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경원-
dc.contributor.author김은선-
dc.creator김은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3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2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0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279-
dc.description.abstractMorality is a matter of practice. However, Korea's moral education exposes a disparity of knowledge and practice. To settle the problem of moral knowledge being separated from practice, it needs to be considered Dewey and Dasan's moral point of view. They were paying attention to that dichotomous way of thinking, which can cause a separation of knowledge and practice. The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the individual and morals within a society with the effort to resolve social ine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views on moral education, especially on how knowledge relates to practi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ree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purposes of moral education in Dewey and Dasan's view? Second, what factors in society can affect an individual's morality. Third, how could they resolve a social problem in an educational context? Lastly,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Dewey and Dasan's view on moral education in Ko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wey and Dasan provided the comprehensive moral education goal which is built based on interactions with surroundings. This is called Dewey's "reconstruction of experience" and "formation of In(仁)“ to Dasan. To fulfill these aims, they focused on "impulse" and "desire" as a critical elements in moral practice as it becomes the basis of habit and moral will. Along with this, Dasan added SangJae(上帝) to clarify the connection between human moral autonomy and command of SangJae. All of these elements were carried by knowledge, which is one of the key elements of reflective thinking. Dewey and Dasan regard knowledge importantly in the formation of judgment and ethical thinking. Second, Dewey and Dasan didn't just focus on morality in the level of individual. They emphasized societal context of moral practice. It is explained as a "transaction" and the connection of Myungmyungduk(明明德) and Chinmin(親民). Therefore, they were commonly agreed that morality is constructed both individually and socially. Third, they recognized education in the context of society not as a independent problem. In this point of view, they strived to solve social problems as an education reform and aimed for the construction of a democratic society. Dewey insists that the more interaction with circumstances, the more democratic a society could be. In order to do this, there needs to be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On the other hand, Dasan asserted that people are equal when it comes to moral abilities. Although he thought that the class system is needed for society, he believed in equality of opportunity may be a foundation of democratic society. Finally, this comparison study has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morality which takes root in education. Korea's moral education goal is based on expansion of personal values which the formation of individual morality. But to cope with the discordance of knowledge and practice, the aim of moral education should be not focusing on fixed virtues, but should include all types of social interaction. And if students have more chances to participate in social work, they gain a more diverse understanding of society. To do this, schools need to give the opportunity for the student to experience these societal problems, and gain a more comprehensive view on society. If "Habituated Morality" is achieved by impulse and desire, the only way to learn this is through education and knowledge;도덕이란 실천하는 데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현 우리나라의 도덕교육은 지식과 실천의 괴리 문제를 노정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도덕교육에서의 지식과 실천의 괴리 문제를 모색하는데 있어 듀이와 정약용의 도덕교육론에 주목하였다. 