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0 Download: 0

범세계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

Title
범세계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
Other Titles
(An) Analytical review of global education program
Authors
양영희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범세계교육교육과정교육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귀윤
Abstract
본 연구는 범세계 시각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범세계 교육 교육과정의 실시를 위해 범세계 교육의 이론적 배경 및 교육과정 내용을 고찰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그것은 관련 문헌들에 의존하는 이론적 연구방법으로써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범세계 교육의 역사 및 철학적·사회적 맥락을 살핀다. 2. 범세계 시각 도입에 적절한 시기를 살핀다. 3. 범세계 교육의 내용을 선정·조직하여 본다. 4. 사회과에서의 범세계 교육의 도입에 대한 내용을 살핀다. 5. 현행초등 사회과 지도내용에서의 범세계 교육내용 적용가능 부분을 조사하고 상호의존 개념을 중심으로 단원을 구성해 본다. 범세계 교육은 1970년대 이후 세계를 단일의 체제로 보는 경향과 함께 국제교육의 새로운 분야로서 등장하였다. 범세계 시각의 도입은 10~14세 사이에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이 시기 이후에는 타국이나 타 민족에 대한 이해에 대해 덜 개방적인 태도를 지니게 된다. 범세계 교육의 목적은 복합문화적 사회와 상호의존적 세계에 효과적이며 책임감있게 참여하는데 필요한 지식·태도·기능을 증진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범세계 교육의 교육과정 내용은 상호의존, 자문화와 타문화, 평화, 법, 정의 및 갈등에 대한 지식을 중심으로 개방적 태도와 탐구기능 등이 따르게 된다. 사회과에서의 범세계 교육은 인류가 세계 환경의 전부분이란 사실, 세계 무대에서의 행위자들의 다양성 및 복합문화에서의 상호작용 상황 및 대안적 미래와의 관련을 강조하여 세계사에 있어서의 시민참여를 강조해야 한다. 사회과에서의 범세계 교육을 조직하는데는 세가지 관점이 있는데, 즉 개인과 인류를 지구위성위의 단일종족의 성원으로 보고 복수국가 협동체 활동들에 대한 내용을 강조하는 관점과, 지역연구와 세계 지역이 주 내용이 되는 관점과, 현행외교정책의 문제나 世界事에 있어서의 국가의 역할을 강조하는 관점등이 있다. 범세계 교육을 사회과에 도입하는 방법에는 지역사회 기반접근이 있다. 이는 국제체제란 소우주를 상대화하고 학생자신의 지역사회에 촛점을 맞춤으로서 범세계 교육의 이해를 도울 수 있다. 현행 초등사회과 지도내용에서는 5학년 1학기에 이르러서 세계에 대한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으나 상호의존개념에 기초한 세계에 대한 교육내용으로의 확대는 저학년에서도 가능한 것으로 보여진다. 아동이 생활하고 있는 지역사회에서 출발하여 각국의 세계가 하나의 체제를 이루는 지구 위성위에서 인간상호간의 필연적 의존성에 대한 학습은 미래시민교육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인류생존에 있어서도 그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In the contemporary society, there is a increasing global interdependence between both peoples and nations. Increased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and infuse the global perspective and international dimensions in education at all levels and in all its for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Global Education in societal and philosophical context and to study the way of applying global perspective to the social studies and curriculum. The contex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ocietal and philosophical basis of Global Education. 2. The appropriate age for the infusing of global perspectives to the children. 3. The content organization of Global Education to be used as the basic material for unit plan. 4. Application of the Global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Global Education was appeared in 1970s with the trends of viewing the world as single system. The appropriate age to study about other peoples and nations is from 10 to 14. The purpose of Global Education is helping student to develop the knowledge, attitudes and skills which they need in order to participate effectively and responsibly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an interdependent world. The content of Global Education should be organized around the knowledge of culture and cultures, interdependence, conflict and peopler law and justice. In the social studies, Global Education should emphasize the participation of citizen in world affairs and the diversity of actors in world arena. There are three views of organization in Global Education: 1st view is a world-centered view to emphasize the individual as the member of global society. 2nd view is a world affairs and foreign policy central view to emphasize the role of nation state in world affairs. 3rd view is centered around world cultures and area study. The community based approach to Global Education social studies is efficient in understanding the global situ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