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1 Download: 0

남녀 공학 고등학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Title
남녀 공학 고등학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Authors
이선주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교육은 전인적인 인격을 지닌 민주 시민 양성을 이상으로 삼으며 그 한 방편으로서 남녀 공학의 문제가 대두되고 이에 대해 찬반이 엇갈린 가운데 이미 오래 전부터 남녀 공학이 실시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확대되어 나아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와 같이 계속 추진되고 있는 남녀 공학 고등학교의 교육적 효과를 남녀 공학 제도가 갖는 이론적 장점인 평등사상 구현, 사회성 발달, 학습 효과 신장 그리고 건전한 이성 교제의 네 가지 측면에 대해 비공학 학교일 때와 비교·분석하여 우리 교육의 나아갈 길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으로는 비공학 학교와 공학 학교를 모두 경험한 현직 교사 300명으로 하였으며, 남·녀 교사별, 교사 연령별, 경력별, 경험한 재직교 형태별, 설립 유형별, 현 재직교 계열별, 현 재직교가 남녀 공학으로 전환한 기간별 등으로 남녀 공학에 대해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비공학의 형태와 비교하여 볼 때, 남녀 공학으로 인한 학생들의 남녀평등 의식은 그다지 높게 보지 않았으며, 연령과 경력이 적을수록, 현 재직교 이전에 남학교에 근무한 교사일수록, 그리고 현재 공립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와 실업계에 근무하는 교사·남녀 공학으로 전환한 시기가 3-5년 미만인 학교의 교사일수록 학생들의 남녀평등 의식에 대해 높게 인식하였다. 2. 교사들은 남녀 공학으로 인한 학생들의 사회성 발달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지 않았으며, 연령이 40세 미만, 경력이 적을수록, 현재 공립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실업계 학교 교사, 남녀 공학 전환 시기가 오래된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일수록 다른 교사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3. 교사들은 남녀 공학으로 인한 학생들의 학습 효과에 대해서는 그다지 긍정적으로 인식하지 않았으며, 연령과 경력이 적을수록, 현재 공립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실업계 학교 교사, 그리고 남녀 공학으로의 전환 시기가 오래된 학교 교사일수록 다른 교사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4. 교사들은 남녀 공학으로 인한 학생들의 이성관에 대한 의식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지 않았으며, 남자 교사와 현 재직교 이전에 남학교에 근무한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5. 교사들은 남녀 공학에 대해 그다지 만족하지 않았으며, 남자 교사, 연령과 경력이 적은 교사, 이전에 남학교에 근무한 교사, 현재 공립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와 실업계 학교 교사, 그리고 남녀 공학 전환 시기가 오래된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일수록 남녀 공학에 대해 만족도가 높았다. 남녀 공학에 대한 만족도를 영역별로 살펴보면 '남녀평등'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이성관' '사회성 발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습 효과'가 가장 낮았다. 이상과 같이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남녀 공학이 그다지 만족한 환경이 아니라고 보고 있다. 즉 남녀 공학이 비공학이라는 학습 환경에 비해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영향을 주고 있지 않음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특히 선행 연구에서도 우려한 남녀가 중성화되는 경향, 학교 시설의 부족, 학습 면에서의 남녀 학습 흥미차가 여전히 나타나고 있으며, 학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점이 강하게 부정적으로 나타난 반면에 비공학시와 비하여 이성을 이해하고 이성으로 인한 학생 사고가 줄어들고 있으며 특히 언어가 순화되고 과격한 행동이 학생들 간에 많이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만으로 남녀 공학에 대한 교육적 효과에 그다지 긍정적이지 않다는 결론을 내리기는 지나친 속단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남학교에 근무한 교사들은 남녀 공학이 학생들의 남녀평등 의식과 이성관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는 남학생들이 여학생과 함께 생활하면서 여학생들을 이해하고 그들의 인격을 존중하게 되었으며, 또 남녀 공학으로 전환한 시기가 오래된 학교에 근무한 교사일수록 남녀 공학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현재는 남녀 공학과 비공학이라는 양 체제가 각각 나름대로의 장단점을 갖고 있으며 정착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찬반이 엇갈리는 과도기라 볼 수 있으며 지속적인 남녀 공학은 점점 긍정적으로 정착되어 많은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The goal of education is to raise a well-rounded democratic citizen, and one of the issues constantly being raised in the process is the issue of coeducation. Despite a flurry of pros and cons over this matter, coeducation has been under way for quite some time, and the scope of it is expected to expand over the next several yea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roject is to compare the educational effect between coed and non-coed, and suggest ways for the direction of our education. Four aspects I have integrated in the project are conventional merits of coeducation-egalitarianism, social development, academic enhancement and wholesome gender relationship. Participants of the project were 300 instructors with experiences in both coed and non-coed surroundings. I sought after their opinions on the changing perceptions of students based on the following breakdowns: 1. Gender 2. Age 3. Work Experience 4. School Type 5. Foundation Type 6. Current School Type 7. Transition Period of Current School to Coed The research project summary is as follows: 1) The average for gender equality perception under coed surroundings was a lower than expected 2.97 when compared with non-coed surroundings. Instructors with a higher degree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ended to be those with shorter experience, younger age, experience at male-only schools, work at public schools, work at vocational schools and 3~5 years of coed experience after their schools have been transitioned to such. 2) Instructors in general were by and large skeptical of greater social development as a result of coeducation, supported by the average reading of only 2.64 in this regard. Instructors with a positive perspective on social development in relation to experience, currently teaching at a public school, vocational school teacher, have been under the coed environment for quite some time since the transition. 3) Instructors as whole were not so enthusiastic about the effect of higher academic achievement via coeducation, indicated by the 2.42 average reading on this respect. Again instructors with almost identical profiles as mentioned above in two cased had a greater propensity to demonstrate more positive linkages between coeducation and higher academic standards. 4) Instructors were not so positive on the outcome of better gender relationship stemming from coeducation. Male teachers and those who taught at male-only schools expressed positive responses. 5) In a nutshell, the satisfaction index of coeducation put gender equality at the pinnacle with a 2.97 average, followed by gender perspective (2.89),social development (2.64) and academic achievement (2.42). The average of coeducation satisfaction level among teachers were rather low at 2.73, and those who are male, younger and shorter in job experience, who taught at male-only schools, who currently teach at public schools and vocational schools, and those who have spent considerable amount of time under the coed circumstances after the transition had a tendency to feel greater degree of satisfaction on coeducation. My research project shows that teachers in general have a low level of satisfaction on coeducation. In summary, this very research proves little correlation between improved perception among students' view of the world and coeducation as an academic milieu.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any negative conclusion jumping of coeducation's effect on education solely on the basis of this project ought to be avoided at all costs. We should pay keen attention to the finding that teachers with extensive years of exposure to the coed environment demonstrated greater level of satisfaction towards coeducation. Since both coed and non-coed have positives and negatives, the drawing I would like to make from this project is that we are in the midst of a transition and that as time goes, so will the maturation of this phenomen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