이들이 당대 교육에 있어 지식과 실천의 이분법적 흐름에 반대하여 지식과 실천의 괴리를 극복하고자 한 점에서 그들의 문제의식이 현 도덕교육의 지행불일치 문제와 동일선 상에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듀이와 정약용의 도덕교육론 전반에 내재하는 지식과 실천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 현 도덕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듀이와 정약용의 도덕교육론의 특성은 무엇이고 그 안에 지식과 실천의 관계는 어떻게 설명되는가? 둘째, 지식과 실천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개인과 사회는 어떻게 연결되며, 도덕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듀이와 정약용이 도덕교육을 통해 궁극적으로 이루고자 한 사회의 모습은 무엇인가? 넷째, 듀이와 정약용의 도덕교육론이 현 도덕교육에 있어 어떠한 시사점을 주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듀이와 정약용의 도덕교육론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듀이와 정약용의 도덕교육론의 현대적 의미를 분석하는 논문을 고찰하였으며, 비교연구의 형평성을 유지하기 위해 여러 비교논문의 구성내용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듀이와 정약용은 공통적으로 도덕교육의 목표를 인간이나 주변 환경과의 관계성 속에서 형성되는 포괄적 삶의 문제로 본다. 이를 듀이는 경험의 재구성을 통한 성장으로, 정약용은 인(仁)의 형성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목표가 실천으로 이어지기 위해 두 학자는 충동과 욕구에 주목하고 이에 기반해 습관을 형성하여 인간에게 주어진 자유의지를 선한 방향으로 이끌어갈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여기에 습관형성의 도덕 요소들은 도덕적 사유로서의 지식에 의해 인도되어야 온전한 실천에 이를 수 있다는 점에서 두 학자는 반성적 도덕 지식의 중요성을 동시에 강조하고 있다. 둘째, 듀이와 정약용은 도덕성을 논함에 있어 개인 수준의 도덕성 형성에 초점을 맞추지 않는다. 그들은 개인과 사회의 일원적 관계를 바탕으로 하여 개인의 도덕성과 사회의 도덕성이 상호 긴밀하게 연결되고 구별될 수 없는 동시적인 것으로 본다. 듀이는 개인이 사회 환경과의 교변작용(transaction)으로 성장하고 진보하고 공간 확장까지 이룬다고 본다. 정약용도 개인 수양 차원의 명명덕(明明德)과 친민(親民)의 사회적 덕을 분리하지 않고 인식에서는 양면적이며 실천에서는 동시적인 것으로 분석한다. 이렇게 개인과 사회는 상호작용하는 관계로 구성되므로 개인의 도덕성과 사회적 도덕성은 분리되지 않고 동시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셋째, 듀이와 정약용은 교육을 독립적으로 보지 않고 사회 속에서의 문제로 보았다. 그 결과, 교육을 통해 사회의 문제를 직접 해결하고자 하였다. 두 학자는 개인과 사회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고 궁극적으로 개인이 도덕적으로 잘 성장할 수 있는 사회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듀이는 개인들이 공유하는 경험의 수와 상호작용의 다양성이 인정될 때, 민주주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다고 보고 이를 위해 적극적 교육 기회를 제공해야 함을 주장한다. 정약용은 당대 잘못된 신분제도를 극복하고자 개인의 도덕적 능력에 있어서의 평등함을 전제로 모든 인간은 평등함을 주장한다. 다산은 사회의 효율성 증진을 목적으로 신분제도를 부분 인정했다는 점에서 듀이가 제시하는 적극적 기회균등으로서의 교육평등과, 민주사회는 아니지만 인간의 도덕적 능력에서의 동등함을 토대로 민본주의 사회를 이룩하고자 한 점에서 개인의 도덕적, 인격적 성장이 사회의 성격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음을 잘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듀이와 정약용은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개인의 삶의 문제가 곧 교육의 문제며 도덕교육의 문제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성취해야 할 덕목 중심이 아니라, 생활 속 도덕교육 과정에서의 다양한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는 과정중심 도덕교육에 관심을 가져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충동과 욕구 등이 반성적 사고에 의해 안내 되어진 ‘습관화된 도덕’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덕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말한다. 따라서 이들에게 도덕교육은 학교생활 전반에 관련된 교육이며, 도덕과 교육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즉 도덕교육은 생활전반의 도덕교육과 함께 도덕과 교육이 이뤄져야 함과 동시에 개인과 사회의 일원적, 유기적 관계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 이러한 도덕과 교육은 반성적 사유능력 고양을 목표로 하는 심화된 도덕수업일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볼 때, 도덕교육 내용 구성방법에서 협소한 공동체주의를 탈피하며 유연한 사회범위를 상정하고, 개인이 학교와 가정, 그리고 사회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참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할 것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표 1 B. 연구의 문제 및 방법 3 Ⅱ. 듀이의 도덕교육론 5 A. 사상적 배경 5 B. 도덕교육의 목표와 구성요소 7 1. 경험의 재구성으로서의 인격형성 7 2. 충동과 습관 10 3. 반성적 사고 14 C. 도덕교육의 범위 18 1. 교변작용으로서의 개인과 사회 18 2. 교육과 민주주의 22 Ⅲ. 정약용의 도덕교육론 26 A. 사상적 배경 26 B. 도덕교육의 목표와 구성요소 28 1. 인(仁)의 실천 28 2. 권형과 욕구(欲求) 32 3. 도덕적 사유 38 C. 도덕교육의 범위 40 1. 삼강령 팔조목 재해석 41 2. 교육과 민본주의 48 Ⅳ. 듀이와 정약용의 도덕교육론 비교 51 A. 지식과 실천의 관계 51 1. 도덕교육의 목표 비교 51 2. 도덕 행위의 추진력 비교 53 3. 도덕적 지식의 역할 55 B. 개인과 사회의 관계 56 1. 개인과 사회 57 2. 교육과 사회 60 C. 현대 도덕교육에 대한 시사점 61 1. 지식과 실천의 관계 측면 61 2. 개인과 사회의 관계 측면 63 Ⅴ. 결론 66 A. 요약 및 의의 66 B. 연구의 한계 및 제언 70 참고문헌 72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19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듀이와 정약용의 도덕교육론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지식과 실천의 관계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Analysis of Dewey and Dasan on Moral Education : With a Focus on the Relations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dc.creator.othernameKim, Eun Sun-
dc.format.pagevi,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