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현-
dc.contributor.author김진주-
dc.creator김진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5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6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6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692-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사회는 지식과 정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정보화 사회이며 지식 기반 사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에서는 무엇보다 빠르게 변화하는 지식과 정보를 정확하게 찾아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 그래서 ‘읽기 교육’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읽기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그에 대한 연구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읽기의 본질과 원리를 규명하기 위한 읽기의 목표, 교육 내용, 교육 방법에 관한 논의가 그것이다. 그와 더불어 읽기 평가에 관한 논의도 이루어지고 있다. 읽기와 읽기 평가에 관한 문제점을 지적하는 연구에 힘입어 읽기 평가 이론이나 평가 도구도 이전에 비해 진일보한 것도 사실이다. 그 대표적인 것이 대학 수학 능력 시험의 언어 영역 측정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학 수학 능력 시험의 언어 영역의 평가는 대체로 이전의 형식적 읽기 평가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보완하면서 새로운 내용을 창출하는 추론적, 비판적, 논리적 읽기 능력을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처럼 국가 수준에서의 읽기 평가 도구가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하더라도, 아직까지 읽기 평가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것은 위에서 지적한 대로 학교의 읽기 평가가 가진 문제점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읽기 평가에 문제가 있다고 체감하고, 그 문제점을 실제적인 문항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그것을 토대로 앞으로 읽기 평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II장에서는 읽기 평가의 문제점을 논의하기에 읽기의 개념이나 과정 등 읽기의 이론과 읽기 평가의 원리나 방법 등 읽기 평가의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읽기 평가시 무엇이 기준이 되어야 할 것인지를 도출해 보았다. III장에서는 II장에서 도출한 읽기 평가의 기준을 바탕으로 국가 수준에서 합의된 읽기 평가라 할 수 있는 대학 수학 능력 시험의 읽기 평가 문항과 학교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읽기 평가 문항을 비교 분석하여 읽기 평가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올바른 읽기 평가의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IV장에서는 III장에서 제시한 올바른 읽기 평가의 방향에 부합하는 읽기 평가 문항을 구안해 보았다. 이 연구는 일부 학교의 사례를 통한 일반화라는 한계를 갖지만 읽기 평가가 이루어지는 실제 현장 분석을 통한 문제점 진단과 방향 모색이라는 점에 의의를 두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 읽기 평가에 관한 다양한 논문이 나오길 기대해 본다.;The modern society is a society that is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ve all the ability to find and to use the changeable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so important in this kind of society. Therefore the importance of reading education is recently being more accentuated. As it is being emphasized more and more, the studies of reading education have been done systematically. They are reading object, educational contents, and educational methods to find out the substance and the principles of reading. On the basis of the studies of the problems in reading and reading evaluation, the theories of reading evaluation and the evaluation methods have also been improved. The most important work is Language and Literacy part in the University Aptitude Test. In this section of the test, the evaluation complements the problems of the former reading evaluation methods and at the same time evaluates students' reasoning ability, critical ability and logical ability in reading to create new contents. Even if the method of reading evaluation is considered to be improved on the national point of view,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in reading evaluation. Therefore I am conscious of the problems of reading evaluation in most of schools, so in this study I have examined the problems through the actual questions' analysis and on the basis of it I have searched for the way to follow after it. For the purpose, in chapter II, I have introduced the theories of reading itself such as reading concept or reading process and the theories of reading evaluation such as the substance and principles of reading methods. Also I searched for the standards in reading evaluation. In Chapter III, on the basis of the standards that I've found out in Chapter II, I have compared the reading questions from the University Aptitude Test, which is authenticated on the national point of view, with the reading questions from the school tests. After that, I have made my diagnosis of the problems in reading evaluation and discussed the correct way to evaluate students' reading ability. In Chapter IV, I have introduced the reading questions answering to the reading evaluation way that I showed in Chapter III. Although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s to generalize from only few of schools, in the respect of the problem diagnosis and the search for ways through the actual spot analysis, which the reading evaluation is being implementing, I expect that more various studies will be coming out on the basis of this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선행 연구 검토 = 3 C. 연구 내용 및 범위 = 8 II. 이론적 배경 = 11 A. 읽기의 이론 = 11 1. 읽기의 개념 = 11 2. 읽기의 과정 = 14 B. 읽기 평가의 이론 = 20 1. 읽기 평가의 원리 = 20 2. 읽기 평가의 방법 = 23 3. 읽기 평가의 기준 = 33 III. 읽기 평가 문항 분석 및 결과 = 48 A. 읽기 평가 문항 분석 = 48 1. 대학 수학 능력 시험의 읽기 평가 문항 분석 = 48 2. 학교 수준의 읽기 평가 문항 분석 = 58 B. 읽기 평가 문항 분석 결과 = 64 1. 읽기 평가의 문제점 = 64 2. 읽기 평가의 방향 = 74 IV. 읽기 평가 문항의 구안 = 81 A. 읽기 평가 문항 = 81 B. 읽기 평가 문항의 규명 = 87 1. 평가의 범위 측면 = 87 2. 평가의 내용 측면 = 88 3. 평가의 방법 측면 = 93 V. 결론 = 94 참고문헌 = 97 부록 = 100 Abstract = 1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927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읽기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한 개선 방향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for the Improvements through Reading Evaluation Questions-
dc.creator.othernameKim, Jin-Ju-
dc.format.pagevi, 1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