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7 Download: 0

기혼여성이 느끼는 대학원생활의 의미와 갈등

Title
기혼여성이 느끼는 대학원생활의 의미와 갈등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Married Women’s Graduate School Life : Meaning and Conflict
Authors
강설화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안나
Abstract
현대 사회에서 여성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인식과는 달리 한국 여성의 사회활동에는 여전히 제약이 있다. 이 과정에서 여성은 교육을 통해 돌파구를 찾고자 하며, 그 열망은 고등교육에서의 여성 진학의 증가로 나타난다. 아울러, 대학교육이 보편화된 한국에서 고등교육에 대한 기대는 점차 대학원으로 이동되고 있다는 점에서 대학원교육이 실제로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 획득에 기여하는가를 짚어볼 필요가 있다. 또한 대학원교육 시기는 여성의 생애주기에서 결혼, 임신, 출산, 양육을 비롯한 가정생활을 고려하여야 할 연령대에 속한다. 따라서 기혼여성은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성역할 분업이 요구하는 가정생활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다하며, 한편으로는 대학원생활을 통해 사회활동에서의 자신의 자리를 찾으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 고등교육에서 여성이 겪는 갈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지표가 된다. 또한 기혼여성의 대학원교육 경험을 통해서 가부장제 이데올로기가 여성의 교육 성취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혼여성의 대학원생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도출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서는 대학원생활에서 여성이 어떤 교육 경험을 하고 있는지, 전통적인 성역할과 가부장제 이데올로기가 이들의 학업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다음의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는 기혼여성의 대학원생활의 의미와 목적에 가정생활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고 둘째로, 기혼여성이 대학원생활과 가정생활에서 어떤 갈등을 겪고 있는지, 마지막으로는 그 갈등에 기혼여성이 대응하는 방법은 무언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우선 한국 고등교육에서 여성의 위치와 기혼여성의 사회활동에 대해 문헌 고찰을 실시하였다. 통계와 선행연구를 통해 한국 고등교육에서 여성의 위치를 확인하였고, 여전히 남아있는 전통적인 성역할 분업을 이해하기 위해 성역할의 의미와 성역할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에서 기혼여성이 가정생활에서 겪는 갈등의 원인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체적으로 기혼여성의 사회활동이 증가된 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탐색하였고, 그 과정에서 기혼여성이 겪는 갈등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는 기혼여성의 대학원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갈등을 짐작해 보기 위한 작업이었다. 아울러, 국내외에서 연구된 기혼여성의 대학원생활과 학업 과정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본 연구와 관련한 선행 연구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심층 면담과 메모, 관찰, 일상대화의 수집을 통해 이루어졌다. 심층 면담을 위해 연구목적에 따라 면담지를 구성하였고 선행 연구를 참고하였다. 본격적인 면담 실시 전에 사전인터뷰를 통해 면담지를 수정, 보완하였다. 최종 면담지는 교육학과 박사과정 세 명의 검토를 거쳐 완성하였다. 교내 게시판을 통한 자발적인 참여와 지인의 추천을 통해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였고 목적 표집과 편의 표집에 따라 연구 참여자 10명을 최종 선정하였다. 2012년 7월부터 2012년 10월에 걸쳐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내용은 전사하여 원자료로 구성하였으며, 면담 과정에서의 메모와 함께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실시되었으며, 이에 따라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원 진학의 의미와 목적은 세 가지로 나타났다. 공부에 대한 열망, 더 나은 직업지위를 위한 선택, 가정생활로부터의 도피처로 선택한 것이 그 이유였다. 그러나 세 가지 목적은 연구 참여자에 따라 중첩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공부하는 것에서 기쁨을 느꼈고 대학원생활을 통해 그 기쁨을 이어나갔다. 또한, 현재의 대학원 진학 전의 학력으로 충분한 사회경제적 지위가 보장되지 않을 때 대학원 진학을 선택했다. 또 남성과 같은 지위에서 경쟁하기 위해서 남성보다 더 뛰어난 것이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도 대학원에 진학했다. 또한 결혼 후 우울증이나, 산후 우울증 때문에 가정에서 갈등을 겪고 있었기 때문에 대학원생활을 선택해야 했던 연구 참여자도 있었다. 이때, 경제적인 상황은 기혼여성의 대학원진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학비뿐만 아니라 생활비까지 보장이 되었을 때 대학원에 진학할 수 있다는 것이 기혼여성의 대학원생활의 전제였다. 이 과정에서 직장생활을 하는 기혼여성보다 수입이 없는 기혼여자대학원생은 가정생활에서 상대적으로 더 위축되고,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더욱 종속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둘째, 기혼여성의 대학원생활과 가정생활에서 일어나는 갈등은 여성의 성역할을 해야 하는 것과 은폐된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의 영향 아래서 일어났다. 연구 참여자들은 임신과 출산, 양육으로 인한 학업 중단에 대한 걱정, 학업에 몰입하기 어려움에서 갈등을 겪고 있었다. 또한 자신의 책임인 집안일 때문에 학업에 들이는 시간을 줄였다. 이외에도 가족의 지지와 지원을 받는 연구 참여자도 있었으나, 가족의 반대, 무관심에 갈등을 겪는 연구 참여자도 있었다. 시댁의 반대를 겪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편견과 달리 시댁이 지지를 하고, 친정이 반대를 하는 경우도 있었다. 대학원 동료와 교수도 기혼여성의 대학원생활에 대해 이해하고, 배려해 주었지만, 적극적인 도움을 주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그러나 기혼여성이 대학원생활과 가정생활에서 경험하는 갈등은 개개인의 개인적인 일로 치부되고 있었다. 각자 갈등을 겪고, 그것이 여전히 여성에게 가정생활의 책임을 강요하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의 영향이라는 점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혼여성의 대학원생활은 각자 어려움을 해결해야 할 일상의 에피소드로 치부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기혼여성이 책임을 다하지 않은 것 때문에 일어나는 갈등으로 만들어 문제의 본질을 가리고 있었다. 셋째로,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이 겪는 갈등에 대해 대부분은 제일 먼저 스스로 해결책을 찾으려고 노력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원생활이 개인적인 선택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대학원생활에서의 어려움도 스스로 감내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가족이나 친인척의 도움을 받아 갈등 상황을 해결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그 외의 외부의 도움을 받는 경우는 적었다. 양육에 관련된 문제에서는 외부인이나 외부기관의 질적인 차이 때문에 도움을 받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한 스스로 갈등에 대응하는 것 이외에는 대부분의 경우 경제적인 비용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그만큼의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경제적인 여유가 있어야 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혼여성이 대학원생활을 할 때 학업에 충실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희생을 하거나, 비용을 지출하여 도움을 구하는 것이 현재의 대응책이었다. 