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엄정애-
dc.contributor.author오주현-
dc.creator오주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3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1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0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14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놀이성과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만 5세 유아의 놀이성,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행동은 어떠하며,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놀이성과 스트레스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 유아의 놀이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수원시에 소재한 13개의 유치원에 재원하는 만 5세 유아 106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Lieberman(1977)의 정의에 기초하여 Barnett(1990)이 제작한 Children’s Playfulness Scale(CPS)을 유애열(1994)이 번안하고 박선영(2010)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의 스트레스 측정은 Burts 등(1990)이 제작한 Classroom Child Stress Behavior Instrument(CCSBI)를 윤영실(2004)이 4개의 범주로 나누고, 박가희(2011)의 연구에서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은 Lazarus와 Folkman(1984)개발한 자기보고식 질문지(ways of coping)를 정해영(2003)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t검정과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유아의 놀이성은 남아가 여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자발성과 유머감각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놀이성의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스트레스 대처행동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수동적 대처행동이 높게 나타났으며, 능동적 대처행동과 신비적 대처행동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놀이성과 스트레스간의 관계의 경우, 놀이성 전체와 스트레스와의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놀이성의 하위요소들 중에서 사회적 자발성이 높은 유아일수록 교사로부터 받는 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신체적 자발성과 즐거움의 표현의 놀이성이 높은 유아일수록 학습 활동영역에서 스트레스를 높게 받았다. 성별에 따른 놀이성과 스트레스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남아는 유머감각의 놀이성이 높을수록 학습 활동영역에서 스트레스를 높게 받았다. 반면, 여아는 사회적 자발성의 놀이성이 높을수록 교사영역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놀이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놀이성이 높은 유아일수록 능동적 대처행동을 보이며, 수동적 대처행동과 신비적 대처행동은 적게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stress and stress-coping behavior of five years old childr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the study proposes following questions. 1. How does playfulness, stress, coping of stress of five-year-old children?. Is there any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of children’s playfulness, stress, stress-coping behavior?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and stress of children?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and stress-coping behavior of children? The study uses translated and modified(Yoo, 1994; Park, 2010) Children's Playfulness Scale(CPS) to measure children's playfulness. This scale originally developed by Barnett(1990) based on Lieberman's(1977) definition of Children's playfulness. To measure stress of children, I use Classroom Child Stress Behavior Instrument(CCSBI) developed by Burts, et al(1994). and modified for Korean children by Yoon(2004) and Park(2011). For maesuring stress-coping behavior, this study uses self-reported scale developed by Lazarus and Folkman(1994) and modified for Korean children by Jeong(2003). To investigate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data collected from 106 five years old children who are attending 13 different kindergartens in Suwon, South Korea.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he frequency analysis, the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re utilized for the research quest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le children shows higher playfulness than female children. Male children also shows higher physical spontaneity and sense of humor, bu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and manifest joy according to gender. Male and female children shows no difference in stress. However, female children shows higher passive mastery than male children while there is no differences in active mastery and magical mastery according to gender. Second,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and stress in overall. However, the study finds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and several sub-elements of playfulness. Children with higher social spontaneity experiences lesser stress from teacher factor, while children with higher physical spontaneity and manifest joy experiences more stress from learning activity factor. In terms of gender, male children with higher sense of humor experiences more stress, whereas female children with higher social spontaneity experiences lesser stress from teacher factor. Finally, children with higher playfulness shows more active mastery, while they show lesser passive mastery and magical spontane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놀이성 5 B. 스트레스 8 1. 스트레스의 개념 및 특성 8 2. 놀이성과 스트레스간의 관계 11 C. 스트레스 대처행동 13 1.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개념 및 특성 13 2. 놀이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간의 관계 15 Ⅲ. 연구방법 17 A. 연구대상 17 B. 연구도구 17 C. 연구절차 20 D. 자료분석 21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3 A. 만 5세 유아의 성차에 따른 놀이성,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행동 23 B. 유아의 놀이성과 스트레스 24 C. 유아의 놀이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26 Ⅴ. 논의 및 결론 30 A. 논의 30 B. 결론 및 제언 35 참고문헌 39 부록 1. 유아의 놀이성과 스트레스 대처유형에 대한 설문지 48 부록 2. 유아 스트레스 측정 질문지 56 부록 3. 유아 스트레스 측정 스마일 57 ABSTRACT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03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만 5세 유아의 놀이성과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행동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 Between playfulness, stress and stress-coping behavior of five years old children-
dc.creator.othernameOh, Joo Hyun-
dc.format.pagevii, 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