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세경-
dc.contributor.author정지인-
dc.creator정지인-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0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8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2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823-
dc.description.abstract해외 영상물 수용 시장은 중심국의 지배에서 경제학적 측면에서의 흐름을 거쳐 지역화를 맞이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문화적 배경이 유사한 국가간 영상물 수용시장의 규모가 점차 커지고, 발달하면서 문화적 근접성의 개념이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수용자들은 더 이상 문화적으로 이질적인 서구 영상물을 받아들이지 않고, 자국과 유사한 문화권에서 제작된 영상물을 더욱 선호하는 태도를 보이게 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영상물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으로 지목되었던 문화적 근접성의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구성하는 하위 범주로 문화적 정체성을 설정하여 문화적 근접성의 개념을 보다 명확하게 규명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과 함께 동북 아시아권을 형성하고 있는 중국과 일본 수용자를 대상으로 문화적 정체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비교해보고, 이들이 한국 드라마 수용태도와 수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경로화 시켜보았다. 한국과 중국, 일본 수용자들이 가지는 문화적 정체성을 보다 명확하게 분류하기 위하여 개별 수용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적 정체성과 수용태도, 수용 만족도간 관계를 나타낸 연구 모델이 수립 되었으며, 각각의 하위 차원의 요인으로 ‘역사관’, ‘가족관’, ‘애정관’, ‘몰입도’와 ‘동경도’, ‘공감도’, ‘시청평가’와 ‘시청의향’이 설정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문화적 정체성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먼저 양국간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인지와 상호 호혜적인 관계 형성에 대한 가치관을 상징하는 역사관의 경우 중국과 일본은 근소한 차이만을 나타내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중국과 일본 모두 한국과의 관계에 있어서 역사관이 중립적임을 나타내었다. 즉, 역사관의 경우 중국과 일본은 한국과 문화적으로 근접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역사관에 이어서 측정된 가족관은 수용자가 가지는 지극히 개인주의적 정체성과 동시에 가족 제도 혹은 사회적 분위기, 가족관계 등에서 발생하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정체성을 측정할 수 있는 항목으로 국가간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한국은 다소 개방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반면 중국과 일본은 매우 보수적인 성향을 보이며, 문화적으로 근접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문화적 정체성을 구성하는 마지막 하부요인인 애정관은 중국 수용자가 가장 보수적이고, 가부장적인 성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이 남녀 관계 혹은 연인관계에서의 성 역할에 있어 자유주의적이고, 진보적인 성향을 보이고 있었다. 즉, 애정관 요인에서 한국과 일본은 문화적으로 근접함을, 한국과 중국은 근접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둘째, 문화적 정체성과 한국 드라마 수용 태도간 영향관계 분석이다. 먼저 중국 수용자의 경우 수용태도의 ‘몰입도’ 변인에서 ‘가족관’ 만이 주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동경도’의 경우 역사관과 가족관, 애정관이라는 문화적 정체성 모두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공감도’ 역시 ‘가족관’만이 유의미한 값을 도출하였다. 위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중국 수용자들은 한국 드라마를 시청하면서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역사적 사실에 대한 정체성이나 연애관 보다 가족제도나 가족 관념에 대한 인식이 더욱 크게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어서 일본의 경우를 살펴보면 ‘몰입도’와 ‘공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애정관’으로, ‘동경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관’으로 나타났다. 즉, 일본 수용자들은 ‘가족관’이라는 문화적 정체성 요인의 영향만을 받았던 중국 수용자들과는 달리 ‘가족관’과 ‘애정관’이라는 문화적 정체성의 영향을 받으며 한국 드라마를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 드라마 수용태도와 수용 만족도간 영향관계 분석이다. 중국 수용자의 경우 ‘시청평가’와 ‘시청의향’ 모두 ‘공감도’와 ‘동경도’ 순으로 영향을 받고 있었다. 즉, 중국 수용자가 한국 드라마를 시청하면서 보이는 공감과 동경은 시청 이후 나타나는 실질적인 시청 계획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치고 있으며, 드라마를 시청하면서 현실을 잊거나 등장인물에 빠져드는 ‘몰입도’의 경우는 시청하는 동안에 나타나는 행위에 그칠 뿐 시청 이후 한국 드라마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거나 다시 시청하고 싶은 계획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일본 수용자의 경우 ‘시청평가’와 ‘시청의향’은 수용태도의 ‘몰입도’와 ‘동경도’가 주요한 영향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본 수용자들은 한국 드라마의 스토리나 등장인물을 이해하거나 자국의 생활양식과 유사하다고 느끼기 보다는 드라마 자체를 나의 삶이라 생각하고 집중하고, 동경하는 행위가 이루어질 때 더 높은 수용 만족도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논의된 부분은 중국과 일본 수용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한국 드라마 수용태도, 수용 만족도에 대한 경로분석이다. 경로분석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보면 먼저 중국의 경우 문화적 정체성 요인 중 ‘가족관’만이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가족관’은 수용태도 중 ‘몰입도’와 ‘공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몰입도’는 수용 만족도에 아무런 영향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동경도’와 ‘공감도’ 변인은 모두 ‘시청평가’와 ‘시청의향’에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형성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일본 수용자의 경우는 문화적 정체성 요인 중 ‘가족관’과 ‘애정관’이 수용태도인 ‘몰입도’, ‘동경도’, ‘공감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으며, 수용태도 중 ‘공감도’를 제외한 ‘몰입도’와 ‘동경도’는 ‘시청평가’와 ‘시청의향’ 에 모두 주요한 영향관계를 형성하였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그동안 뚜렷한 실체 없이 추상적으로만 논의되어 왔던 문화적 근접성의 개념을 실증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는 점에 있다. 