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류정문-
dc.contributor.author박영지-
dc.creator박영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6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1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5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164-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In this study, the educational methodology based on drawing a systematic figure in the first grade high school course of 'the weather and climate' was devised, and its effectiveness in the lecture was investigated The devised drawing task consisted of three consecutive processes, that is drawing, analysis of illustration containing misconception, and modification of the original drawing. Two classes of 10th grade at a woman high school in Inceon city, Korea,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respectively, and they were taught about 'the weather and climate' during 7 class hours. After the instruction, it was analyzed how much the lecture supplemented with drawing activity contributed to the students' achievement, learning motivation, perception of involvement to the lesson, and the attitude toward science instruction. As a result of the treatment, it seemed substantial the contribution to the students' achievement, learning motivation, and giving interests for the science lecture, even though it was not effective in enhancing their perception of involvement. Our research showed that the drawing activity could improve the students' ability such that they describe as well as understand the concepts and phenomena related with 'the weather and climate' using a sophisticated sense of time and space. Moreover, it made positive contribution to stimulating the students' interests and motivation a set of process where the students express their own creative thoughts with unconstrained manner (White and Gunstone, 1992), and introspect their original ones in a recursive way. On the other hand, it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investigating the degree of perception for class involvement, and thus we leave it as the future work how to make the students involved to the lesson with more active attitude.;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일기와 기후’ 단원에서의 과학 개념의 시각화를 위한 그림 그리기 활동을 활용한 수업 효과를 조사하였다. 여기서 개발된 그림 그리기 활동은 그림 그리기, 오개념 삽화 분석, 그림 수정하기의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총 7차시의 수업이 통제 및 처치 집단으로 분리된 인천시 여자고등학교 1학년 두 학급을 대상으로 ‘일기와 기후’ 단원에 대하여 실시되었다. 수업 처치 후, 그림 그리기 활동이 추가된 수업이 학업 성취도, 학습 동기, 수업 참여도에 대한 인식, 그리고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수업 처치의 효과가, 처치 집단의 학업 성취도, 학습 동기, 그리고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의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수업 참여도에 대한 인식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 그림 그리기 활동이 학습자가 ‘일기와 기후’ 관련 개념 및 현상에 대해 시공간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자신의 사고를 창조적으로 자유롭게 표현하고(White and Gunstone, 1992) 반성하는 과정이 학생들에게 흥미와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수업 참여도에 대한 인식 검사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학생들이 좀 더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표목차 = ⅰ 그림목차 = ⅱ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대기’에 관한 오개념 연구 = 3 B. 시각적인 교수 자료의 효과 = 4 C. 그림 그리기(drawing) ; 정의, 활용, 수업, 교수효과 = 5 Ⅲ. 연구 방법 및 내용 = 11 A. 연구 대상 = 11 B. 연구 절차 = 11 C. 그림 그리기를 활용한 교수 방법 및 수업 과정 = 14 D. 검사 도구 = 17 E. 분석 방법 = 18 Ⅳ. 결과 및 논의 = 19 A. 집단간 동질성에 대한 사전 분석 = 19 B.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21 C. 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 23 D.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및 수업 참여도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 25 Ⅴ. 결론 및 제언 = 27 Ⅵ. 참고 문헌 = 29 Ⅶ. 부록 = 33 ABSTRACT = 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028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오개념-
dc.subject그림 그리기-
dc.subjectmisconception-
dc.subjectdrawing-
dc.title과학 개념의 시각화를 위한 그림 그리기 수업의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고등학교 1학년 ‘일기와 기후’ 단원을 중심으로-
dc.creator.othernamePark, Young Ji-
dc.format.pageⅳ, 4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구과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구과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