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3 Download: 0

중등 지리 교육의 교육과정과 내용 연계성 연구

Title
중등 지리 교육의 교육과정과 내용 연계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Secondary Education for Geography and the Connectivity of Contents: Focusing on the『Middle School Social Studies 3』and the『High School Geography of Korea』
Authors
김혜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민
Abstract
교과서에 포함된 ‘내용’은 학생들의 지식과 이해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학교 교육 전반에서 교과서가 취급되는 ‘방식’과 이에 더하여 교과서가 학습 내용을 취급하는 ‘방식’은 학생들이 학습하는 방식과 사물을 이해하는 방식에 영향을 준다. 교과서는 교과 교육과정을 구체적으로 실행에 옮기는 학습의 현장에서 교사에게는 물론 교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육내용을 경험하는 학생들에게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므로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에 있어 초등학교에서부터 중ㆍ고등학교까지 학습자의 지적 발달 수준에 따라 일관성 있게 교육하고 나아가 대학 교육에까지 연관 있게 교육하도록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각급 학교의 교육과정을 살펴봤을 때 연계성의 결여로 인해 학습 내용이 반복 되어서 학습 시간이 낭비되거나 학습자의 호기심과 흥미를 저하시켜 의욕을 잃게 하고는 한다. 또한 기본 개념 이해 부족으로 다음 단계의 학습 진행에 차질이 생기고 결국은 암기식 학습 방법으로 인해 창의력이나 논리적 사고력의 저하를 가져오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교육 내용은 하위 개념에서부터 상위 개념으로 자연스럽게 변천되어 학습 내용의 학교별ㆍ학년별 계층에 따라 연계가 적절히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 경험의 조직 원리 즉 계속성, 계열성에 입각하여 「중학교 사회 3」과 「고등학교 한국지리」 과목을 중심으로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의 계층화가 얼마나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서 먼저, 제 7차 교육과정 편제에 따라 상호 연계를 이루고 있는 「중학교 사회 3」 교과서와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의 자원, 공업, 인구, 도시 내용을 발췌하여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였다. 그리하여 제 7차 사회과 교육과정 해설서에 고시된 4가지 학습 내용의 단원 목표(Bloom의 교육 목표 분류법 참조)와 내용의 연계성을 분석한 다음, 교과서의 본문에 제시된 용어를 모두 추출하여 고학년으로 갈수록 용어 사용과 빈도 정도가 심화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각각 교과서의 학습 내용 연계성 분석은 R. W. Tyler의 교육과정 구성 원리인 계속성, 계열성 원리를 기준으로 하여 반복심화, 확대, 단순반복, 축소라는 요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중학교 사회 3」과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의 연계성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의 연계성 측면인 목표와 내용에서는 표현 방식에 있어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큰 틀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 면에서는 지식과 가치ㆍ태도 영역에서는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서도 별다른 위계가 나타나고 있지 않으며, 기능 영역만이 「고등학교 한국지리」에서 좀 더 높은 차원의 인지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면에서는 「고등학교 한국지리」의 자원, 공업, 인구, 도시 관련 내용들이 중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기초로 하여 좀 더 심화 발전된 내용들이 많으며 주요 내용들을 고등학교 학습에서 다시 반복해 주므로 계속성과 계열성이 적절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교육내용의 연계성 측면인 용어 분석에서는 「중학교 사회 3」보다 「고등학교 한국지리」에서 용어 사용량, 빈도수, 외래어 지리 용어가 더 많으며 다양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보아 연계가 적절하다. 하지만 교과서별로 사용되는 용어 수의 차이가 커서 다루는 개념의 양에도 많은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어 교과서별로 용어의 수와 사용 정도에 있어 일관성이 요구된다. 셋째, 학습 내용별 연계성 분석에서는 비연계성보다 연계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연계가 양호하며 자원에 관한 내용은 반복된 것이 가장 많았으며, 공업에 관한 내용은 반복되어 심화된 것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인구와 도시에 관한 내용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새로운 내용으로 학습되어지는 내용의 확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가지 학습 내용 중 도시의 학습 내용이 가장 연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원의 학습 내용이 연계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급 학교의 지리 교육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나은 교과과정의 연계를 위하여 내용이 단순히 반복됨과 학교 급간의 격차를 줄이고 가급적 심화되어야 하며, 더 나아가 발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등학교에서 한국지리는 심화 선택 과목으로 분류되어 중학교에서와는 달리 새로운 내용으로 학습되어지고 있는데 새로운 내용의 확대는 연계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심화가 결여된 확대는 학습자로 하여금 개별 학습의 양을 늘여주고 있으므로 학습자에게 부담감을 안겨줄 수 있다. 또한 실제 현장에서의 교사는 이러한 교과 내용의 학교 급간 연계성을 염두에 두고 중복된 내용, 발전된 내용, 격차가 있는 내용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학습자의 흥미를 유지하며 전달할 것인지 끊임없이 연구하고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겠다. 