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2 Download: 0

프로젝트 기반학습(Project-based learning)에서 사용된 자기조절학습전략 활용양상

Title
프로젝트 기반학습(Project-based learning)에서 사용된 자기조절학습전략 활용양상
Authors
한희영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
Abstract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those who can solve the complex problem by acquiring, processing and transforming the information quickly are needed. Such a demand of society, which takes a new view of knowledge construction and acquisition process, changes the concept of learning and the role of learner.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learning is shifting from result oriented to process oriented. Therefore, learner must learn ‘how to learn' as learning process and become self-regulated learner who can achieve successful learning. Self-regulated learning(SRL) has been studied by many researchers for several decades. But most researches were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SRL and learning accomplishment in-class setting and relatively neglected the process of SRL in naturalistic setting and social context. Because of this, we need to investigate the SRL process in naturalistic context.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are as follows: How different are usage patterns of SRL strategy depending on project progress? 1) How different is the usage of SRL strategy according to SRL category? 2) How different is the usage of SRL strategy depending on project activities including reflective journal, proceedings, and Web BBS? In order to investigate into these research questions, a research was done on 9 students of E university for 5 weeks by the methods of reflective journal, proceedings, data of web-based BBS(Bulletin Board System), interview, and MSLQ(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collected data are as follows: First, high level group of SRL competency make the most use of SRL strategies except motivation strategy at the mid-part of project performance. Motivation strategy is used at the initial period but less used with the passage of time. Usage pattern of low level group is similar to high level group excluding metacognition strategy and motivation strategy. They use metacognition strategy and motivation strategy more as the time moves on. Second, all the group makes the most use of cognitive strategy specially when they deal with a project with their colleagues. High level group of SRL competency makes more use of motivation strategy than low level group. In particular they often use negative motivation strategy with anxiety or insufficient self-efficacy only when they perform the project individually. Third, all the group including high level group and low level group of SRL competency make use of metacognition strategy the most and monitoring strategy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one. Cognition strategy follows and elaboration strategy is more frequently used than any other cognition strategies. Fourth, the usage pattern of SRL strategy is depending on the context of learner and intrinsic motivation is a crucial factor to activate the use of SRL strategy. With these results, I would like to make some suggestions. First, in order to make student use cognitive strategy much more, group study which can provide rich interaction with colleagues is required than individual study. Especially for low ability student of SRL, it is important that they have an opportunity to study with high ability students of SRL and learn how to be self-regulated learner by observing their behavior and being cognitively stimulated just like ‘cognitive apprenticeship'. Second, in order to lessen the use of negative motivation strategy such as anxiety and insufficient self-efficacy, it is required that we provide students with the subject knowledge and prerequisite to make them understood clearly about project performance. And cooperation learning is more helpful than individual learning. Third, it is necessary that we provide low