중국과 일본과 같이 한국과 지리적으로 매우 근접한 국가일지라도 개별 수용자들의 문화적 정체성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의문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일본 3개국 수용자의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 한국 드라마를 시청하는 데에서 발생하는 수용 태도와 수용 만족도간 다른 경로를 보인다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느낀 제한점을 바탕으로 문화적 근접성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의 명확한 개념 정립을 위한 변인의 다양화화 비교 분석 대상국의 확대를 후속 연구를 진행한다면 더욱 풍부한 연구결과가 도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overseas video markets have been regionalized after going through the trend in economic perspectives from the domination of major countries. During the process, the consumer markets for video have been growing in scope and advanced in countries that have similar cultural backgrounds, drawing attention on the concept of cultural proximity. Audiences no longer accept the culturally different videos of western countries, but instead, prefer the videos made within the similar cultural boundary of their home country. The study aims to focus on the concept of cultural proximity that was depicted as a key factor of the impacts on acceptance of overseas videos, and to clarify the concept by defining cultural identity as a subset of cultural proximity. To that end, the study compared audiences in China and Japan who comprise the North-East Asia along with the Koreans, to find out how their cultural identities are grasped and define how the cultural identity impacts on acceptance and satisfaction of Korean soap operas. To clearly categorize cultural identities of audiences in Korea, China and Japa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is created a research model that indic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identity and acceptance and satisfaction, and set the sub-factors of each category as “value of history”, “value of family”, “value of love”, “level of immersion”, “level of admiration”, “level of sympathy”, “viewers rating” and “intention to watch”. First, the research identified cultural identity as follows: In terms of “value of history” that symbolizes the values of recognition in historical facts and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countries, China and Japan had small differences that hold no relevance in statistics. Both China and Japan had neutral “value of history”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Korea, which means that China and Japan are in a close cultural proximity to their neighboring country. The “value of family”, another criterion following the “value of history”, is a factor that may assess the cultural identity of audiences on an individual level and on a national level at the same time that may be created by family institution, social atmosphere and family relationship. In terms of the “value of family”, there was relevant differences among nations, as Korea had somewhat open values while China and Japan had considerably conservative ones, making them culturally far from Korea. In terms of the last sub-factor, “value of love”, the Chinese audience demonstrated the most conservative and patriarchal orientation, while the Koreans and Japanese were liberal and progressive in gender roles of romantic relationships. That indicates that Korea and Japan are culturally close to each other, whereas Korea and China are culturally far from each other in the “value of love”. Second, the research conducted an analysis on the impact of cultural identity on acceptance of Korean soap operas. For the Chinese viewers, only the “value of family” had an impact on the “level of immersion” among the variables of audience acceptance. The “level of admiration” was affected by none of the factors of cultural identity of “value of history”, “value of family” and “value of love”. The “level of sympathy” also was relevantly affected by “family value”. Such results indicate that the Chinese audiences have sympathy to Korean soap operas in family institution or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family rather than the cultural identity on historical facts or “value of love”. When it comes to Japan, however, it was the “value of love” that had impacts on “level of immersion” and “level of sympathy”, and it was the “value of family” that influenced “level of admiration”. That is, the Japanese viewers accept Korean soap operas in cultural identity factors of “value of family” and “value of love”, unlike the Chinese who are influenced only by “value of family”. Third, the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ceptance and satisfaction of Korean soap operas. The “level of sympathy” and “level of admiration” respectively influenced “viewers rating” and “intention to watch” for the Chinese audiences. The sympathy and admiration of the Chinese viewers for Korean