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6 Download: 0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와 성형태도의 관계

Title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와 성형태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 Between Body Image and Cosmetic Surgery Attitud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Narcissism and Self-esteem, an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ratitude
Authors
백인혜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오늘날 우리사회의 외모지상주의는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특히 미디어는 이상적인 미(美)의 기준을 제시하면서 외모지상주의를 더욱 부추기고 있다. 또한 성형에 대한 과장광고와 성형외과의 지나친 마케팅 전략으로 많은 사람들이 외모향상의 욕구를 나타내고 있으며, 실제로 성형을 선택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로 많은 10대 청소년들의 신체왜곡, 외모향상의 욕구는 심각해지고, 성형을 선택하는 청소년이 늘어나고 있다. 청소년기는 신체적 성장이 일어나는 시기이므로 10대들의 외모와 신체에 대한 관심과 욕구는 당연한 현상일 수도 있다. 하지만 오늘날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는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인식과 성형욕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물론 신체에 불만을 느낀다고 해서 모두가 성형을 선택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인식하는 신체이미지와 성형욕구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심리적 과정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신체이미지와 성형욕구의 관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변인으로 자아존중감이 가장 많이 검증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성형욕구에는 자기존재를 타인에게 드러내고자 하는 경향인 자기애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판단하고 자기애와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선정하였다. 특히 두 매개변인은 자기존재에 대한 인식이라는 점에서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적응적 특성을 지니므로 두 변인의 매개효과를 비교하여 살펴보는 것은 의의가 있다. 또한 성형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는 성형의 욕구를 부추기는 논의를 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지나치게 높아진 성형욕구를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이에 감사성향을 조절변인으로 선정하였으며, 청소년의 성형욕구완화에 대해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지닌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3개의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1·2·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성형관련 일반적 사항, 신체이미지, 성형태도, 자기애, 자아존중감, 감사성향 척도를 사용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을 한 설문을 제외하고 총 599부가 최종 분석에서 사용되었다. 조사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9.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둘째, 측정변인간의 성별차이를 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측정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성형태도에 신체이미지가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다섯째, 신체이미지와 성형태도의 관계에서 자기애,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신체이미지와 성형태도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이미지와 성형태도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외모지향이 남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성형태도도 여학생의 평균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외모지향의 욕구가 높으며, 성형에 대해서는 더 긍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신체이미지와 성형욕구의 관계에 대한 매개변인들의 결과를 요약해서 말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기애는 신체이미지 중 외모지향, 신체만족과 성형태도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체불만족뿐만 아니라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은 청소년은 자기주목의 욕구를 채우고자 성형을 희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신체만족만 성형태도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학생은 신체만족과 성형태도의 관계에서 자기애와 자아존중감이 모두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여학생들의 성형욕구에는 자기주목의 욕구, 자기존재감의 인정에 대한 영향이 훨씬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사회의 외모지상주의가 여성에게 더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10대 여학생들도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 영향을 크게 받고 있음을 말해준다. 셋째, 감사성향이 신체만족과 성형태도의 관계에서 조절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감사성향의 조절효과에도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의 경우, 외모에 대한 관심과 신체불만족이 높은 청소년이라도 감사하는 마음이 높은 사람은 성형욕구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들은 오직 신체불만족하는 사람에게 감사성향이 의미있게 성형욕구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인식을 깊이 이해할 수 있었고, 청소년의 높아진 외모향상의 욕구를 다루기위한 지도와 개입 방안을 마련할 수 있었다. 후속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과 같은 종합적인 변인간의 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신체불만족과 성형욕구에 대해 더욱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공할 것을 기대해본다. ;Lookism in our social context has become much serious issue. Especially, the media stimulates adolescent's appearance orientation by suggesting an ideal beauty standard. Besides, the puffery of cosmetic surgery advertisement makes people feel the need of appearance-enhancement even though they have a normal and natural appearance. And the actual number of cosmetic surgery patients is increasing dramatically. In such a social trend adolescent’s desires to reshape their body are ever growing. It is natural and rational that teens have a concern and desire for their appearance, because adolescence is the fastest-growing period when physical matureness occurs. However,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influences on the perception of teen's body image in a negative way and instigates an undesirable need of cosmetic surgery. And it needs to be questioned whether the dissatisfaction of body image is the only factor that can sufficiently explicate these behavior of cosmetic surgery. Thus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processes and to identify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desire for cosmetic surgery. The importance of self-esteem in both the perception of the body image and the desire of the cosmetic surgery has already been proved by many prior researches. Therefore in this study, as one of other variables, narcissism that means self-love and self-praises were selected. For it is presumed that the desire of cosmetic surgery has a close relevance to narcissism that may have a tendency a person would like to show up him or herself to other people. These two mediators are very similar as they recognize ‘self-existence', but they also are different as they have their own adaptive attributes.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these two variables are to be examined in comparison. Beside, many previous studies on cosmetic surgery have shown arguments that only instigate the desire of cosmetic surgery. However, this study tried to search the ways to decrease the exceedingly increased desire of cosmetic surgery. Therefore, this study is distinct from previous studies as it chose the gratitude as a moderator variable and discussed the decrease of cosmetic surgery of adolescence.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by first, second and third grades high school students from three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The survey used measure of body image, cosmetic surgery attitude, self-esteem, narcissism and gratitude. Total 599 subjects a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some cases that responded insincerely. An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this study used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SPSS Win.19.0. As means for this study, first, th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to understan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and reliabilities of each measure were also computed. Second, this study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T-test in the gender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Third,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body image, cosmetic surgery attitude, self-esteem, narcissism and gratitude. Fourth,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body image on the attitude towards cosmetic surgery. Fifth, this study conduct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suggestion by Baron and Kenny(1986) to prove the mediated effect in a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cosmetic surgery attitude. Sixth, this study also conducted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to prove moderating effects of the gratitude in a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cosmetic surgery attitude.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the data analyzed, body image and cosmetic surgery attitud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It showed that the appearance orientation of female students is a higher than that of male and so is body satisfaction and cosmetic surgery attitude. Thus, it means that female students have more desire in appearance orientation, and they are more likely to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s cosmetic surgery. Second, as the result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narcissism revealed 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ppearance orientation, body satisfaction and cosmetic surgery attitude. This means that adolescents who feel more dissatisfaction on their body image and have great interest in their appearance show a strong intention for cosmetic surgery to fulfill their desire of self-attention. Additionally, in terms of self-esteem, it revealed that only body satisfaction worked 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cosmetic surgery attitude.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both narcissism and self-esteem were proved to mediate completely in the relation between body satisfaction and cosmetic surgery attitude.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desire for cosmetic surgery of female students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level of narcissism and self-esteem. And this results implies that lookism has more serious impact on female than male in this society. Besides, it can certainly be said that this kind of social atmosphere has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eenage girls. Third, the gratitude was verified as a moderator variables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cosmetic surgery attitude. And this gratitude also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it is shown that even though they have great interest in their appearances and feel dissatisfaction on their body image, if they have high level of gratitude, their desire for cosmetic surgery can be lessened. However,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it is revealed that gra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nly those who feel dissatisfaction of their body to lessen their desire for cosmetic surgery. This study provided a deep understanding concerning to the perception of adolescents‘ body image, and also presented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for adolescent who have highly leveled appearance orientation. And based on this study, in the follow-up study, more detailed intervention and approaches towards adolescent's dissatisfaction of body image and desire of cosmetic surgery can be expected through a method of a multidimensional analysis such as structural equation mod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