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경식-
dc.contributor.author李進炯-
dc.creator李進炯-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4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7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4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734-
dc.description.abstract本 논문은, 사람들이 궁극적인 삶의 목적으로 추구하는 善에 대한 쾌락주의의 입장을 고찰하여, 이 입장이 도덕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합당할 이론인지 살펴보았다. 쾌락주의(hedonism)에서는, '쾌락'만이 궁극적인 삶의 목적으로 추구되는 유일한 내재적인 善이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이러한 쾌락주의의 입장으로 古代 희랍의 Aristipus의 극단적인 현세적 쾌락주의, Epicurus의 美的 만족과 知識 등의 원천에서 나오는 영속적인 쾌락을 주장한 것을 살펴보고, 近世 영국의 공리주의자인 Jeremy Bentham의 量的 쾌락주의를 보았다. 그런데 Bentham의 입장은 쾌락을 一元的으로 단순화시켜, 그 質的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모든 쾌락을 量的으로 환산하여 계산할 수 있다고 주장하여, 쾌락의 量的인 분량 만을 중시하였다. 따라서, 도덕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理論으로 현세적 쾌락주의나 量的 쾌락주의의 입장을 무조건 받아들이기에는 지나친 '쾌락'만의 추구로 비도덕적인 영향을 들 수 있기 때문에 합당하지 못한 입장이었다. 그래서 쾌락의 質的 차이를 인정 함으로서 쾌락주의의 입장을 발전적으로 전개한 J.S. Mill의 질적 쾌락주의가,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도덕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유력한 대안이라고 보았다. 그렇다면, 이러한 쾌락주의가 도덕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이론으로서 정당화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는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윤리설로서의 목적론적 윤리설과 의무론적 윤리설을 알아보았다. 또 목적론 속에서, '누구의 善을 최대로 조장하는가'라는 견해에 대한 윤리적 이기주의, 심리적 쾌락주의, 윤리적 쾌락주의를 보았다. 그리고 사람들이 삶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善의 다른 요소는 어떤 것이 있을 수 있는지, 쾌락 이외 다른 요소도 내재적인 善이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Aristoteles의 知的 우수성, Stoics의 도덕적 우수성, Nietzsche의 권력, F.H. Bradley의 자아실현 이라는 一元論的 입장과 知識·快樂·美 등의 여러요소가 내재적인 善이 될 수 있다는 多元論的인 입장을 보았다. 그런데, 이렇게 '쾌락' 이외의 다른 요소도 내재적인 善이 된다는 입장은 엄밀한 의미에서 J. S. Mill의 質的 쾌락주의 속에 포함 되거나, 그 속에서 해소될 수 있다. 즉, 질적인 우열을 주장하는 가운데, 자연히 쾌락 이외의 善이 포함되는 것이다. 그래서 쾌락주의의 입장이 그 이론적인 한계에도 불구하고, 도덕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이론으로 비쾌락주의의 입장보다 정당화될 수 있다고 보았다. 위의 論義로써, 도덕 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이론으로 쾌락주의에 입각해서 본 善의 연구가 그 이론적인 타당성을 더하기 위해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善의 내용이 옳은 것인지 볼 수 있는 義의 연구가 병행되어져야 하고, 知識에 대한 올바른 관점을 가지도록 해야 하며, 현대 윤리학의 거센 물결인 분석철학의 입장에서도 善의 연구가 전개되어야 하고, 윤리적 상대주의라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그렇게 함으로써, 쾌락주의에 입각한 善의 연구가 논리적인 모순을 포함하지 않고, 현 시대의 가치의식과 조화되며, 진보적인 원리로서 창조적인 일면을 지닐 수 있는 이론으로 발전한다고 본다.;This paper is a general survey of the good which people pursue their ultimate aim of life on the point of view in hedonism. And then, we would come to know whether the hedonism′s argument is a resonable theory in setting up the direction of moral education. Hedonism is the theory that only pleasure or happiness defined in terms of pleasure is intrinsically good. In hedonistic view of what is intrinsically good, the Greek philosopher Aristipus asserted the immediate pleasures. Epicurus held the long-term pleasures, aesthetic satisfaction and knowledge. On modern age, Jeremy Bentham′s is quantitative hedonism, the theory that pleasure is of one kind only, differing merely in quantitative aspects, not in quality. Another hand, John Stuart Mill′s qualitative hedonism claims that pleasures differ qualitative as well as quantitatively. In order to justify hedonistic theory, we researched teleological ethics, deontological ethics, and ethical egoism, psychological egoism, psychological hedonism and ethical hedonism that hedonistic theory is authenticated in their theories. But their theories are not perfect theories to justify hedonistic theory, for they have their theoretical limitations. And in order to justify hedonistic theory, we surveied non-hedonistic theories. In the contrast with hedonistic theory, non-hedonistics insisted on the intrinsic good; Non-hedonistics insisted on the intrinsic good; Aristoteles stressed the intellectual excellence, the Stoics emphasized moral ones, Nietzsche identified the good with power, F.H. Bradly hold that the good we seek is self-realization. But it looks as though the hedonistic theory is stronger claim than ideological non-hedonistic theories, for the higher pleasures, J.S.Mill would have termed them, include the ideal. On the basis of above discussions, if a study of the good on the viewpoint of hedonism added to validity, should be studied of the right, should be studied of the good from the point of analytic philosophy in contemporary ethics, and the problem of the ethical relativism should get solved. And then, the study of the good on the viewpoint of hedonism will become a theory that is excluded of logical contradiction, harmonized of our contemporary values, and created of the progress princip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論文槪要 = ⅴ Ⅰ. 序論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2 Ⅱ. 윤리학에서의 善의 의미 = 3 A. 윤리학에의 몇가지 접근 = 3 B. 善의 개념에 대한 분석 = 7 Ⅲ. 善에 대한 快樂主義의 입장 = 13 A. 쾌락주의의 古典的 유형 = 13 B. 쾌락주의의 발전적 전개 = 21 Ⅳ. 쾌락주의의 정당화 문제 = 27 A. 쾌락주의의 이론적 근거 = 27 B. 쾌락주의에 대한 반론들 = 35 Ⅴ. 結論 및 제언 = 42 참고문현 = 45 ABSTRACT = 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837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쾌락주의-
dc.subject-
dc.subject윤리교육-
dc.subject철학적 기초-
dc.title快樂主義를 중심으로 한 善의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倫理敎育의 哲學的 基礎로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GOOD ON THE VIEWPOINT OF HEDONISM :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ethical education-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8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