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2 Download: 0

초·중학생의 교육과정에 대한 의견 및 교육적 요구

Title
초·중학생의 교육과정에 대한 의견 및 교육적 요구
Other Titles
(A) Study on Students Opinions of Curiculu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uthors
권명혜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초·중학생교육과정의견교육적 요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귀윤
Abstract
Ⅰ.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students as to Public School Curriculum. The specific problem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Educational Objectives a. priority b. courses of study suitable for educational objectives 2. The Organization of learning experiences a. Validity of Contents b. Scope c. Integration d. Sequence e. Continuity f. Social efficiency 3. Instructional strategies 4. Instructional evaluation Ⅱ. Methods The final sample who were 6th and 9th graders consisted of 187 respondents and showed 78.5 percent return rate. The questionnaire, Educational opinions and Needs for Curriculum of Studen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as developed by researcher in the study. Ⅲ.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Educational Objectives a. Priority The students, regardless of sex and the level of schools, gave the order of priority on the educational objective as follows: mental capacity and technical ability, building up moral personality, national common consciousness, sound body and mind. But the Minister of Education gave the order of priority on the educational objectives as follows: mental capacity and technical ability, national common consciousness, sound body and mind, building up moral personality. So, the students showed no disagreement with the objective: mental capacity and technical ability. But they showed educational needs and changes in following objectives: building up moral personality, national common consciousness, sound body and mind. b. Courses of study suitable for educational objectiv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6th graders didn't exactly know the objectives of courses: Music, Art, the Korean language and Special Activity and the 9th graders didn't exactly know the objectives of courses: Art, English and Chinese Composition 2. The Organization of learning experiences a. Validity of contents: The 6th graders showed educational needs on Morality, Physical Education, Music, Practical Course and Special Activity and the 9th graders on the history of Korean, Music and Art. b. Scope: The 6th graders showed educational needs on special activity and the 9th graders on Chinese Composition. c. Integration: The 6th graders showed educational needs on Calculation, Physical Education, Art, Music and Special Activity and 9th graders no educational needs on any courses. d. Sequence: The 6th graders showed educational needs on Art and Special Activity and the 9th graders on Physical Education and Chinese Composition. e. Continuity: The 9th graders showed no educational needs on any courses. f. Social efficiency: The 6th graders showed educational needs on Special Activity and the 9th graders on Physical Education and Art. 3. Intructional Strategies The 6th graders showed educational needs on Morality, Society, Calculation, Science, Physical Education, Music and Practical Course. The 9th graders showed educational needs on Science and Art. 4. Insturctional evaluation The 6th greders showed educational needs on Caculation, Physical Education, Muscic, Practical Course and Special Activity. The 9th graders showed educational needs on Morality, The Korean Language, Society, Mathematics, Science, Chinese Composition, English and Industry-Domestic.;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를 조사하려는 것이 목적이었다. 연구를 위해 설정한 문제는 다음 네 가지였다. 1. 교육목적 ① 우선순위 ② 각 교육목적 실현을 위한 교과목 2. 교육내용의 구성 및 조직 ① 내용의 타당성 : 내용의 난이도 ② 범위 : 배울 분량 ③ 통합성 : 다른 과목과의 관련성 ④ 계열성 : 다른 학년과의 관련성 ⑤ 계속성 : 국민학교때와의 관련성 ⑥ 내용의 유용성 : 실생활과의 관련성 3. 수업방식 4. 수업평가방식 연구대상은 국민학교 6학년과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었으며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설문지 "국민학교·중학교 학생의 학교교육에 대한 관심 및 요구조사"를 연구도구로 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육목적 ① 우선순위 성별, 학교별에 관계없이 학생들은 교육목적에 대한 우선순위를 지력과 기술의 배양, 도덕적 인격의 형성, 민족공동체 의식의 고양, 건전한 심신의 육성 순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반면 현 교육과정은 교육목적의 우선순위를 지력과 기술의 배양, 민족공동체 의식의 고양, 건전한 심신의 육성, 도덕적 인격의 형성 순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학생들은 교육목적 : 지력과 기술배양에 대해서는 현 교육과정과 강조의 정도가 일치하고 있으나 민족공동체 의식의 고양, 건전한 심신의 육성, 도덕적 인격의 형성이라는 교육목적에 대해서는 교육적 요구를 나타내고 있었다. ② 각 교육목적 실현을 위한 교과목 국민학생은 국어, 음악, 미술, 특활에서 교육적 요구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중학생은 미술, 영어, 한문에서 교육적 요구를 나타내고 있었다. 2. 교육내용의 구성·조직 내용의 타당성에 있어서는 국민학생이 도덕, 체육, 음악, 실과, 특활에서 중학생을 국사, 음악, 미술에서 교육적 요구를 나타내고 있었다. 범위에 있어서는 국민학생이 특활에서 중학생은 한문에서 교육적 요구를 나타내고 있었다. 통합성에 있어서는 국민학생이 산수, 체육, 음악, 미술, 특활에서 교육적 요구를 나타내고 있었으나 중학생은 어느 과목에서도 교육적 요구를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 계속성에 있어서 중학생은 어느 과목에서도 교육적 요구를 나타내지 않고 있었다. 내용의 유용성에 있어서는 국민학생이 특활에서 중학생은 체육, 미술에서 교육적 요구를 나타내고 있었다. 3. 수업방식 국민학생은 도덕, 사회, 산수, 자연, 체육, 음악, 실과에서 교육적 요구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중학생은 미술, 과학에서 교육적 요구를 나타내고 있었다. 4. 수업평가방식 국민학생은 산수, 체육, 음악, 실과, 특활에서 교육적 요구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중학생은 도덕, 국어, 사회, 수학, 과학, 한문, 영어, 실업·가정에서 교육적 요구를 나타내고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