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8 Download: 0

의학교육의 임상의학입문(ICM)에 있어 포트폴리오의 활용

Title
의학교육의 임상의학입문(ICM)에 있어 포트폴리오의 활용
Other Titles
Implementation of Portfolios in the ICM (Introduction to Clinical Medicine) for Medical Education
Authors
유동미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한재진
Abstract
Recently, the paradigm of medical education has chang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 student-centered, systemic, integrated, problem-based and outcome-oriented approach. E University Medical School, in accordance with the pedagogical strategy of early clinical exposure and systemic curriculum, developed the ICM course for the period of 2 pre-clerkship years, and combined with portfolio for the student-centered, self-learning purpose. ICM cource is composed of PBL, tutoring for basic clinical skills, simulation based education and OSCE, etc. In ICM course, students are expected to understand and perform or demonstrate basic knowledge and skills, the attitude necessary for taking patient’s history, conducting physical exams, establishing the patient-doctor relationship, applying clinical reasoning, and writing medical records. The purpose of the course is that students accomplish a basic level of expertise before meeting a patient in a real clinical site. The course extends over four semesters, from the first semester of freshman year to the second semester of sophomore year. It involves various typ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ch as lectures, demonstrations, tutoring, PBL, patient counseling, and use of multimedia material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the cour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details of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ICM-portfolio program at E University Medical School and its evaluation. The ICM-portfolio at E University Medical School consists of a result or product of learning, such as a student workbook or folder that includes a selection of their work. In the process of making a portfolio, students are able to perceive their own change and development and, therefore, identify their strengths, weaknesses, and potential. The purpose of such a portfolio should include study planning, by which students make a specific plan for acquiring basic clinical skills in their pre-clerkship years. Through the portfolio, it should be clear whether the goals of the respective ICM courses and the entire course have been accomplished. Furthermore, the portfolio would be expected to will help students not only enhancing their ability of accumulating and using their personal learning resources from two years of clinical skills learning but also developing the professional qualities required to the doctors, such as self-learning, self-reflection, team work, organizational skills, time management and prioritization, professional thinking and behavior, and so fort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we organized the portfolio committee and developed the goal/objectives, structure/framework, and assessment methods for the portfolio. Second, we developed the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 including the purpose, content, criteria, form, and faculty development program for the portfolio system as part of our medical school’s regular curriculum. Assessments for the portfolio consist of four domains: Goal, Processing, Reflection, and Overview, with three items in each domain. Third, we applied these to the ICM curriculum for first- and second-year students by conducting orientation, rater training, making the portfolio, one-on-one feedback, assessment, and surveys. Fourth, after the first round of assessing the students’ portfolios, we evaluat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evaluators by measuring the inter-rater reliability. The inter-rater reliability calculated from the five students' evaluation data showed a high relation of more than 0.5 in all domains. Also, the inter-rater reliability, calculated by excluding the two extreme raters, was larger than when we did