이 과정에서 아이를 돌보는 데 엄마의 역할이 강화될수록 기혼여성의 고등교육에의 몰입은 어려워진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 대부분이 엄마인 자신이 가장 좋은 양육자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자신에게 가정생활을 돌봐야할 책임이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었기 때문에 기혼여성이 자신의 위치를 개선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응은 부재했다. 본 연구는 기혼여성이 느끼는 대학원생활의 의미와 갈등을 통해 한국사회에서 여성이 고등교육에서 배제되는 데에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따른 성역할 분업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기혼여성의 대학원생활은 명백히 가정생활의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그 핵심에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따르는 성(性)역할에 대한 책임과 의무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 과정에서 기혼여성은 대학원생활과 가정생활에서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로 인한 갈등을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갈등을 개인적인 문제로 치부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있다. 다시 말해, 높은 학력 수준과 사회문화적 배경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기혼여자대학원생은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대항하기보다는 순응하고 나아가 종속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대한 기혼여성의 문제인식도, 그를 통한 적극적인 대응이 미진했으며, 대학이나 제도의 구조적인 지원도 부재했다는 점도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서 기혼여성의 대학원생활과 가정생활을 통한 여성의 고등교육 현실은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 획득을 보장하지 않는 원인과 그 배경을 확인한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현재와 같이 기혼여성이 개인적인 노력으로 갈등을 해결해 나가며 학업을 지속해야 한다면 대학원생활을 통해 이들이 얻을 수 있는 사회경제적 지위는 가정생활로 인해 위협을 받아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Although women are very active in the modern society, Korean women's social activities are still restricted. Women try to find a breakthrough through education and more women are pursuing higher education. As college education is already popular in Korea, more women seek graduate programs for even higher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graduate school education actually contribute to women's higher socioeconomic status. Also, women who pursue graduate school education should consider marriage,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rearing in their stage of life. Therefore, married women most clearly represent the conflict women experience in Korea's higher education as they are required to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and duties as a traditional member of the family on one hand and attempt to pursue higher goals in their social activities through graduate school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was particularly necessary because it can verify how paternal ideologies influence women's academic achievements by examining married women's experience with graduate school education. Most preceded studies, however, could not examine the academic experience of women in graduate schools and how the traditional gender roles affect their academic learning.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topics: first, it intended to examine how married women's family life affects the meaning and purpose of their graduate school education. Second, it intended to examine the conflicts married women experience between graduate schools and family life; last, it intended to examine how married women respond to the conflicts. For this purpose, literature studies were performed on women's status in Korea's higher education and married women's social activities. Women's status in Korea's higher education was verified through statistics and preceded studies and the paternal ideologies that affect the meaning and formation of gender roles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gender roles that still exist in the society. By doing so, the causes of conflicts that married women in Korea experience in family life were identified. Specifically, the meaning of increased social life of married women was explored to examine the forms of conflicts they experience in this process. The purpose was to presume the conflicts married women could experience in graduate school education. Additionally, related preceded studies were examined on married women's graduate school education and academic learning. This study adopted qualitative methods. Data were gathe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note-taking, observation, and casual conversations. Questionnaires were created for the in-depth interviews in reference to preceded studies. Questionnaires were revised through preliminary interviews before the actual interviews. Final questionnaires were reviewed by three doctorate students majoring in Education. Interviewees were subscribed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using the bulletin board on campus, and recommendations; ten interviewees were finally selected through purposeful sampling and convenient sampling. Interviews took place from July 2012 through October 2012 and the contents were transcribed to produce the research data