ability student of SRL with some guide so that they can utilize metacognitive strategy much more at the middle of period for successful learning. Fourth, the pattern of SRL is different depending on learner contexts and students would not use SRL strategy according to circumstances. So teacher or tutor can help and guide students not to lose SRL under unexpected situations. Finally,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usage patterns of SRL strategy depending on project progress. However it seems that SRL strategies influence each other and are interconnected. For example, intrinsic motivation is important to foster the use of cognition strategy and metacognition strategy in this study. Therefore, research on correlation between SRL strategies is also required so that we can understand SRL patterns more completely.;지식기반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력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정보를 신속하게 처리, 습득 변형하여 현실의 복잡한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한 사람이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는 지식의 형성 및 습득의 본질과 그 과정에 대하여 새롭게 조망함으로써 교육의 패러다임을 객관주의에서 구성주의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학습의 개념과 학습자 위상을 변화시키고 있다. 즉 구성주의에서 주장하는 지식은 사회, 문화, 역사적 상황하에 개개인에 의해 구성되는 것인데 이러한 지식에 대한 구성주의적 인식론은 학습의 개념도 객관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결과중심 학습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학습 과정으로써 '학습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으로 비중을 옮겨가면서 학습자의 자발적, 독립적, 주도적 학습능력을 요구하고 있다(강인애, 1995; Jonassen, 1991). 이러한 학습의 변화와 학습자 역할의 변화는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학습을 스스로 통제하고 전략을 세우고 동기를 유지시키면서 학습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는 능력, 즉 '자기조절 학습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고 하겠다. 자기조절 학습(self-regulated learning)은 지난 십여 년 이상 동안 많은 교육학자들의 관심 속에 이상적인 학습 성과를 위해 큰 기대를 가지고 연구되어 왔다(신민희, 1998). 그러나 이제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교실상황에 국한된 자기조절학습 전략에 대한 훈련이 학업성취 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결과중심의 연구이며 단편적이고 제한적인 실험연구에 머물러 과연 학습자가 교실을 벗어난 실제 자연적인 상황하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어떻게 수행해 나가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혼자서 학습할 때 일어나는 자기조절 학습과 팀학습과 같은 사회적 환경에서 발생하는 자기조절학습 간의 구별은 아직 규명되지 않고 있어서, 사회적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자기조절 학습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Alexander, 1995; Winne, 1995a; Winne, 1995b).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가 팀으로 프로젝트 기반학습을 수행해 나갈 때 사용하는 자기조절학습 전략의 활용양상을 규명하고, 자기조절학습 능력 수준에 따라 활용양상이 어떻게 다른지를 탐색하고 기술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프로젝트 진행과정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전략 활용양상은 자기조절학습 능력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 1) 자기조절학습 전략범주별 활용양상은 어떠한가? 2) 프로젝트 활동유형별 자기조절학습 전략 활용양상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E대학교 J과목을 수강한 학부생 9명을 대상으로 총 5주의 기간동안 학습동기전략 검사지 및 성찰저널, 회의록, 웹기반 게시판에 남겨진 자료, 그리고 인터뷰를 통하여 자기조절학습 전략 활용양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 전략범주별 활용양상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상위 그룹은 초인지전략, 인지전략, 자원관리전략을 프로젝트 초기에서 중기로 갈수록 점점 많이 사용하여 프로젝트 중기에 가장 활발히 사용하다가 후기로 갈수록 사용이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동기전략은 프로젝트 전기간동안 사용의 증감이 없었다. 특히 초인지 전략은 프로젝트 중기 뿐만 아니라 전기간에 걸쳐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동기전략은 상위그룹에게 있어서 가장 사용이 적은 전략으로 나타났다. 하위 그룹의 경우 인지전략과 자원관리전략은 상위그룹과 같이 프로젝트 초기에서 중기로 갈수록 증가하여 프로젝트 중기에 가장 활발히 사용하다가 후기에는 사용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인지전략과 동기전략은 프로젝트 초기에서 후기로 갈수록 사용이 증가하여 프로젝트 후기에 가서야 비로소 가장 많이 활용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둘째, 프로젝트 활동유형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전략 활용정도를 살펴보면, 자기조절학습 능력 상위그룹은 개인적으로 과제를 수행할 때, 또는 동료들과 동시적 그리고 비동시적으로 함께 토의를 할 때에도 항상 프로젝트 중기에 초인지 전략과 인지전략을 중심으로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가장 활발하게 사용하였다. 