not exclude the two extreme raters in one domain. Finally, we identified and analyzed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portfolio assessment process over time. As a result, the students perceived that portfolio building heightened their understanding of exit learning outcomes and enabled reflection on their work.;최근 의학교육과정은 의과대학 졸업생이 졸업 후 갖추어야 할 기본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와 환자가 요구하는 능력 위주로 편성된 진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의사로서 준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학생들의 동기부여(motivation)가 중요하며, 평생교육, 성인학습으로 학생들의 학습능력이 자연스럽게 이어지고 발전할 수 있도록 기본의학교육과정이 설계되어야 한다는 성과바탕의학교육(outcome-based curriculum)으로 의학교육과정의 패러다임이 변화되어 왔다. 이러한 성과는 지식, 술기 및 태도의 모든 영역에서의 역량들을 의미하며 학습과 평가의 내용과 방법을 각 단계 별로 구성하여 제시하게 된다. 한편 임상술기 능력의 행동학적 특성은 초보(novice)수준부터 장인(master)수준으로까지의 점진적인 향상, 임상맥락 중심 수행, 수행대상과의 상호작용 등을 들 수 있으며,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조기임상노출, 실습중심 학습, 임상실습지도(preceptor), 시뮬레이션, 객관구조화진료시험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등의 학습 방법과 평가 도구들을 체계적으로 배치하고, 특히 학생들이 실제 환자를 경험하는 임상실습 이 전에 기본적인 임상 수행 능력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ICM 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하고 있다. E 대학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의 임상입문과정(Introduction to Clinical Medicine, ICM)은 임상수행의 이러한 행동학적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으로써, 임상실습 전 2년 동안 순차적인 학습과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데 병력청취와 신체진찰 등 환자 진료를 위한 기본적인 술기와 임상추론능력 (clinical reasoning), 기타 단순 임상 술기 등을 초보단계부터 점차적으로 심화시킬 수 있도록 설계를 하였다. 한편, 포트폴리오는 학습(성과)목표 설정, 학습 내용과 방법, 점차적인 성과의 기록과 자기성찰, 다양한 학습 활동의 정리와 융합, 자신의 수행 결과의 축적과 계속적인 활용, 연속적인 피드백 등의 요소를 반영하는 것이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의과대학 1, 2학년 시기에 운영하는 E 대학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의 ICM 교육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교수-학습-평가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학교 현장에서 직접 시행, 적용하면서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포트폴리오 평가의 양호성과 프로그램의 적합성을 검증 및 평가하여 포트폴리오 교육과정의 교육적인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연구 진행을 하였다. 우선, ICM 포트폴리오 과정의 개발과 운영 측면에서, 교육과정위원회 내에 전문성을 갖춘 교수를 중심으로 한 포트폴리오 위원회의 구성, 포트폴리오 평가의 목적 및 목표 선정, 포트폴리오 평가 내용 및 양식 등을 개발하였으며, 평가자 훈련을 통해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평가 절차를 설계하였고 개발된 포트폴리오 평가양식과 평가절차 등에 따라 1년간 제출된 1-2학년 전체학생의 포트폴리오를 수집하여 학생의 임상술기 학습과 성과에 대한 평가와 피드백을 진행하였다. 다음은 ICM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측면에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평가 점수에 대한 상관계수, Kappa 계수 등의 산출을 통하여 평가자간 신뢰도를 분석하였으며,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여 개발된 포트폴리오 평가의 양호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첫째, 포트폴리오 교육과정에서 의도하는 교육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포트폴리오의 교육목표 선정부터 평가기준, 내용 선정, 평가자 훈련 등 교육과정을 기획하는 단계부터 포트폴리오를 수집하여 평정하거나 채점하고 종합적으로 판단을 내리는 단계까지 전 과정을 걸친 질 관리가 필요한데 이는 교육과정개발 위원회의 구성, 학습(성과)목표의 선정, 평가 양식과 절차의 개발 등을 포트폴리오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적용하고, 포트폴리오 평가자 양성 및 이를 위한 교수개발 프로그램 운영하는 등 종합적인 교육과정의 개발이 유기적이고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학교 현장에서 포트폴리오 평가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포트폴리오 평가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즉 포트폴리오 평가자의 주관성을낮추고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자 점수 분석을 통하여 양극단의 평가자 결과를 제외했을 때 양호도가 의미 있게 향상하는 결과를 보였는데 이 결과를 현실에 적용한다면, 평가에서 극단적인 평가 경향을 보인 평가 결과를 제외하거나 혹은 평가자를 재교육 시킨 후 다시 채점 하거나 혹은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워크숍 등을 통하여 평가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평가자로서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훈련을 시행하는 등의 제안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포트폴리오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조사 설문결과는, 포트폴리오가 자신들의 학습 성과와 자기성찰 역량을 강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반면, 포트폴리오를 만드는데 드는 시간과 노력의 과도함, 평가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가 필요하다는 등의 의견은 향 후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의 개선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