마지막으로 이번 연구에서는 내용 분석에 있어서 문헌 연구만 하였으므로 실제로 수업이 전개되는 상황도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학습 내용에 따른 개인차를 고려한 연구, 다른 과목과의 수평적 연계성에 관한 연구 또한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ntribution, albeit slight, to the future stratification of the content of geography education at middle schools according to the level after looking at how much the purpose and content of the subjects of 「Middle Schools Social Studies 3」 and 「High Schools Geography of Korea」 have been stratified in order to examining the connectivity of the nation’s geography education by the organization principle of experience in taking lessons, that is, continuity, sequence and integration. For this study, First of all, I analyzed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contents and goal (please refer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Bloom’s educational goal) of four kinds of studying chapters shown in the handbook about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for a subject of social study, and after extracting all terminologies of studying shown in the context of the textbook, I checked about how higher the frequency of using terminologies of studying became as going up to the higher grade of school. As for the analysis of connectivity for the contents of studying in each textbook, I extracted and analyzed factors of intensified repetition, enlargement, simple repetition and reduction based on principles of continuity, series and integration which are the constituent principles of R.W. Tyler’s educational curriculum. First, as for goal and content on the side of connectivity of educational curriculum, it has shown that general framework is similar, only an existing little difference in a ways of expression. On the side of goal, it also has shown that there was no change in particular in the domain of knowledge, value and behavior, and only the domain of technology requires higher dimensional cognition in 「High School Geography of Korea」. As to contents, the contents of high school are further more developed ones based on the contents learned in the middle school, and as the essential part of the contents are repeated in the studying of high school, the continuity and series are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Second, from the analysis on the terminologies of the studying as the side of connectivity for the contents of education, the number and frequency of using terminologies number of and foreign terminologies for geography are much more and variously used in the 「High School Geography of Korea」 than in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3」, and I can see the continuity is still appropriate. But as the difference of number of using the terminologies per each textbook is great, so the quantity difference of concepts is great. Therefore, the consistency will be required for the number of terminologies and frequency of using them per each textbook. Third, in the analysis of connectivity in the contents of subject, connectivity showed higher result than the disconnectivity giving the excellent connection, the contents of studying resources gave a lot of repetition and the contents of studying technical education repeated more deeply. And, the contents of population and cities had new contents the resulting the most expansion of the contents. The content of studying cities resulted in the highest connectivity and the content of studying resources resulted in the lowest connectivity. Suggestions resulting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n order to increase the articulation of education on geography at each level of schools, it is advisable to reduce the rate of simple repetition and gaps for a better articulation of curriculum and enhance the rate of advances as much as possible. Secondly 「High School Geography of Korea」 is classified into one of the in-depth optional subjects at high schools and is taught differently from middle schools. The expansion of cont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nnectivity, but an expansion lacking in deepening causes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individual lessons and thus might place a burden on its learners. Therefore, the connectivity of the repetition of important contents, deepening and expansion should be made appropriately. Lastly, teachers on the actual field, bearing the connectivity of the content of such subjects at each level of schools in mind, need to have an attitude of continuously studying how effectively they can convey overlapped contents, developed contents and those with gaps to learners while keeping them interested in the subject and trying to make some progress in such efforts.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