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은화-
dc.contributor.author노미라-
dc.creator노미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4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5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1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55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o what degree children's perception and sharing behavior would show difference about other's demand according to situation. The subject comprised children between five and six years of age. The specific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mate's need,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 who has surplus material perceives his of her mate's need? 2. According to the degree of surplus,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 who has surplus material perceives his or her own sufficiency? 3. According to the degree of surplus, is there any difference in sharing behavior that child who has surplus material takes? 4. According to the degree of need in material,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 who has insufficient material perceives his or her own need? To resolve the problems above, 128 children who attended kindergartens in Seoul were selected. The tool used for experiment had been made by Korea Lego Co. and reconstructed into house-formed block consisting 13 pieces to use the construction task for children so that they could play more easily. All children who made a pair by two were distributed to four experimental groups and informed to complete their tasks using model of house-making. One of the two was given surplus material enough to complete his or her task and insufficient material was given to the mate. Observation about children's interaction was divided into perception about need and sufficiency and sharing behavior. As for the data recollected after experiments, children's perception and action were given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X^(2) was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ubjects and for testing typothe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 perception of child about the mate's need, from a position of having surplus material, the greater the mate's need was, the higher he or she perceived. 2. In the perception of child about his or her own sufficiency, from a position of having surplus material, the greater the degree of surplus was, the higher he or she perceived. 3. From a position of having surplus material, the greater the degree of surplus was, the more child took sharing behavior. 4. In the perception of child about his or her insufficiency, form a position of having insufficient material, the greater the degree of insufficiency was, the higher he or she perceived. 5. In the difference by sex, boys, in both perception and action, showed higher percentage than the other sex.;본 연구는 5·6세 유아를 대상으로 상황에 따라 타인의 요구에 대한 유아의 인식과 나눠주기 행동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과다한 자료를 가진 유아가 짝의 부족함을 인식하는 것은, 짝의 부족함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인가? 2. 과다한 자료를 가진 유아가 자신의 충분함을 인식하는 것은, 자기가 가진 자료의 과다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인가? 3. 과다한 자료를 가진 유아의 나눠주기 행동은, 자신의 과다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인가? 4. 부족한 자료를 가진 유아가 자신의 부족함을 인식하는 것은 자료의 부족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인가?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 시내에 소재한 유치원에 다니는 유아 128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도구는 코리아 레고사가 제작한 구성용 블럭으로, 유아들이 쉽게 만들 수 있도록 13개의 조각으로 된 집모양의 구성과업을 사용하였다. 유아들은 두명이 한쌍이 되어 각각 4개의 실험집단에 배치되었으며, 집짓기 모양의 구성과업을 모델로 하여 과업을 완성하도록 하였다. 한 쌍의 유아중 한명에게는 과업을 완성하고도 남는 자료가 주어졌으며 나머지 한명에게는 부족한 자료를 주었다. 아동간의 상호작용이, 부족함과 충분함에 대한 인식과 나눠주기 행동으로 나뉘어 관찰되었다. 실험결과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인식과 행동을 빈도와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가설 검증과 남·녀 아동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X^(2)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과다한 자료를 가진 유아가 짝의 부족함을 인식하는 것은, 짝의 부족함이 클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과다한 자료를 가진 유아가 자신의 충분함을 인식하는 것은, 자기가 가진 자료의 과다함이 클수록 높았다. 3. 과다한 자료를 가진 유아는, 자기가 가진 자료의 과다함이 클수록 나눠주기 행동을 많이 하였다. 4. 부족한 자료를 가진 유아가 자신의 부족함을 인식하는 것은, 자기가 가진 자료의 부족함이 클수록 높았다. 5. 본 연구의 문제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자료의 분석과정에서 발결된 부수적인 결과로는, 남·녀 유아의 인식과 나눠주기 행동에서 차이가 있었다. 즉, 인식과 행동 모두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더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및 목적 = 1 B. 연구의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친사회적 행동의 정의 = 5 B.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 = 7 C. 선행연구 = 12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6 A. 가설 설정 = 16 B. 실험대상 = 16 C. 실험설계 및 도구 = 17 D. 절차 = 18 E. 자료처리 = 20 Ⅳ. 결과 및 해석 = 21 Ⅴ. 논의및 결론 = 32 참고문헌 = 36 부록 = 42 ABSTRACT = 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305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아-
dc.subject나눠주기 행동-
dc.subject교육-
dc.subject.ddc300-
dc.title유아의 나눠주기 행동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haring Behavior in Young Children-
dc.creator.othernameNo, Mi Ra-
dc.format.pagev, 4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