, and no sex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in the types of mother's question. It was found that mother used more open questions than the closed, and more than 90% of the questions were cognitive level Ⅰand Ⅱ. 2) Age differences were found significant in child's answering ability. Child's sex and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were found partially significant in the child's answering ability according to from and cognitive level of question. The closed question and the question of low cognitive level were shown high score by children. 3)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mother's follow-up question according to child's age, sex, and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But, the third type (in the case of child's inappropriate answer, mother exchanges the locations of constituents in the sentence)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to mothers. 4) The kind of environment stimulating languag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predict children's answering ability at each age differed according to types of ques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