soap operas had significant impacts on practical plans to keep watching the show. However, the “level of immersion” into the characters demonstrated only in watching the show and had no impacts on positive ratings or viewers loyalty for Korean soap operas. For the Japanese viewers, the “level of immersion” and “level of admiration” mainly influenced “viewers rating” and “intention to watch”. This identifies that the Japanese have higher satisfaction in personifying, concentrating and admiring the show, rather than understanding the stories and characters or finding it similar to their own lifestyle. Lastly, the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cultural identity, acceptance and satisfaction of Korean soap operas of the audiences in China and Japan. Overall, for the Chinese audiences, the result indicates that “value of family” was the only key factor among cultural identity factors and affected the “level of immersion” and “level of sympathy” in acceptance. The “level of immersion” had no impacts on satisfaction while the “level of admiration” and “level of sympathy” both had relevant influences on “viewers rating” and “intention to watch” in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for the Japanese audiences, the “value of family” and “value of love” among the factors of cultural identity had relevant impacts on the “level of immersion”, “level of admiration”, and “level of sympathy” in acceptance. Aside from the “level of sympathy”, the “level of immersion” and “level of admiration” served as main factors that affected both “viewers rating” and “intention to watch”. The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discussed the cultural proximity from an empirical perspective, rather than the previously discussed unsubstantiated abstract manner. The research started from a question where countries in a geographical proximity to Korea such as China and Japan may have different cultural identities on an individual level. The survey on the perception of audiences in Korea, China and Japan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t correlations between acceptance and satisfaction of Korean soap operas. In this regard, it is expected to bear fruitful results if there is a follow-up research on finding diverse variables to clarify the concept of cultural proximity and on expanding comparison target countries based on the restrictions learned from the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 목적 및 의의 ... 6 Ⅱ. 이론적 배경 ... 9 A. 해외 영상물 유통의 국제적 흐름 ... 9 1. 해외 영상물 수용의 이론적 관점 ... 9 2. 해외 영상물 수용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15 1) 문화적 요인 ... 15 2) 지리적 요인 ... 17 3) 방송 프로그램의 장르 ... 18 4) 국가 이미지 ... 19 B. 문화적 근접성 ... 23 1. 문화적 근접성의 개념 ... 23 2. 문화적 근접성의 구성 요소 ... 28 1) 지리적 거리 ... 29 2) 언어적 거리 ... 30 3) 문화적 거리 ... 32 3. 문화적 정체성 ... 35 C. 동북아시아 지역 내 영상물 수용 현황 ... 38 1. 중국 내 한류 현상 ... 38 2. 일본 내 한류 현상 ... 44 Ⅲ. 연구 모형 및 연구 문제 ... 49 A. 연구모형 ... 49 B. 연구문제 설정 ... 50 Ⅳ. 연구방법 ... 52 A. 주요 변인의 측정 ... 52 1. 문화적 정체성 ... 52 1) 역사관 인식 ... 52 2) 가족관 인식 ... 53 3) 애정관 인식 ... 54 2. 수용태도 ... 55 1) 몰입도 ... 55 2) 동경도 ... 55 3) 공감도 ... 56 3. 수용 만족도 ... 57 1) 시청평가 ... 57 2) 시청의향 ... 57 B. 자료의 수집 및 분석 ... 58 1. 표적 집단 심층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 ... 58 2. 설문 조사 ... 60 3. 분석 방법 ... 62 Ⅴ. 연구 결과 ... 64 A. 기초 분석 결과 ... 64 1. 조사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64 2. 변인별 신뢰도 검증 ... 69 B. 연구 결과 ... 70 1. 한국 ․ 중국 ․ 일본 수용자의 문화적 정체성 ... 70 1) 한중일 수용자의 역사관 ... 71 2) 한중일 수용자의 가족관 ... 74 3) 한중일 수용자의 애정관 ... 77 4) 한중일 문화적 근접성 구성요소로서의 문화적 정체성 ... 80 2. 문화적 정체성과 한국 드라마 수용태도의 영향관계 분석 ... 83 1) 중국 수용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한국 드라마 수용태도의 영향관계 ... 83 2) 일본 수용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한국 드라마 수용태도의 영향관계 ... 88 3. 한국 드라마 수용태도와 수용 만족도의 영향관계 분석 ... 94 1) 중국 수용자의 한국 드라마 수용태도와 수용 만족도의 영향관계 ... 94 2) 일본 수용자의 한국 드라마 수용태도와 수용 만족도의 영향관계 ... 97 4. 문화적 정체성과 한국 드라마 수용태도, 수용 만족도간 영향관계 ... 99 Ⅵ. 결론 및 논의 ... 103 A. 연구 결과 요약 및 논의 ... 103 B.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 108 참고 문헌 ... 111 부록 1. 2011년 방송콘텐츠 장르별 수출 현황 ... 124 부록 2. 연도별 방송콘텐츠 장르별 수출 추이(2007~2011년) ... 124 부록 3. 한국 수용자에 대한 한국 드라마 시청에 관한 의견조사 설문지 ... 125 부록 4. 중국 수용자에 대한 한국 드라마 시청에 관한 의견조사 설문지 ... 131 부록 5. 일본 수용자에 대한 한국 드라마 시청에 관한 의견조사 설문지 ... 137 Abstract ... 1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190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중국과 일본 수용자의 문화적 정체성이 한국 드라마 수용태도와 수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Impact of Cultural Identity for Video Audience in China and Japan on Acceptance and Satisfaction of Korean Soap Opera-
dc.creator.othernameChung, Ji In-
dc.format.pagexvi, 14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