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2 Download: 0

말더듬의 교정에서 청각지연기를 이용한 교정프로그램의 효과

Title
말더듬의 교정에서 청각지연기를 이용한 교정프로그램의 효과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icacy of a Stuttering Treatment Program with incorporation of DAF
Authors
김춘화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말더듬교정청각지연기교정프로그램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환
Abstract
Delayed Auditory Feedback(DAF, 청각지연기)는 말더듬의 교정에서 커다란 효과를 거두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말더듬 교정에도 DAF를 사용하여 실제적으로 유용할 수 있는 교정프로그램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AF를 이용한 교정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며 나아가 임상적인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실증적인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시내 ○○말더듬교정원에서 교육중인 생활연령 10∼36세인 말더듬이들이다. 대상자들은 말더듬측정도구인 D. Riley(1972)의 말더듬 심도파악기구(Stuttering Severity Instrument, SSI)에 의한 사전검사와 DAF반응조사 (0.05sec지연과 0.21 sec지연에서 읽기 행동조사)결과에 의해 연령, SSI점수, 남녀의 분포등에 유의한 차가 없도록 12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1일 2시간씩 주5회, 3주동안의 말더듬교정원의 교육과 2명1조로 편성하여 1일 1시간씩 주5회, 3주동안의 DAF를 이용한 실험실교육을 병행하여 총 45시간의 교육이 실시되였다. 반면 통제집단은 l일 3시간씩 주5회 3주동안의 교정원교육이 실시되여 각 집단 공히 45시간의 교육이 실시되였다. 두 집단에 위와같이 일정한 시간량의 교육이 실시된 후 말더듬측정도구로 이용된 SSI의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의 검증에 사용된 통계적 방법은 t검증이며 검증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SSI 전체영역(반복, 지연, 부수적행동)에서 DAF를 이용한 교정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감소되였다. 2. SSI내의 읽기 영역에서 DAF를 이용한 교정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말더듬횟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였으나 통제집단은 유의한 향상이 없었다. 3. SSI내의 말하기 영역에서 DAF를 이용한 교정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말더듬횟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였으나 통제집단은 유의한 향상이 없었다. 4. 말더듬이의 지연시간은 DAF를 이용한 교정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유의하게 감소되였으나 통제집단은 유의한 향상이 없었다. 5. 말더듬이의 부수적인 행동은 DAF를 이용한 교정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유의하게 감소되였으나 통제집단은 유의한 향상이 없었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stuttering treatment program which incorporated the use of DAF. The proposed teatment program was administered to 12 experimental subjects in 15 periods of treatment in 3 weeks. The pre- and post-test data were collected for the 12 experimental subjects along with the data for 12 subjects of the control group. The subjects,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SSI (Stuttering Severity Instrument, D. Riley, 1972) and of the subjects' sensitivity to the time-delay of DAF. At the time of the pre-test the subjects in both groups were homogeneous as to the scores and the degree of sensitivity to DAF. Th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usual treatment at one of the stuttering clinics without the use of DAF. The experimental subjects, on the other hand, received the treatment of the proposed program in addition to the usual treatment of the stuttering clinic. The total number of treatment hours for both groups, however, was adjusted to be equal, which was 45 hours. The underlying principle for the use of DAF is that the hearing confusions caused by the delay-times force the subjects to direct their attention to the tactile and proprioceptive senses of the speech organs, which, in turn, effect a reduction in the frequency of stuttering behaviors. The statistic of Student-t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of the present study. It was found that th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less stuttering behaviors after the treatment in all of the four measures of SSI, i.e. (1) the frequency of repetition and prolongation in reading, (2) the frequency of repetition and prolongation in speaking, (3) the average length of stuttering blocks, and ( 4 ) the severity of secondary behaviors. This was in contrast to the control group which showed no improvement in their stuttering, except for a slight change in the total scores of SSI between pre- and post- tests. It was thus concluded that the proposed stuttering treatment program which incorporated the use of DAF was effective in reducing stuttering behaviors.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s is that the subjects' transfer of their attention from the auditory feedback to the tactile and proprioceptive senses of the speech organs in the oral cavity is crucial in reducing stutter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