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0 Download: 0

재생가능 에너지 교육 현황 분석

Title
재생가능 에너지 교육 현황 분석
Other Titles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Renewable Energy Education : with special emphasis on formal and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Authors
민여경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희
Abstract
화석연료의 고갈이라는 에너지위기와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라는 환경위기는 인류가 당면한 주요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1ㆍ2차 오일쇼크를 겪으며 재생가능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고, 재생가능에너지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에너지교육에 있어서 재생가능에너지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교 환경교육과 사회 환경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생가능에너지 교육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학교 환경교육에서는 첫째, 중학교의 제 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에너지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환경, 과학, 사회, 기술ㆍ가정 교과서를 분석하고, 에너지관리공단이 지원하고 교육인적자원부와 16개 시도교육청이 지정하여 운영되고 있는 에너지절약 정책연구학교 중 2004년에 지정ㆍ운영된 중학교 7개교의 운영보고서를 분석하였다. 사회 환경교육에서는 에너지관련 주요 단체의 교육ㆍ홍보활동을 중심으로 조사ㆍ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교 환경 및 환경관련 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재생가능에너지에 관련된 내용을 분석한다. 둘째, 에너지절약 정책연구학교의 운영사례분석을 통해 학교교육에서의 재생가능에너지 교육 실태를 조사한다. 셋째, 에너지와 관련된 주요 단체의 활동 조사를 통해 사회교육에서의 재생가능에너지 교육 실태를 조사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환경 교과서 3종을 분석한 결과 에너지와 관련된 내용을 전체교과서 분량의 약 30%(77.6쪽), 재생가능에너지와 관련된 내용은 지면의 1.1%(3쪽)정도의 지면을 할애하고 있었다. 에너지와 관련된 대한 내용은 ‘에너지 절약’과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에 대한 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다. 재생가능에너지에 대해서는 ‘재생가능에너지의 정의와 종류, 장단점’, ‘재생가능에너지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일부 소개하고 있었다. 소개되는 형식도 내용설명보다는 사진을 삽입하여 참고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환경관련교과인 과학, 사회, 기술ㆍ가정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각 교과서에서 에너지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는 분량은 전체 쪽수에 비교해서 과학 약 14.9% (50쪽), 사회 약 8.7%(17쪽), 기술ㆍ가정 약 5.4%(12쪽)를 차지하였다. 과학과 기술․가정 교과서에서는 재생가능에너지에 대한 내용은 없었다. 사회교과서에서 재생가능에너지에 대해 다룬 분량은 전체 쪽수에 비교해서 1.1%(2.25쪽)이며, 그 내용을 살펴보면 ‘에너지와 사회’ ‘재생가능에너지의 잠재량’, ‘에너지의 문제’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 적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었다. 둘째, 2004년에 지정되어 2년간 운영된 7개교의 에너지절약 정책연구학교의 운영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에너지교육은 창의적 재량활동시간을 활용하고 있으며, 전 교과에 걸친 분산적인 접근을 통해 모든 교과에서 에너지절약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 외 특별활동, 현장체험교육, 초청강연, 시청각 교육, 에너지절약 신문 발간, 가정통신문 등을 통해 에너지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에너지절약 정책연구학교에서는 에너지절약 교육을 중점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재생가능 에너지에 대한 교육은 일부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었지만 중점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셋째, 사회 환경교육의 조사대상인 3곳의 에너지교육에서 재생가능에너지 교육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다. 에너지전환은 재생가능에너지 교육을 선도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주요 역할을 하고 있고, 에너지시민연대의 경우 에너지절약 교육ㆍ홍보를 중심으로 활동을 하면서, 지역을 기반으로 한 재생가능에너지 교육에 주력하고 있었다. 에너지관리공단은 에너지절약 교육을 주요활동으로 하면서 재생가능에너지 교육에도 일정부분 지원을 하고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status of renewal energy education fulfilled in formal(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and non-formal(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The exhaustion of fossil fuel and climate change by global warming is being a major issue which human being has encountered with and the interest about renewal energy has increased suffer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Oil Shock.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with regard to renewable energy has begun to rise as the importance of renewable energy has been recognized.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in 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At first, environment, science, society, home and technology textbooks including the contents regarding energy suggested in the 7th curriculum in junior high school were analyzed and the administration reports of seven junior high schools appointed in the year of 2004 were analyzed. Seven junior high schools were appointed among Schools for Energy Policy Research supported by Korea Energy Management Cooperation and appointed and oper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and 16 offices of education of cities and provinces were analyzed. In non-formal(social) environment education, it is searched and analyzed mainly in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activity of energy-related organizations. To address the purpose of the study, as following questions were asked. First, it is to analyze the contents related to the renewable energy dealing in junior high school environment and environment-related textbook. Second, it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he renewable energy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through analyzing the example of operation of Schools for Energy Policy Research. Third, it is to research the status of the education of the renewable energy in social education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activity of main organizations related to energy. The conclusion reached by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 of analyzing three environment textbooks of junior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the contents regarding energy are allowed 30%(77.6pages)of the textbook an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renewable energy are allowed 1.1%(3pages). The contents with regard to energy are mainly mentioned by ‘energy saving’ and ‘efficient use of energy’. With regard to the renewable energy, ‘the definition, kinds, and merits and demerits of the renewable energy’ and ‘the necessity of the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are partly introduced. In the result of investigating science, society, home and technology textbooks related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the ratio of the contents related energy in each textbook covers 14.9%(50 pages) in science, 8.7%(17 pages) in society, 5.4%(12 pages) in home and technology comparing with the whole pages. In science, home and technology textbooks, contents of the renewable energy are not mentioned. The ratio of contents of the renewable energy is 1.1%(2.25 pages) compared with the total pages of society textbook and the contents cover ‘energy and society’ and ‘the potential amount of renewable energy’. Second, i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administration reports of seven junior high schools appointed in the year of 2004 among Schools for Energy Policy Research, the energy education is executed in creative discretion and through the dispersed approach, the energy-saving education is accomplished throughout the whole curriculum. In conclusion, Schools for Energy Policy Research focuses on energy-saving education and the renewable energy education is partly executed. Third, the renewable energy education is highly dealt in energy education in Centre for Energy Alternative, Korea NGO's Energy Network, and Korea Energy Management Cooperation, which are the major three energy-related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organizations. Centre for Energy Alternative initiates the renewable energy education. Korea NGO's Energy Network mainly executes energy-saving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activity and focuses on the renewable energy education based on regions. Korea Energy Management Cooperation also stresses on energy-saving education and partially supports for the renewable energy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