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04 Download: 0

대학도서관의 전자자료 장서개발정책에 관한 연구

Title
대학도서관의 전자자료 장서개발정책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for Electronic Information Resources of University Libraries
Authors
장일경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연경
Abstract
정보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전자자료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도서관의 장서 구성은 소장 자료에서 접근 방법으로 그 비중이 점점 증대하고 있다. 수서의 자동화는 도서관과 벤더, 도서관 조직간의 관계와 장서개발에서의 역할 변화를 가져 왔다. 그리고 전자자료의 종류와 이용자 요구의 다양함으로 인해 도서관은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매체의 형태로 제공해 줄 수 있도록 인터넷과 다양한 종류의 전자자료로 장서의 구성 범위를 확대하여 전자자료에 대한 장서개발정책을 수립하여 실행해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에서의 전자자료 장서개발정책의 수립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문헌연구, 사례연구, 설문조사의 방법을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전자자료에 대한 유형별 정의, 선정 기준, 전자자료의 범위 등을 개관하고 전자자료의 선정 기준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전자자료 장서개발정책의 사례로는 개발정책이 활발한 미국의 4개 대학도서관의 사례를 고찰하였다. 국내 대학도서관의 현재 상황과 문제점을 고찰한 후 전자자료 장서개발정책의 지침을 마련하여 전자자료의 장서개발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설문지 조사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전자자료 장서 구성현황과 업무현황을 파악하여 장서개발정책 구축시 고려하여할 요소들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 도서관은 「한국도서관통계 1999」를 기준자료로 삼아 연간 예산 10억원 이상인 전국의 37개 대학도서관을 선정하여 그 중에서 수서 담당 사서 4인 이상인 22개 대학도서관을 선택하여 설문지를 우송하고 전화 및 직접 면담을 하였다. 설문내용은 도서관의 일반적인 현황과 수서 업무와 관련된 업무 현황, 그리고 장서개발정책과 관련된 문항으로 구성하여 조사하였다. 이와 같이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 설문지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장서개발정책의 수립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운영의 기본방향과 목표에 따라 단계별로 전자자료의 장서개발과 관련된 정책과 여러 요소를 성문화해야 한다. 특히 장서개발정책의 중심이 되는 전자자료의 선정기준을 명확히 하고, 체계적이고 일관된 정책에 의해 전자자료의 구입업무와 선정업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선정자의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하므로 체계적인 교육 훈련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선정과정을 계속해서 평가하고 전자자료의 발전에 따라 선정기준을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개정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전자자료의 범위를 정하고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도서관 내에 도서 선정위원회와 유사한 전자자료 전담 조직을 구성해야 한다. 도서관의 전자자료 구입과 선택은 다양한 다른 부서의 업무와 상호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전담 조직의 구성이 중요하다. 전자자료에 관한 업무를 수행할 때 대부분의 도서관은 전자자료의 요구 부서와 구입 부서가 동일하지 않으므로 요구 부서와 구입 부서의 긴밀한 협력 체제가 요구되며 선정자와 구입 담당자간의 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전자자료 전담 조직은 도서관 자료의 기반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조정하며 전자자료에 관한 필요한 사항을 검토한다. 또한 전자자료의 최종 선택과 결정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책임과 권한이 그 조직에 부여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전자자료가 일반적으로 인쇄자료에 비해 고가이며, 전문성을 필요로 하므로 대학이 단독으로 구입하기보다는 도서관간에 협력을 바탕으로 컨소시엄을 구축하고 유리한 조건에서 구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구입 예산 배정시부터 전자자료의 정보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구입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국내에서도 현재 컨소시엄 구성이 진행되고 있다. 컨소시엄의 회원 도서관들이 해외 학술 데이터베이스 구입 조건을 벤더 중심이 아닌 도서관 중심이 되도록 방향 전환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현행 방식은 벤더가 임의로 구축해 놓은 해외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그대로 도서관들이 구입하는 것이 상례이다. 그러나 컨소시엄의 통합된 위력으로 도서관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만을 구입할 수 있도록 주문형 데이터베이스의 구입을 해야 할 것이다. 해외 데이터베이스를 공동으로 구매하기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컨소시엄 추진을 위한 제도적 방안을 구축하고 있다.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국가적인 차원에서 도서관의 역할 분담과 자원의 공유를 이루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장서개발 사서는 전자정보 환경에서의 역할과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실질적인 장서개발 업무능력을 제고해야 한다. 전자자료에 대한 선정 방법, 전략, 기준, 그리고 정책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네트워크화된 자료를 기존의 자료와 서비스에 통합하는 방법을 습득하며, 선정 과정을 체계적으로 재조직하고 장서개발을 활성화 할 수 있도록 전문적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네트워크화된 큰 규모의 자료에 대해서 각 자료를 분석해서 장기적으로 선정 방법이 맞는지의 여부와 자료의 잘못된 부분을 찾아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담당 사서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업무능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다섯째, 전자자료의 활성화를 위해 예산의 확보와 기술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고, 벤더의 공신력과 신뢰성을 파악해야 한다. 대학도서관의 전자자료 장서개발정책은 각 대학의 교육적 사명이나 목표와 부합하여 특성화 시켜 나가고 조직, 자료, 예산, 인력 등을 바탕으로 차별화해야 한다. 도서관의 궁극적인 목표는 교수, 학생, 직원 및 대학의 장기발전 계획을 도서관을 통해 확장하고 유지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고품질의 전자컨텐츠를 선정하고, 설계 구축하고, 관리 보존하며, 모든 형태의 학술적 내용을 공유하고, 접근하고, 조정하고, 통합하는 온라인 도구와 서비스를 혁신적으로 실행해야 한다. 또한 전자자료의 통합과 상호 이용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표준을 만들고, 벤더와 신뢰를 바탕으로 협력체제를 강화해야 한다.;According to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diversification of electronic resources, remote access to real book stock increases in the library system. Automation of acquisition department has brought the change of the role between the library and vend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brary organizations and collection development. Now the library needs to expand the range of collection with internet and a variety of electronic resources and to frame and execute some appropriate plans for collectional development to meet various users' demands and provide also various electronic resources. For this study, literature reference, case study and questionnaire research were paralleled to explore for formulating a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for electronic information resources of the university library. Through literature reference, types of electronic resource were defined, the range of it was outlined, and finally the standards of collection of electronic resources were investigated. In the case study, examples of four university libraries in USA were surveyed. And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domestic university libraries were examined, and then guidelines for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for electronic information resources were made to