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5 Download: 0

교사 지도성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분석

Title
교사 지도성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eacher Leadership on Student Achiev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Based on Hierarchical Linear Model
Authors
최지혜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성은
Abstract
Although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point that school principal leadership affects student achievement, any agreement has yet to be made in the point that only school principal leadership brings about the success of school. In addition, given the emergent circumstances of public education, such as school reform and classroom collapse, the leadership of teachers who face and teach students everyday is more needed than principal leadership. The previous studies of teacher leadership borrowed teacher leadership from principal leadership, or a little changed principal leadership. In the aspect, it is difficult to regard them as the genuine studies on teacher leadership. Also, such studies have the limitation of failure to reflect the hierarchical characteristics of data by viewing individuals as an analysis unit. Accordingly, this work is intended to investigate how teacher leadership affects student achievement by choosing teacher leadership factors differentiated from principal leadership and reflecting hierarchical levels. This work suggests the following two study issues. 1. How does teacher leadership affect student achiev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after student variables are controlled? 1-1. How does teacher leadership affect student reading achiev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after student variables are controlled? 1-2. How does teacher leadership affect student mathematics achiev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after student variables are controlled? 2. How are student variables and student achievement different in the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eacher leadership variables ? 2-1. How are student variables and student reading achievement different in the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eacher leadership variables ? 2-2. How are student variables and student mathematics achiev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different according to teacher leadership variables ? To do that, this work examined previous studies chose 'teaching professionalism', 'caring',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nd 'sustainable participation' as the sub factors of teacher leadership. For an analysis, it used the material 「An Analysis on school education and its level: Study of Elementary School(Ⅱ)」conduct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o perform hierarchical linear model.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HLM 6.06 program were used.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study. First, the reading ability score was affected by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nd the mathematics ability score was affected by 'teaching professionalism', after student variables are controlled. The between-school variance ratio of reading ability score was 7.8% and the result showed that although student achievement were low, it is affected by school characteristics. Before student variables are controlled was analyzed, the reading ability score was affected by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fter student variables are controlled was analyzed, the reading ability scor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The between-school variance ratio of mathematics ability score was 10.1% and that the difference in mathematics was larger than that in a reading achievement between schools. Before student variables are controlled was analyzed, the mathematics ability score was affected by 'teaching professionalism',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nd 'sustainable participation'. In particular, mathematics achievement was affected most by 'teaching professionalism' among teacher leadership factors like reading ability. After student variables are controlled was analyzed, the mathematics ability score by 'teaching professionalism'. It was found that, before student variables was controlled, more variables affected student achievement, but after the variable was controlled, its influence disappeared or decreased.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learning attitude' of student variables affect reading achievement according to 'caring' of teacher leadership variables. As a result, regarding reading achievement, the 'self-esteem' and 'learning attitude' had the effect of interaction with 'caring' of the sub factors of teacher leadership, whereas, regarding mathematics achievement, an 'education fee' appeared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schools, but had no effect of interaction with the sub factors of teacher leadership. Student's self-esteem and learning attitude gave a wide effect on student achievement, as teacher gave more care to student. Given the study results, it was expected that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mong the sub factors of teacher leadership directly would affect student achievement, and that 'caring' would indirectly affect student achievement through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self-esteem and learning attitude. But it was found that 'sustainable participation' didn't affect student achievement. These results have several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teachers' roles in preparing the recent obligation policy to increase student achieve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each differentiated strategy of each curriculum in school to improve teacher leadership. Third, it is required for teachers to recognize their leadership and practice it. This study suggest several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his work didn't use the 2011 data analyz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thereby it didn't use the questions that could be asked to measure the effect of each variable. Because of the limitation, the future study needs to reflect the point. In addition, it needs to perform in-depth study of teacher leadership of each curriculum. Finally, it is considered that exploring the teacher leadership factors affecting student achievement and the factors affecting teacher leadership will be an interesting study subject. This work is meaningful in the points that it chose the sub factors of teacher leadership differentiated from principal