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성효현-
dc.contributor.author김효정-
dc.creator김효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0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1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2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129-
dc.description.abstractKnowledge-wise community and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 has brought out new system of educational paradigm which is accumulation, generation and delivery format of system. Thus,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have newly revised educational theory and method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method commonly used in industrialized society in the past. In other words, the society in need of the student and teacher whom has ability to store and deal with knowledge by themselves. These phenomena ultimately caused change on point of view by arising issue of what has to be subject during the class and what method has to be applied for class. Educational system that use advance technology, limit the teacher's role during the class and also required to change concept of normal class in the past. As nowadays society pursuing essential change on educational system, It also applied to the educational system of geography. Therefore purpose of this study are follows in below. First, evaluate the efficiency of utilizing multimedia GIS by understanding the problem caused during the class and observe whether student joined the class with self directed Learning. Second, score comparison between class using multimedia GIS and class without using multimedia GIS. Analysis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type of classes and assess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class with using multimedia GIS. Evaluate the achievement score in the four aspects that considered to be primary factors in society education, knowledge & comprehension,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 expression and value &attitude. Third, understand how much student satisfy and amaze with mulitimedia using education system by survey. Make grasp how much multimedia GIS effected on student score and what needs to be improved for having more efficiency. Furthermore understand whether student joined the class with self directed learning and whether student understand daily lesson by collecting opinion from each student. Results gain through this study follows in below. First, Multimedia GIS enable the student to possess self directed learning and motivated to learn by intriguing them in every way. Multimedia GIS ultimately bring out tremendous improvement on student's score and comprehension level. Furthermore Multimedia GIS strengthen team spirit of students and make them being cooperative with each other. Class using multimedia GIS also make inferior student to catch up with other student by grouping study. The study shown that those inferior student became spontaneously joined the class and interested in learning during the class using multimedia GIS. The score of thes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nd score difference between student in upper level and in low level narrowed down. Second, the level of comprehension and interest has improved according to the survey conducted after applying class planned with multimedia GIS. It is proved the fact again that class using multimedia GIS has positive effect in overall aspect. As you can see the results of above, this study invaluable enough when it is comes to applying new way of teaching into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Further study on using multimedia GIS will definitely enhance its usage and efficiency in the class.;지식 기반 사회의 도래와 정보 기술의 발전은 지식을 생성, 축적, 전달하는 교육 패러다임의 재구조화를 가져왔다. 따라서 지식 기반 사회의 교육 패러다임은 산업 사회와는 다른 수업 이론과 수업 방법을 요구하고 있다. 즉 첨단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보급으로 인해 사회는 많은 정보를 생산하고 이를 저장, 처리하게 되는 능력을 교사, 학생에게 요구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로 학교현장에서는 학습의 내용이 무엇이어야 하며 교실 내 수업은 어떻게 진행되어야 되는가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이 제기되며 여러 교수기법과 학습에 대한 관점도 변하고 있다. 첨단매체의 활용을 통한 교육방식은 발달된 기계를 교사 대신 사용한다는 소극적 차원에서 학습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요구하며 보다 근본적인 교육환경의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지리교육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요구가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여 지리수업에서 첨단 정보기술인 멀티미디어 GIS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려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멀티미디어 GIS를 적용한 수업에서 수업관찰을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에서 협동학습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와 수업진행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멀티미디어 GIS 활용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실험반의 평소 학업성취도와 멀티미디어 GIS를 활용한 수업 적용 후 실시된 학업성취도와의 차이를 분석하여 멀티미디어 GIS 활용 학습의 교육적 효과를 살펴본다. 이때 학업성취도는 사회과 교육에서 지향하는 네 가지 목표인 지식·이해 영역, 문제해결 영역, 의사 표현 및 소통 영역, 가치·태도 영역의 목표에 따라 학업성취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수업반응 설문조사를 통해 평소 수업과 멀티미디어 GIS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흥미도, 이해도를 비교하고 멀티미디어 GIS를 활용한 수업에 대하여 수업만족도와 지리수업의 개선정도나 향후 수업활용도에 대한 생각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GIS를 활용한 수업을 통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력 향상 정도와 지리 지식 및 기능 획득 정도와 탐구력 향상정도를 파악하려고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한 학급(34명)을 대상으로 실험수업이 이루어졌으며 단원은 10학년 사회 과목에서 지형과 인간생활 단원 중 하천과 인간생활에 적용되었다. 학습지와 학습자의 사고 전개 과정을 확인하기 위하여 학습자에 대한 관찰 분석과 학업성취도 및 수업반응에 대한 설문조사가 실시되어졌다. 학업성취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험반 34명의 중간고사 지리 성적과 실험 수업 후 학습지에 대한 학업 성취도 평가를 비교·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한 통계기법으로 T-검정(T-test)을 사용하였다. 실험 수업 후 수업반응에 대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설문내용은 수업에 대한 흥미도, 이해도와 멀티미디어 GIS를 통해 얻게 되는 능력에 대한 부분과 멀티미디어 GIS의 전반적인 의견을 묻는 내용으로 멀티미디어 GIS에 대한 수업 반응도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5단계의 리커트 척도(Likert Scale) 방식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멀티미디어 GIS는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며 학습자에게 학습동기를 제공하여 주고, 흥미도와 이해도를 촉진시키며 자기조절 학습이 이루진다는 점에서 교육적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자기주도적 학습에서 협동학습은 지적인 영역은 물론이고 정의적 영역에서도 탁월한 수업효과를 거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GIS를 활용한 협동학습은 가치교육 측면에서 교육적 효과를 가지며 특히 수업에서 학습부진아의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 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멀티미디어 GIS는 학업성취도 개선에 크게 기여한다는 것이다. 평소 학업성취도에 비해 실험 수업 후 학업성취도의 평균점수가 높아졌고 표준편차도 크게 줄어들어 학업성취도 개선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특히 학업부진아의 학업성취도가 높아졌다. 셋째, 멀티미디어 GIS를 이용한 수업후 설문지 분석결과 흥미도, 이해도가 향상되었으며 향후 멀티미디어 GIS 수업활용에 대하여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다. 이상의 결과로서 볼 때 본 연구는 새로운 교수매체의 적용이라는 하나의 시도로서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멀티미디어 GIS는 향후 연구를 통해 멀티미디어 GIS의 기능성과 교육적 활용 가능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1 B. 연구의 방법 = 4 C. 선행연구 = 6 Ⅱ. 이론적 배경 = 10 A. 중등지리교육과 멀티미디어 GIS = 10 B. 중등지리교육에서 자기주도적 학습 = 18 Ⅲ. 멀티미디어 GIS를 활용한 지형단원 수업모형 설계 = 23 A. 멀티미디어 GIS 적용을 위한 지형단원 분석 = 23 B. 멀티미디어 GIS를 활용한 지형단원 수업설계 = 28 Ⅳ. 멀티미디어 GIS를 활용한 지리수업의 효과분석 = 35 A. 수업관찰 결과 = 35 B. 학업성취도 분석 = 38 C. 수업반응도 분석 = 42 Ⅴ. 결론 및 제언 = 50 참고문헌 = 52 부록 = 56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758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멀티미디어 GIS를 활용한 수업적용 및 효과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0학년 지형단원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Analysis in Effectiveness by Using Multimedia GIS in Secondary Education-
dc.creator.othernameKim, Hyo-Jung-
dc.format.pageⅸ, 67-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