heighten the effects of collection development around electronic resources. In the questionnaire research, the present conditions of collection and management in the domestic university library were identified to see elements to be considered in formulating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The first subjects were 37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of which annual budget exceeded one thousand million wons, preliminarily selected through reference to 「Statistics on Libraries in Korea 1999」, and they received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call. Among those 37 libraries, 22 libraries having above 4 librarians in charge of acquisition development were finally chosen a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to which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gain and a direct interview was conducted. And the answers to the questionnaire (return rate was 100%) and the results of call or interview were analyzed.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 focused on the general circumstances of the library, management of collection and matters to be developed or improved. And the consequences of the literature reference, case study and the questionnaire research can be summari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basic directions and aims of library management, relevant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and elements should be codified. In particular, the standards of collection of electronic resources which are central to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should be clarified, and the purchase and selection of electronic resources should be carried out on the basis of a systematic and coherent policy. Also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are demanded to educate selectors in a specialized way, continuous evaluation of selectional process is needed, and the standards of selection should be regularly reviewed and amend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resources. Second, electronic resources committees should be form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o fix the range of collection and formulate desirable policies. Their activities are important since purchasing and selecting electronic resources have correlations with various workings of other departments. In most libraries, purchase of and demand for electronic resources are made by different departments, so close should be established. The department in charge of electronic resources should construct and control its database systemytically and review things needed. Therefore, full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must be given to the committee in decision making and final choice. Third, the library should make advantageous contracts of purchase based on the cooperations between libraries because electronic resources are expensive and need expertism. In alloting purchase budget, information on electronic resources should be provided and effective purchasing plans should be contrived. In Korea, the formation of a consortium is being under consideration. Member libraries of that consortium must make efforts to switch their patterns of purchasing foreign academic databases from vendor-oriented ones to library-oriented ones. The present patterns usually follow the purchasing routes vendors have randomly established. But the integrated power of a consortium will help libraries purchase foreign academic databases by order rather than at random. Now KERIS is making systematic plans for promoting a consortium to purchase foreign databases jointly. To propel this movement continuously, library's role should be properly apportioned and resources should be shared throughout this country. Fourth, librarians in charge of collection development need to have substantial working abilities to cope with their role and expertism in the electronic information environment. They should systematically develop selectional methods, strategies, standards and policies for electronic resources, acquire skills of integrating resource networks to the existing resources and services, and possess specialized knowledge to reorganize the selectional process systematically and activate collection developments. As for big-scaled resource networks, selectional methods must be evaluated whether they are appropriate for long-term collection and wrong parts of resource should be sorted out through resource analysis. To accomplish these, librarians in charge should systematically develop training programs to cope with new environments. And they should understand visitors demands well, analyze the accessibility of electronic resources, and activate the use of information Fifth, to activate electronic resources, the budget should be ensured, technological supports should be promoted, and the public confidence and trustworthiness of vendor should be grasped. The university library's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for electronic resources must be specialized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al mission or goal of each university and differentiated on the basi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resources, budget and man power. The ultimate goal of library is to expand and maintain the long-term development plans of the professors, students, working staff of the university to which it longs and the university itself through its activities. To accomplish this, it should innovatively carry out on-line systems and services that select, design and construct, and manage and preserve high-quality contents and share, approach to, control and integrate all kinds of academic resources. Also the library should set up necessary standards and intensify cooperative systems with vendors grounded on trustworthiness to realize the integration of electronic resources and the reciprocal use of th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사서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