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7 Download: 0

과학자와 이공계 대학생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경험과 인식

Title
과학자와 이공계 대학생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경험과 인식
Other Titles
Experience and perception in science writing of scientists and students majoring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Authors
오윤정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과학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경희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과학자와 이공계 대학생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여 이공계 대학생의 글쓰기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2개의 연구, 과학자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연구와 이공계 대학생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연구로 구성하였다. 과학자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연구에서는 과학적 연구 성과를 꾸준히 발표하면서 대중적 과학 글쓰기 활동을 하는 과학자 4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각각 2회, 1회당 1시간 30분~2시간 10분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공계 대학생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연구는 2개의 단계로 이루어짐에 따라 연구참여자도 2개의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제1단계는 이공계 대학생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로, 서울과 경기, 대전에 소재한 6개 대학의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사범대학의 과학교육과 2~4학년 35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제2단계는 초점집단면담으로, 설문지 결과와 눈덩이 표집 방법(snowballing)을 이용하여 8명의 이공계 대학생 연구참여자를 선정하고 1회씩 총 2회, 각각 1시간 40분~1시간 50분의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과 초점집단면담에서는 모든 면담을 녹음 및 전사하였으며, 개인별 사례를 분석한 뒤 교차사례 분석을 통해 과학자와 이공계 대학생의 글쓰기에 대한 패턴과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공계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는 χ2검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의도적인 연습(deliberate practice)을 통해 능숙한 과학 필자가 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계획하기와 검토하기 과정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글쓰기 과정에서 자신의 지식과 이해에 대한 인식을 통해 기존의 지식을 변형하거나 새롭게 구성하였다. 이들은 글쓰기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잘 파악하고 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이들이 자신의 글쓰기 과정에 관심을 가졌기에 가능하였다. 글쓰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어려움과 문제에 대한 통제와 해결은 이들이 풍부한 글쓰기 경험을 통해 얻은 경험적 지식이자 메타인지의 결과였다. 연구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과학 글쓰기 능력은 훈련을 통해 습득할 수 있다고 믿고 있었으며, 지속적인 글쓰기 교육 시스템이 필요하고, 이러한 교육 시스템의 핵심이 교사임을 강조하였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이공계 대학생들은 과학 글쓰기와 과학 글쓰기 능력이 중요함을 인정하였다. 과학 글쓰기의 중요성은 설문 조사를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이공계 대학생들은 과학 글쓰기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실 글쓰기 과정을 통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과학 글쓰기 경험이 상대적으로 부족할 뿐 아니라 체계적인 과학 글쓰기 교육 기회도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학에서 개설한 글쓰기 과목의 수강 만족도는 글쓰기 교수자와 글쓰기 과정 및 결과에 대한 피드백의 2개 요소에 의해 결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글쓰기 교수자의 적절한 피드백은 학생 스스로 자신의 글쓰기 능력을 파악하고 신장됨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하였다. 셋째, 바람직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이란 이공계 대학생들이 능숙한 의사소통 능력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글쓰기 교육이며, 이공계에서 과학 글쓰기 교육이 바람직하게 실행되기 위해서는 글쓰기 교육의 질과 양이 모두 확보되어야 한다. 이때 교수자의 적절한 피드백은 이공계 대학생의 글쓰기 능력 향상의 핵심이며 이런 관점에서 ‘질이 보장된 양’에 주목하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을 계획할 필요가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이공계 글쓰기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글쓰기 교수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질 높은 글쓰기 수업이 진행되고 학생들의 특성과 수준에 맞은 적절한 피드백 및 지도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글쓰기 교수자의 질을 반드시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피드백을 포함한 다양한 글쓰기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 시도할 필요가 있다. 글쓰기 과목 교수자에 의한 피드백 외에 동료평가와 같은 여러 평가 방식이 이공계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동료평가 지침의 작성 및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 지침에는 동료평가의 의의, 목적, 평가기준(루브릭), 채점 및 적용 방식과 함께 평가 태도가 포함되어야 한다. 셋째, 이공계 대학생들이 과학 글쓰기를 경험할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기회란 질이 확보된 기회를 의미한다. 즉 이공계 대학생의 과학 글쓰기 교육은 양적인 측면에서는 교육 및 직접적인 글쓰기의 기회를 늘리고, 질적인 측면에서 적절한 지도와 피드백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This research intends to find the best method of writing education for students majoring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An in-depth interviews were held with selected scientists who steadily present or have in the near past presented scientific research outcomes, and at the same time are active general science writers. They were termed as “scientists as expert writers”. Also,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writing of students majoring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in Korea. Students who relatively had more writing experience were selected for focus group interview in order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Finally, the two investigations were combined to find the implication of education of science writing for students of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cientists who participated on the research had become expert science writers through deliberate practice. They developed their own writing strategies by considering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or the writing environment, and such strategies were modified referring to different situations. Moreover, they had a good understanding and handling of difficulties they faced when writing, and also believed that writing skills can be acquired by practice. Consequently, research participants acknowledged that an educational system which supports a continuous practice in writing is needed; and henc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writing instructors, saying that the writing instructors are the core of such educational system. Second, the students of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who participated on the research agreed upon the importance of science writing and writing skills. The importance of science writing was also visible on the conducted survey. The student participants went through various difficulties in the science writing process; however, the efforts in trying to figure out the cause of the difficulties werw relatively low. The students also had a hard time in controlling the science writing process; and not only did they have a relatively low writing experience, but lacked enough education on systematic science writing. The satisfaction of the writing course in their university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quality of writing instructor and, feedback of the writing and writing process. The instructor’s appropriate feedback helped the students to have an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n their writing skills. Third, the best method of writing education helps the students to obtain proficient communication skills, and a good quality and quantity of writing education is needed to succeed it. The instructor’s feedback on the writing is crucial for the student’s advancement, and therefore “quality guaranteed quantity” education is required.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the suggestions a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writing instructor should be well consider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writing education. A competent instructor is needed in order to handle a high-quality class and provide appropriate feedback to students. Second, various method of assessment including feedback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Other methods such as peer-review could help students advance their writing skills. A guideline and education for peer-review will be needed. This guideline should include the significance, purpose, rubric, grading, application, and attitude of assessment. Third, students should have a broader opportunity in doing science writing. The opportunity should have good quality and the writing instructor should provide feedback on the students’ writings. In other words, science writing education for students majoring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should increase in quantity as in raising the opportunity for education and actual writing, and also in quality as in appropriate guidance and feedbac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