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7 Download: 0

만 5세 유아의 또래 간 갈등 개선 방안에 관한 실행연구

Title
만 5세 유아의 또래 간 갈등 개선 방안에 관한 실행연구
Other Titles
Action research of methods to improve the peer conflict of a Five-year-old child
Authors
윤수진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용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and practice the peer confilct methods of a Five-year-old child with trouble to peer relation due to the peer's conflict and to research the effects of action methods. The given research problems according to research purpose as follows. 1. What are the methods to improve the peer conflict of a Five-year-old child? 2. How are the effects of methods to improve the peer conflict of a Five-year-old child? The paper is based on 25 subjects including Hyun-woo from the See Class at private Sky preschool which is located in seoul. After observing the conflict of Five-year-old children occurring See's Class, I searched the methods to solve the problems through consulting the teacher and literature study to give a hand a targeting child with many conflicts which have difficulty in shaping and keeping the peer relation. The study lasted from July 18 to October 12, 2012. The study was progressed in the order of noticing problems with the conflict of Five-year-old children occurring See's Class, searching for solutions, initial first action method search, first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second action method search of modifying the initial second action method, second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first and second implementation plans. The investigator videotaped the teacher's educational activities, transcribed them, and made field notes in addition to collecting, categorizing, encoding, and analyzing researcher and teacher journals and teacher interviews.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st, to improve the peer relationship of Five-year-old children I searched and conducted the guide method of problem behavior about Hyun-woo who engenders the conflicts of peers and the method of changing perception of peers. On first practice, I conducted the activity of improving the common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ho causes many conflicts with peers and conducted the activity of transforming the peers' awareness. As a result, children become aware of their own conduct causing the conflict of peers and decreased the problem behaviors with pondering relation improvement of peers. However, I did not attain the aim of changing the children's awareness about Hyun-woo and rather deteriorated the situation Hyun-woo vs peers. Accordingly, I needed to practice the method of changing positively children's perception about Hyun-woo. During the first implementation, Hyun-woo has still been refused and estranged due to showing the constant problem behavior to get the peer's concern and recognition. Thus, with focusing Hyun-woo of the second practice, I conducted the activity of improving the constant problem behavior of targeting Hyun-woo. With the first practice extension, I conducted the activity of changing positivly children's preception about Hyun-woo. And to better Hyun-woo's problem behavior I helped Hyun-woo personally and offered him the opportunity of getting the peer's concern and recognition. On the second execution, reflecting the first study review, I practiced the activity of improving the peer's conflicts of Hyun-woo and helped him personally for improving his problem behavior and offered him the opportunity of getting the peer's concern and recognition. As a result, Hyun-woo's problem behavior causing the peer's conflicts have been decreased the children's perception about him has positively been changed through practicing the effects of method for improving the peer's conflicts. Hyun-woo's problem behaviors causing the peer's conflicts have been decreased and the conflicts using prosocial strategy solved and amicable play with the peers formed. The children's perception about Hyun-woo has positively been changed and the peer acceptance about Hyun-woo enhanced. This study implies Hyun-woo's problem behavior occurring the conflict has been improved and the practice of changing the peer's perception about Hyun-woo has an positive impact on the peer's conflict improvement with him.;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와의 갈등으로 인해 또래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만 5세 유아의 또래 간 갈등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실행 방안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5세 유아의 또래 간 갈등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2. 만 5세 유아의 또래 간 갈등 개선 방안의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사립 유치원인 하늘유치원 만 5세 학급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현우를 포함한 만 5세 바다반 유아 25명이다. 만 5세 바다반에서 일어나는 유아들의 갈등 현황을 관찰한 결과, 한 명의 유아를 중심으로 잦은 갈등이 발생해, 이로 인해 또래관계의 형성ㆍ유지에 어려움이 있음을 파악하고, 유아의 또래 간 갈등을 개선하는 방안을 운영하고자 문헌연구와 교사와의 협의를 통해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연구기간은 2012년 7월 18일부터 2012년 10월 12일까지이며, 바다반에서 일어나는 유아들의 갈등 현황 및 문제점 인식, 이에 따른 해결 방안 모색, 초기 1, 2차 실행 계획, 1차 실행 및 평가, 초기 2차 실행 계획 수정에 따른 2차 방안 모색, 2차 실행 및 평가, 1, 2차 실행 방안 평가 순으로 실시되었다. 교사와 연구자가 실시한 방안은 녹화하고 전사하여 현장노트를 작성했다. 이 외에도 연구자 저널, 유아 및 교사 면담 자료 등을 수집하여 이를 범주화하고 부호화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유아의 또래 간 갈등 개선을 위하여 또래와 갈등을 초래하는 현우의 문제행동을 지도하는 방안과 현우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여 실시했다. 1차 실행에서는 또래와의 잦은 갈등을 유발하는 유아들의 공통적인 문제행동을 개선하고, 현우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한 활동을 실시했다. 1차 실행 결과, 유아들은 자신의 어떠한 행동이 또래와의 갈등을 초래하는지 알고, 또래와의 관계를 개선하는 방법을 생각함으로써 문제행동을 줄여 나갔다. 그러나 현우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을 변화시키고자 실행한 일부 활동이 목적을 달성하지 못함으로써 오히려 현우와 또래사이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따라서 현우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을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방안을 실행할 필요가 있었다. 1차 방안이 실시되는 동안에도 현우는 또래에게 관심과 인정을 받고자 지속적인 문제행동을 보임으로써 여전히 또래에게 거부되고 소외당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2차 방안 실행의 초점을 현우에게 맞추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현우의 문제행동을 개선하는 활동과 1차 실행의 연장으로 현우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활동을 실시하기로 했다. 또한, 현우의 문제행동을 개선하기 위해 개별적 도움주기를 실시하고, 현우가 또래에게 관심과 인정받는 기회를 제공하기로 했다. 2차 실행에서는 1차 실행의 평가를 반영하여 현우의 또래 간 갈등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활동을 실시하고, 현우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개별적 도움주기와 또래에게 관심과 인정받는 기회를 제공했다. 2차 실행결과 또래와의 갈등을 유발하는 현우의 문제행동이 감소했고, 현우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했다. 둘째, 만 5세 유아의 또래 간 갈등 개선을 위한 방안의 효과를 살펴보면 현우는 또래와의 갈등을 유발하는 문제행동이 감소되었으며, 친사회적인 전략을 사용하여 갈등을 해결했고, 또래와의 원만한 놀이를 형성하게 되었다. 유아들은 현우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전환되었고, 현우에 대한 또래 수용도가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갈등을 유발하는 현우의 문제행동을 개선하고, 현우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방안의 실행이 현우의 또래 간 갈등을 개선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