그러나 자기조절학습 능력 하위그룹은 동료들과 동시적으로 회의를 할 때에만 프로젝트 중기에 가장 활발한 사용을 보였으며 개인적으로 혼자 과제를 수행할 때나 비동시적으로 토의를 할 때에는 자기조절학습전략을 프로젝트 중기에 집중적으로 활용하지 않고 프로젝트가 마무리되는 후기에 몰아서 활용하거나 오히려 사용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하위 그룹 모두 개인적으로 과제를 수행할 때보다 동료들과 동시적으로 함께 토론하고 협의하는 회의시 인지전략을 가장 활발히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본 연구의 결론과 그에 대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학습자들은 프로젝트 중기에 초인지 전략과 인지전략을 집중적으로 활용하여 자신의 프로젝트 수행 및 정보간의 관련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계획을 세우고 과제 내용을 구체화 시키고, 또다시 그 과제 수행 결과를 모니터링하고 발생한 문제를 조절해 나가면서 자기조절학습을 수행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낮은 학습자들은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높은 학습자들에 비하여 프로젝트 중기에 초인지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낮은 학습자가 과제를 가장 활발하게 수행해 나가는 프로젝트 중기에 자신의 과제 수행을 점검하고 관련정보를 점검하는 모니터링을 비롯하여 계획을 세우고 과제 수행을 조절하는 활동, 즉 초인지 전략을 보다 집중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교사의 처방이 필요하다. 특히 혼자 과제를 수행하는 경우 프로젝트 중기에 초인지 전략을 집중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둘째, 학습자들은 동시적으로 토의하는 회의시 동료들과 의견을 교환하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으면서 인지전략을 활용하도록 많은 자극을 받고 있었다. 또한 다양한 능력 수준의 학습자들이 한 팀이 되어 함께 프로젝트를 수행해 나갈 때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낮은 학습자가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높은 학습자에 의해 인지전략을 활용하도록 많은 자극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낮은 학습자로 하여금 인지전략을 비롯한 자기조절학습 전략의 사용을 활성화시켜주기 위해서는 개인학습보다는 팀학습을 마련해 주고, 팀을 구성할 때에는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높은 동료들과 한 팀이 되어 함께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적극적으로 마련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학습자들 간의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동시적인 토의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낮은 학습자는 개인적으로 과제를 수행해 나갈 때 동기전략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동기전략 중에서도 낮은 자기효능감이나 불안/부담과 같은 부정적인 동기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동기전략을 사용하는 원인 중에 하나는 과목 및 과제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자신감이 떨어지고 과제수행에 대한 가치를 찾지 못할 경우 부담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혼자서 과제를 수행해 나갈 때는 과제에 대한 부담감이나 불안감을 많이 느끼지만 팀원들과 함께 과제를 수행해 나갈때는 정신적으로 부담감이나 불안감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학습자의 부정적 동기전략 활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과제 영역에 대한 지식과 선수학습을 사전에 숙지하도록 하고 과제 수행에 대한 의의를 찾도록 해야 한다. 프로젝트 기반학습에 있어서는 과제 수행에 대한 내적가치를 찾을 수 있는 문제(problem)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동기화시키도록 해야 한다. 넷째, 자기조절 학습전략의 활용양상은 학습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다르며 내적 동기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한 명은 팀원이 무책임하게 연락이 안되는 돌발상황 하에서 인지전략을 프로젝트 중기에 한번도 활용하지 않기도 하였으며, 적성에 안맞는 전공과 과제라서 내적 동기가 저하되어 게으름과 태만을 부리는 낮은노력규제를 유일하게 활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학습자로 하여금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학습 내용에 대한 내적 동기를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예상치 못한 돌발상황에 처하더라도 자기조절학습의 페이스를 잃지 않도록 교사나 튜터가 학습자의 주변 상황까지 배려하여 조언을 주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가 프로젝트 기반학습을 수행해 나갈 때 자기조절학습 전략 활용양상이 어떠한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자기조절학습 전략은 초인지 전략, 인지전략, 자원관리전략, 동기전략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범주별 자기조절학습 전략 단위수를 프로젝트 진행기간에 따라 활용정도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기조절학습 전략은 초인지전략과 인지전략을 중심으로 활용되며 프로젝트 중기에 집중적으로 활용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학습자들은 혼자서 과제를 수행할 때와 동료들과 함께 동시적으로 토의활동을 할 때 사용하는 전략의 활용에 차이가 있었다. 즉 동료들과 동시적으로 토의활동을 할 때 인지전략의 활용이 활성화되었으며 혼자서 과제를 수행할 때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낮은 학습자는 부정적인 동기전략을 많이 활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에 프로젝트 기반학습에 있어서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낮은 학습자로 하여금 자기조절학습 전략의 활용을 활성화시켜주기 위해서는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높은 동료들과 함께 팀을 구성하도록 해주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동시적인 토의활동을 조장하며 프로젝트의 과제수행에 대하여 내적가치를 찾을 수 있는 가치있는 문제(problem)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어떤 돌발상황에서도 자기조절학습을 성공할 수 있도록 교사 또는 튜터의 관심과 조언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