leadership, divided the variables affecting student achievement into a school level and a student level, and reflected the hierarchical characteristics of data in order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 leadership.;학교장 지도성이 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라는 데에는 이견의 여지가 없으나, 학교장 지도성만으로 학교의 성공을 가져오는지에 대해서는 합의된 의견을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의 학교개혁 및 교실붕괴 등의 공교육 위기 상황 등을 감안할 때, 단 한 사람의 지도성으로는 더 이상 학교 교육의 성공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학생의 학업 성취도 향상을 이끌 수도 없기에 학교의 전 구성원들이 자신의 지도성을 발휘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학생과 매일 마주하고 그들을 직접 가르치는 교사의 지도성 발휘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교사 지도성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교사 지도성에 대한 개념이 확실히 정립되지 않아 교장 지도성 요인을 교사 지도성 요인으로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자료가 위계적 구조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료 분석의 단위를 학생 혹은 교사 개인에게 둠으로써 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온전하게 규명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장 지도성 요인과 구별되는 교사 지도성 요인을 선정하고, 자료의 위계적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 단위를 학교수준 변인과 학생수준 변인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층분석을 통하여 교사 지도성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으로 다음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사 지도성이 학생수준 변인 통제 후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1-1. 교사 지도성이 학생수준 변인 통제 후 초등학생의 읽기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1-2. 교사 지도성이 학생수준 변인 통제 후 초등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2. 교사 지도성에 따라 학생수준 변인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달라지는가? 2-1. 교사 지도성에 따라 학생수준 변인이 초등학생의 읽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달라지는가? 2-2. 교사 지도성에 따라 학생수준 변인이 초등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달라지는가?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학교수준 변인과 학생수준 변인이며, 각 수준의 변인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투입변인과 과정변인으로 나누어 선정하였다. 특히 학교수준 과정변인에 포함되는 교사 지도성 요인은 교사 지도성 선행연구에서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제시한 구성요소들을 정리하여 수업 전문성, 배려, 동료 간 협력, 지속적 참여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은 학업 성취도이며, 초등학생의 읽기 성취도 및 수학 성취도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8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한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초등학교 연구(Ⅱ)」를 사용하였으며,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초등학교 연구(Ⅱ)」는 196개 초등학교, 학생 11,695명, 학부모 10,930명, 교사 6,381명의 설문지와 학생 11,902명의 학업능력 검사지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는 HLM 6.06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료처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지도성이 학생수준 변인 통제 후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읽기 성취도에 대해서는 교사 지도성 요인 중 동료 간 협력이, 수학 성취도에 대해서는 교사 지도성 변인 중 수업 전문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읽기 성취도의 학교 간 분산비율은 7.8%로 조사되었으며, 읽기 성취도는 미약하게 학교 간 특성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교사 지도성이 초등학생의 읽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학생수준 변인을 통제하기 전과 후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학생수준 변인을 통제하기 전 읽기 성취도에 대해서는 수업 전문성과 동료 간 협력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학생수준 변인을 통제한 후 읽기 성취도에 대해서는 동료 간 협력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동료 간 협력의 회귀계수는 4.305로 학교 교사들의 동료 간 협력의 평균이 1점 상승할 때, 초등학생의 읽기 성취도는 4.305점 상승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수업 전문성, 배려, 지속적 참여는 읽기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수학 성취도의 학교 간 분산비율은 10.1%로 조사되었으며, 수학 성취도는 미약하게 학교 간 특성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교사 지도성이 초등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학생수준 변인을 통제하기 전과 후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학생수준 변인을 통제하기 전 수학 성취도에 대해서는 수업 전문성, 동료 간 협력, 지속적 참여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학생수준 변인을 통제한 후 수학 성취도에 대해서는 수업 전문성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수업 전문성의 회귀계수는 7.622로 학교 교사들의 수업 전문성 평균이 1점 상승할 때, 초등학생의 수학 성취도가 7.622점 상승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배려, 동료 간 협력, 지속적 참여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교사 지도성에 따라 학생수준 변인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지 분석한 결과, 교사 지도성 변인 중 배려에 따라 각각 자아존중감이 읽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태도가 읽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졌다. 읽기 성취도에 대해서는 자아존중감과 학습태도의 영향력이 학교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교사 지도성과 이들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 및 학습태도와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교사 지도성 변인은 공통적으로 배려 변인이었다. 이는 교사가 학생에 대한 배려를 잘 할수록 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읽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 그리고 학생의 학습태도가 읽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확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학 성취도에 대해서는 교육비의 영향력이 학교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교사 지도성과 교육비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육비와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교사 지도성 변인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교사 지도성 변인 이외의 다른 학교수준 변인에 따라 교육비가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교사 지도성 중 동료 간 협력과 수업 전문성은 학생수준 변인과는 독립적으로 초등학생의 읽기 성취도와 수학 성취도에 각각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배려는 읽기 성취도와 수학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습태도와의 상호작용 효과를 통해 초등학생의 읽기 성취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지속적 참여는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은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학업 성취도를 높이고자 하는 최근의 책무성 정책에 있어 교사의 역할에 대해 보다 세심한 관심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동료 간 협력이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 되었으므로 교사 간 경쟁을 부추기는 현재의 책무성 정책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된다. 둘째, 교사 지도성 향상을 위해서는 학교의 교과별 차별적인 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읽기 성취도 향상을 위해 교과 연구회나 협의회, 동학년 모임, 동아리 활동 등 동료 교사와의 모임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며, 수학 성취도 향상을 위해서는 끊임없는 교내 연수 및 장학 활동을 통해 교사의 수업 전문성이 향상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무엇보다 교사들이 지도성에 대해 인식하고 이를 실천하여야 한다. 국가적으로, 학교 제도적으로 교사 지도성의 중요성을 인지하더라도 교사들이 이를 인식하지 못한다면 이는 아무 의미 없는 일이다. 교사들은 교실 내에서는 수업 전문성과 배려의 지도성을 발휘하고, 교실 밖에서는 동료 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지도성을 발휘함으로써 초등학생의 읽기 성취도와 수학 성취도 향상을 도모하여야 하며, 나아가 학교개혁의 주체가 되도록 힘써야 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대한 교사 지도성의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어서 학교장 지도성 요인과 구분되는 교사 지도성 요인을 선정하고,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학교수준과 학생수준으로 나누어 자료의 위계적 특성을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