along with the notes taken during each interview. Data analysis was performed repetitively throughout the study to derive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meaning and purpose of graduate school education were threefold: desire to learn, better career position, and shelter from family life. Each participant had more than one purpose. They found pleasure in learning and continued getting that pleasure through graduate studies. Also, they chose to take a graduate program when their current level of education does not guarantee the socioeconomic status they want. They also chose graduate studies because they needed something in superior to men in order to compete with men. Some participants had to choose graduate studies because of depression in marriage or after childbirth. Their economic circumstanc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arried women's graduate school education. The premise of their graduate studies was the guarantee of sufficient source of funding for tuition and living expenses. Married graduate students with no income were relatively more intimidated in family life and more dominated by the paternal ideologies than married women who were working. Second, the conflicts married women experienced between graduate school and family life were caused by women's gender roles and the influence of paternal ideologies. The participants were worried about having to discontinue learning due to pregnancy, childbirth, or child-rearing and found it difficult to concentrate on learning. Also, they devoted less time to learning because of household chores. Some participants were receiving support from their families, while others were facing opposition and indifference of their families. Although most people would think that they would face the opposition of the in-laws, there were some participants who earned the support of the in-laws, but faced the opposition of their parents. Their colleagues and professors understood the difficult positions of married women in graduate school and showed consideration, but not many of them gave active help. The conflicts married women experience between graduate school and family life were considered as personal issues. Married women's conflicts and difficulties in graduate studies were considered as daily episodes, failing to understand that it is affected by the paternal ideologies that still demand women to fulfill certain responsibilities in family life. This conceals the essence of issue as it is believed that their conflicts are caused by their failure to fulfill responsibilities. Third, participants took initiatives to find the solution to most of their conflicts. They believed that they have to endure the difficulties in graduate studies because it was their personal choice to pursue graduate studies. The conflicts were resolved with the help of families or relatives in many cases, but rarely with the help of others. When it comes to child-rearing, they could not seek outside help due to the discrepancies in quality. As most solutions require financial cost, except for handling the conflicts by themselves, they had to have the financial resources to pay the cost. Married women's solutions to focus on graduate studies were self-sacrifice or finding help my paying the price. Therefore, their immersion in higher education was difficult as their children grew and demanded more from them as mothers. As most participants believed that they were the best person to raise their children and admitted their responsibilities to look after their families, there was no active solution to improve their position. This study examined married women's meaning of graduate studies and conflicts and found that gender roles from paternal ideologies cause women to be excluded from higher education in the Korean society. Married women's graduate school education is clearly influenced by their family life, especially their responsibilities and duties assigned by the gender roles from paternal ideologies. Despite that married women are experiencing conflicts between graduate school and family life due to paternal ideologies, they perceive these conflicts as personal issues and are not actively searching for solutions. In other words, married women in graduate school tended to adjust to the domination of paternal ideologies despite their higher education and modern sociocultural background. Married women lacked understanding of the essential cause as well as active solutions and structural support from the school or social system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hat it identified that married women's conflicts between graduate studies and family life are caused because there is no guarantee of their socioeconomic status. It implies that if married women have to resolve conflicts and continue academic learning with personal efforts only, the socioeconomic status they can achieve through graduate school education would be threatened by their family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