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영민-
dc.contributor.author정은주-
dc.creator정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9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1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6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149-
dc.description.abstract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search for the connection with the elements in regional geographic education between in middle school and in elementary school. It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gional size, main subject, concept and fact which are mentioned in the geographic text book.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1. There is a distinct connection with a regional size betwee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ducation. 2. There is an insufficient connection with the main subject of each unit betwee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ducation. 3. There are too many geographic concepts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compared to those of middle school education. 4. While there are proper repetition and expansion on the national geography, too much expanded information on the world geography causes the increased amount of knowledge students have to study.;교육은 유아기부터 시작하여 일생동안 이루어지는 지속적이고 연속적인 과정이다. 그러므로 유아기, 아동기, 청년기, 장년기, 노년기 등 각 단계에 맞는 내용의 선정과 조직을 통해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져 그 효과를 극대화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리의 교육 현실은 각각의 성장기가 따로 구성되어 교육 당사자들에게 혼돈을 야기시키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진급은 아동기에서 청소년으로의 정신적 성숙의 단계이며 사회적 지위의 변화를 유발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님에도 불구하고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비연속적인 교육내용은 학생들의 학습 부담 증가 및 지적 호기심의 감소를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지리)와 중학교의 사회(지리)-특히 지역지리-가 어느 정도의 연계성을 지니는가를 살펴, 지역지리 내용 구성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더 나아가 앞으로의 내용 구성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좀더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육과정에서의 중학교 1학년 지역지리 단원과 단원 사이 또는 단원 내의 내용의 연계성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초등학교와 중학교 지역지리 단원에서 구성요소의 연계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지역의 스케일 및 주제, 개념, 지리적 사실(fact)의 연계성의 정도를 살피는 것이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지역지리 내용 구성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국 학교급별 내용의 연계성을 파악하여 학습자의 능력과 단계에 맞는 교육내용의 선정에 기초를 제시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연계성을 파악하기 위해 지역의 범위, 주제 및 개념, 구체적 지리적 사실(fact)에서 내용의 반복, 심화 부분을 찾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첫째, 먼저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지역의 범위를 분석하였다. 범위의 공통된 부분을 찾아 연계성의 여부를 살펴보았다. 둘째, 각각의 지역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를 추출하여 주제들의 학교급별, 단원별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셋째, 개념의 연계성을 파악하기위해 지리학자들에 의하여 제시된 개념들을 근거로 각각의 내용을 대입시켜 현행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개념의 양적 측면을 비교하였으며, 학교급별 개념의 연계성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넷째, 개념을 구체화하고 있는 지리적 사실(fact)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특히 중학교 지역단원을 중심으로 초등학교와 비교하여 반복, 심화된 부분들을 찾아 연계성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중학교의 지역 지리 단원과 단원 사이에서의 주제의 뚜렷한 연계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지역을 구분하는 지표가 연계성을 지니지 않기 때문에, 그 지역에서 언급되는 주제들도 연계성을 지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지역에서 대표적인 대주제를 설정하고 내용 전개가 이루어지지만 실상 소주제의 접근은 같은 유형으로 지식을 나열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소주제와 지리적 사실(fact)들은 상호 무관한듯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데, 자연환경과 산업 부분이 가장 대표적으로 대부분 자연환경으로 산업이 결정되는 인과론적 내용 구성을 이루고 있다. 둘째, 현행 초등과 중학교의 지역의 스케일에 대한 연계성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초등에서 중등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같은 지역사회, 같은 국가, 같은 세계라 하더라도 횡적인 범위가 넓어지거나 종적으로 더욱 세분화된 지역을 살펴보도록 구성하여 공간 인지 능력의 증대를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세계 지역 부분에서는 지나친 범위의 확대로 지리적 사실(fact)들이 양적으로 증가하여 학습자에게는 낯선 지역에 대한 낯선 지식들로 학습의 부담을 주고 있다는 것이 문제이다. 셋째,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각 단원의 주제에 대한 연계성은 매우 미흡함을 볼 수 있다. 초등은 주변 환경에서 주제를 선정하는 반면 중학교는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주제를 선정함으로 상이한 주제의 전개를 지닌다. 넷째,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개념에 대한 연계성은 초등이 지나치게 많은 개념들을 제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의외로 초등학교에서 다루는 지리학의 개념들이 심화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중학교가 인지 능력이 변함에도 개념들의 폭과 깊이가 변화되지 않았거나 또는 초등학교가 인지 능력에 비해 너무 어려운 개념들을 제시하는 것으로 교육의 효과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다섯째,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지리적 사실(fact)에 대한 연계성은 국가 차원의 범위에서는 적절한 반복과 확대가 이루어지지만 반면 세계 차원에서는 지나친 확대로 인하여 지식의 양을 폭증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학생들은 이질적인 지역에서 대한 인식을 인지적 능력을 발휘하여 습득하여야 하는데 이와같은 양적 증가는 흥미와 교육의 질적 효과를 감소시킬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제안으로 첫째, 먼저 학교급별 개념의 체계를 확립하고 지리교육에서 사용되는 구체적인 개념들을 축출하는 과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기존의 지역 인식의 토대를 변화시켜 초·중·고의 모든 학교에서 모든 지역을 다루어야 한다는 의무감을 버리고 초등학교에서 습득된 지역 지리의 내용을 중학교 시작 부분에서 정리·심화시키고, 다시 중학교에서의 지역 지리 내용을 고등학교 시작 부분에서 정리 ·심화하는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도구교과와 같이 늘 배우는 교과가 아니라 학습의 단절이 발생하므로 계속적인 심화 확대 보다는 반복 · 심화를 통해 학습을 강화시키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사료되기 때문이다. 셋째, 중학교의 지역지리 단원의 내용은 지역의 스케일 면에서 초등학교에서 배운 지역 지리 내용에 따라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 지리 안에서 계통적 접근을 통한 내용의 정리 및 심화를 유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여겨진다. 넷째,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중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리라 본다. 교육은 하나의 흐름인데 초등과 중등의 별개의 과정에서 연구하다보니 교육 내용의 단절을 유발시키고, 이로 인한 지나친 반복이나 확대가 발생하여 교육의 질적 퇴보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교육 내용은 앞으로 중학생의 사전 지식의 상태를 파악하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더욱 체계적이고 진보된 교육 내용을 조직할 수 있는 초석이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x Ⅰ.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방법 및 제한점 = 3 Ⅱ.이론적 배경 = 6 A. 지역연구의 접근 방법 = 6 1. 지역적 방법 = 6 2. 지평 확대 방법 = 7 B. 지역 지리 교육의 내용 구성 요소 = 9 1. 지역 = 10 2. 주제 = 13 3. 개념 = 14 4. 지리적 사실(fact) = 18 C. 교육 과정의 연계성 = 19 Ⅲ. 지역지리 내용의 연계성 분석 = 22 A. 지역 규모의 연계성 = 22 B. 주제의 연계성 = 26 C. 개념의 연계성 = 32 D. 지리적 사실(fact)의 연계성 = 44 Ⅳ. 결 론 및 제언 = 58 참고문헌 = 61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864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지역지리 구성 요소의 연계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중학교 지역지리 단원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Research the Connection with the Elements in Regional Geographic Education : Focused o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regional geographic education-
dc.creator.othernameJung, Eun-Ju-
dc.format.pagexii,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