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4 Download: 0

유아들의 사회적 놀이시 발생하는 갈등과 갈등이후 사회적 놀이의 변화

Title
유아들의 사회적 놀이시 발생하는 갈등과 갈등이후 사회적 놀이의 변화
Other Titles
The Conflicts occurred during social plays of young children and changes in social plays after the conflict
Authors
이솔아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들의 사회적 놀이시 발생하는 갈등상황과 대처방법은 무엇이며 갈등 이후의 사회적 놀이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질적연구방법을 통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들의 사회적 놀이시 어떤 상황에서 갈등이 발생하는가? 2. 사회적 놀이시 발생하는 갈등상황에 대해 유아들은 어떻게 대처하는가? 3. 갈등 이후 사회적 놀이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 H구에 소재한 A대학교 부속기관인 푸른 유치원 만 4, 5세 혼합연령 학급 구름반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2년 8월 10일부터 10월 5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들은 총 26회 참여관찰, 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비형식적 면담, 오디오 녹음 등의 방법을 통해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Bogdan과 Biklen(2006)이 제시한 것과 같이 부호화와 범주화를 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놀이시 갈등 발생상황은 사회적 놀이 집단 내에서 발생하거나 사회적 놀이집단 가입과정에서 발생하였다. 유아들은 집단 안에서 사회적 놀이를 하면서 놀이 구성물이나 놀잇감에 대한 훼손, 역할 또는 놀잇감 소유 분쟁, 놀이 규칙에 대한 합의 실패시 갈등을 보였다. 또한 놀이 집단에 새로운 유아가 가입할 때, 가입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갈등이 발생했다. 구체적으로 집단에 가입하고자 하는 유아들을 직접적으로 거부하거나, 함께 놀기로 허락을 했으나 실제로 놀이에 끼워주지 않을 때 갈등을 겪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사회적 놀이시 발생하는 갈등대처방법은 제 3자를 통해 해결하기, 협박하여 상대통제하기, 갈등 상황 모면하기, 대화를 통해 함께 해결하기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스스로 갈등을 해결하기 어려울 경우 또는 갈등을 보다 신속하게 해결하기 위해서 교사에게 도움을 요청하였고,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또래가 갈등해결을 도와주기도 하였다. 또한 유아들은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갈등상황을 조절하기 위해 자신의 힘 또는 교사의 권력을 이용하여 상대 유아를 통제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유아들은 갈등상황이 커지지 않도록 상대방에게 바로 양보하고 잘못한 부분을 즉시 사과하거나 유머를 사용하여 해결함으로써 갈등 상황을 모면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놀이시 발생하는 갈등상황에 대해서 유아들은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서로 대화를 통해 협상하고 함께 해결하기도 하였다. 셋째, 갈등 대처 후 유아들의 사회적 놀이 변화를 살펴보면, 본질적인 갈등해결이 이루어졌을 시는 유아들의 놀이 내용이 보다 풍부해지고 정교해지면서 사회적 놀이가 활성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반해, 갈등이 피상적으로 해결되었을 때는 유아는 부정적 정서를 드러내며 또 다른 갈등이 유발되거나, 불편한 자신의 마음을 추스르기 위해 놀이집단에서 이탈함으로써 사회적 놀이가 약화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놀이시 발생한 갈등이 해결되지 않았을 때는 유아들의 사회적 놀이가 중단되고 소멸되었다.;This research aims to study conflict conditions occurred during social plays of young children and their coping methods as well as to observe how the social plays are changing after the conflict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earch questions following the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kind of conflicts appear when young children have social plays? 2. How young children cope with conflict conditions occurred during the social plays? 3. What changes appear in the social plays after the conflict?  This research set the objects in 20 young children in the Cloud class, a mixed class of young children aged 4 and 5 in Pureun Kindergarten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in H district, Seoul. Data collection for the research was done between August 10th and October 5th in 2012. Data are collected from methods such as 26 times of participation observation, informal interviews with young children and audio records. Collected data are analysed by encoding and categorizing as suggested by Bogdan and Biklen(2006). Outcomes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conflict occurrence conditions during social plays have occurred within a group of the social play or while joining into the social play groups. Young children showed conflicts when there are damages in the playing materials or toys, possession disputes in the role or toys and failure in agreement for play rules while having social plays in a group. Also conflict occurred when new young child faces difficulty in joining in the play group. To be specific, they showed conflicts when refusing new children directly to join the group or not counting them to the play in spite of acceptance to play together. Second, conflict management methods for the conflicts occurred during the social play have appeared as in solving through the third person, solving through conversation and controlling the other party with threats, escaping from the conflict condition. When it was difficult to solve the conflicts by themselves or when they want to solve the conflict quickly, young children requested help from the teacher. Also there are cases when their mates who are not participating in the play help to solve the conflicts. In addition, children in order to adjust conflict conditions to the their desired directions, young children used their own power or teacher's authority to control the other child. they showed features such as yielding to the other party in order to prevent making bigger conflicts, apologizing for the wrong part immediately or using humors to overcome the conflict conditions. Lastly, In regards to the conflict conditions occurred during the social plays, young children also tried to solve together by negotiating through mutual conversation in order to obtain results that satisfies all. Third, when examining changes in the social play of the young children after coping with conflicts, it showed a feature that social plays become activated while contents of the children's play become abundant and delicate if they agreed with fundamental conflict management. In contrast, when the conflict is solved superficially, young children showed negative emotion while inducing another conflict or leave from the play group in order to get himself together for the uncomfortable emotion and these weakened social plays. Furthermore, when the conflicts occurred during the social plays were not solved, young children's social plays were stopped and dissipa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