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정다원-
dc.creator정다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3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4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0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48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부모의 정서조절양식과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의 전반적인 경향 및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부모의 정서조절양식과 유아의 정서조절전략 간의 관계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만 3, 4, 5세 자녀를 둔 부모의 정서조절양식은 어떠한가? 1-1. 아버지와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에 차이가 있는가? 1-2. 아버지의 개인변인(연령, 교육수준, 직업, 가정 내 평균 월수입)에 따라 아버지의 정서조절양식에 차이가 있는가? 1-3. 어머니의 개인변인(연령, 교육수준, 직업, 가정 내 평균 월수입)에 따라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에 차이가 있는가? 2. 만 3, 4, 5세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은 어떠한가? 2-1. 유아의 개인변인(성별, 연령)에 따라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차이가 있는가? 2-2. 유아의 가족변인(부모의 연령, 교육수준, 직업, 가정 내 평균 월수입, 자녀와 함께 지내는 시간)에 따라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차이가 있는가? 3. 부모의 정서조절양식과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아버지의 정서조절양식과 남아의 정서조절전략의 관계는 어떠한가? 3-2. 아버지의 정서조절양식과 여아의 정서조절전략의 관계는 어떠한가? 3-3.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과 남아의 정서조절전략의 관계는 어떠한가? 3-4.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과 여아의 정서조절전략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유치원 6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3, 4, 5세 유아 266명과 그들의 아버지와 어머니 각각 2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모의 정서조절양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윤석빈(1999)이 개발하고 임전옥(2003)이 수정ㆍ보완한 ‘정서조절양식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을 측정하기 위하여 Eisenberg, Fabes, Bernzweig, Karbon, Poulin과 Hanish(1993)가 개발한 도구를 서혜린(2007)이 번역하여 수정ㆍ보완한 ‘유아 정서조절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최대값과 최소값,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t검정, 일원분산분석(ANOVA),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어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3, 4, 5세 자녀를 둔 부모는 능동적, 지지추구적,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의 순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성별에 따른 정서조절양식은 능동적 정서조절양식과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아버지는 어머니에 비해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는 반면, 어머니는 아버지보다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부모의 개인변인에 따라서는 어머니의 연령, 교육수준, 취업여부, 가정 내 평균 월수입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연령이 35세 이상 40세 미만일 때 능동적,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 점수가 높았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능동적,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가 취업한 경우에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정 내 평균 월수입이 500만원 이상인 어머니들이 500만원 미만인 어머니들에 비해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만 3, 4, 5세 유아는 회피지원적 정서조절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긍정적, 감정발산적, 무전략, 공격적 정서조절전략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개인변인에 따라서는 성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남아가 여아에 비해 공격적 정서조절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부모의 개인변인에 따라서는 어머니의 취업여부, 아버지의 직업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평일에 어머니와 함께 지내는 시간과 유아의 회피지원적 정서조절전략 간에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즉, 어머니가 주부일 경우와 아버지가 관리직 또는 사무직일 경우에 유아가 회피지원적 정서조절전략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어머니가 평일에 유아와 많은 시간을 지낼수록 유아가 회피지원적 정서조절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셋째, 부모의 정서조절양식과 유아의 정서조절전략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과 유아의 긍정적 정서조절전략 간에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고, 어머니의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과 유아의 감정발산적 정서조절전략 간에는 유의한 부적상관, 어머니의 능동적 정서조절양식과 유아의 무전략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버지가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면 유아가 긍정적 정서조절을 적게 사용하고, 어머니가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면 유아는 감정발산적 정서조절전략을 적게 사용하며, 어머니가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면 유아는 무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자녀의 성별을 나누어 부모의 정서조절양식과 그들의 동성 또는 이성 자녀의 정서조절전략 간의 상관관계가 어떠한지 알아본 결과, 아버지의 정서조절양식은 남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유의한 상관을 보인 반면,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은 여아와 남아의 정서조절전략과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의 능동적 정서조절전략은 남아와 여아에게 반대로 작용하는 양상을 보였다.;This research was aimed at examining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parents and preschoolers, particularly their general trends and differences in relation to selected variables. It also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parent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their preschooler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How is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parents of preschoolers from 3 to 5 years old? 1-1. Is there any difference i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between mothers and fathers? 1-2. Is there any difference i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fathers based on the fathers' personal variables (eg., ag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average monthly income)? 1-3. Is there any difference i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mothers based on the mothers' personal variables (eg., ag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average monthly income)? 2. How is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preschoolers from 3 to 5 years old? 2-1. Is there any difference i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preschoolers' personal variables (eg., gender, age)? 2-2. Is there any difference i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preschoolers based on the parents' personal variables (eg., ag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amount of time with child)?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parent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their preschoolers? 3-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father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their boys? 3-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father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their girls? 3-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mother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their boys? 3-4.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mother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their girls? The subjects of study were 266 preschoolers from 3 to 5 years old going to 6 kindergartens in Seoul, and their parents. Parent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evaluated through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checklist' which Jeon-Ock Lim(2003) restructured and supplemented the checklist of Seok-Bin Yoon(1999). And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assessed through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checklist' basing on version of Eisenberg, Fabes, Bernzweig, Karbon, Poulin and Hanish(1993) modified by Hye-Lin Seo(2007). For data analysi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maximum and minimum values, frequency and percentage, t 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utilized for the research questions. Whe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rom one-way ANOVA, Scheffé posterior test was used to look for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hich had highest score was active regulation strategy, followed by supportive-seeking regulation strategy and avoidant/distractive regulation strategy in the order named. Parents' gender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ir active regulation strategy and support-seeking regulation strategy. In other words, fathers used more active regulation strategy than mothers, whereas mothers used more support-seeking regulation strategy than fathers. Among the parents' other personal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average monthly income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only moth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n other words, 35 to 40 years old mothers used more active regulation strategy and supportive-seeking regulation strategy. Mothers with high educational level used more active regulation strategy and supportive-seeking regulation strategy than mothers whose educational level was low. Mothers who have career used more active regulation strategy, and mothers whose family earns more than 5 million won per month used more supportive-seeking regulation strategy than mothers whose family earns less than 5 million won. Second,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hich had highest score was avoidant & supportive regulation strategy, followed by positive, venting, none and aggressive regulation strategy in the order named. Studying the effect of preschoolers' personal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age, on their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howed that only preschoolers' gender generated statistical difference. In other words, boys used more aggressive regulation strategy than girls. Studying the effect of parents' personal variables, such ag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amount of time with child, on their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howed that only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fathers' career generated statistical difference,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eschoolers' avoidant & supportive regulation strategy and the amount of time with mothers during weekdays. In other words, preschoolers whose mothers were housewife and fathers engaged in administrative position or clercial work used more avoidant & supportive regulation strategy. Also the more amount of time preschoolers have with their parents during weekdays, the more preschoolers used avoidant & supportive regulation strategy. Thir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athers' supportive-seeking regulation strategy and preschoolers' positive regulation strategy. Furthermore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supportive-seeking regulation strategy and preschoolers' venting strategy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active regulation strategy and preschoolers' none strategy. In other words, the more fathers used supportive-seeking regulation strategy, the less preschoolers used positive regulation strategy. Also the more mothers used supportive-seeking regulation strategy, the less preschoolers used venting strategy, and the more mothers used active regulation strategy, the more preschoolers used none strategy. The results of this study by dividing the preschoolers' gender,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ath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boy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hereas moth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correlated with both the boys' and girl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moth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a tendency to act as opposed to boys and gir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정서조절의 정의 및 중요성 5 B. 부모와 유아의 정서조절 8 1. 부모의 정서조절 8 2. 유아의 정서조절 12 3. 부모의 정서조절과 유아의 정서조절의 관계 15 Ⅲ. 연구방법 18 A. 연구대상 18 B. 연구도구 20 C. 연구절차 23 D. 자료분석 24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5 A. 만 3, 4, 5세 자녀를 둔 부모의 정서조절양식 25 B. 만 3, 4, 5세 유아의 정서조절전략 32 C. 부모의 정서조절양식과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의 관계 42 Ⅴ. 논의 및 결론 46 A. 논의 46 1. 만 3, 4, 5세 자녀를 둔 부모의 정서조절양식 46 2. 만 3, 4, 5세 유아의 정서조절전략 48 3. 부모의 정서조절양식과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의 관계 52 B. 결론 및 제언 55 참고문헌 59 부록 69 부록 1. 어머니용 정서조절양식 설문지 70 부록 2. 아버지용 정서조절양식 설문지 75 부록 3. 교사용 유아 정서조절전략 설문지 77 ABSTRACT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87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부모의 정서조절양식과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의 경향 및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general trends and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parent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preschoolers-
dc.creator.othernameJung, Da Won-
dc.format.pagevi,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