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5 Download: 0

청소년의 계층관에 관한 연구

Title
청소년의 계층관에 관한 연구
Authors
김소연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일반사회교육분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Social inequality is universal phenomenon. Today, inequality means structured social inequality in view of social-economic and it is called social stratification. This term has not yet corresponded in the knowledge but gap of wealth and poverty, income inequality related to these are generalized in our daily life. The problem for social stratum - around a central economic inequality - was beginning to make its appearance seriously in the process of radical industrialization in our country. But it was not until in the later half of 1970s that started the studies about social stratum actively because spread of consciousness for social stratum. In the last, arouse peoples interests in social inequality again, suffering the change of stratum structure that due to structure adjustment caused by the IMF foreign exchange crisis Into this change, we can understand inequality phenomenon in our society through the consciousness of stratum how to judge about its phenomenon and how to classify ones level at the social members. At concrete, the class concept can make it a subject a discussion about the distribution of consciousness for stratum , the correspondence between objective consciousness for stratum and subjective consciousness for stratum, the form of stratum structure that they are conscious of and the evaluation of social transference possibility and so on. This study surveyed the consciousness for stratum of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The subject of study, teenagers, is playing a leading part on the future society and starting have a capability to consider creatively free oneself from fixed idea by the parents and school education. And then they may criticize about contradictory in the existing social system and call a social attention to. It would be different between teenagers the consciousness for stratum and adults that. The content of study is that distribution and character of subjective consciousness for stratum, decisive factor in subjective consciousness for stratum, image for stratum structure, consciousness related to stratum (economical inequality, expectation for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and social transference). The kernel concept of study is subjective consciousness for stratum related to that, image of stratum structure, consciousness related to stratum (economical inequality, expectation for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and social transference). The purpose of study is to search the specific character of class concept in teenager. Social inequality phenomenon is sensitive problem that induce a physical conflict. Therefore it can be an another method which understands the inequality in our society by studying teenagers consciousness about stratum. Also it can be a meaningful study that we foresee our future society. Logical stream of study process can be summarized by making the individual consciousness(subjective consciousness for stratum)caused by social structure (location of objective stratum) and changing of other consciousness due to these. At first, surveyed the teenagers recognition for the stratum theory and stratum phenomenon through the many literature and preceding. So I studied how to recognize ones subjective level for stratum and compared how to be differentiated from another consciousness due to these with questionnaire The characters of subjective consciousness for stratum are that middle class is too big and the income level is the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it. Also teenagers set a more high valuation on one stratum level than adult. Consciousness that they identify themselves with high level in teenagers subjective consciousness for stratum is decreased steeply and identification of low level is increased before the IMF system. A meaningful variables determining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for stratum are sex, income, the satisfaction of living and especially I knew that the satisfaction of living is parameter that connect a economic, social, cultural location variable with subjective consciousness for stratum through the study. Also each influence by variable that have influence on subjective consciousness for stratum is income > fathers job > fathers education level. It is shown that teenagers imagine about stratum structure is - pyramid type, diamond type, two pole type in this order. Especially it means that the their consciousness for actuality is very negative through the people, all of half teenager and the half of lower stratum, selecting the pyramid type, diamond type. And I can find another consciousness about a cause of poverty and degree and education, capability of social transfer. A lower stratums students tell a cause of poverty is in individual factor than middle stratums students but they think social structural factor is very important comparing the high stratum. Also they are conscious that it is very hard that they success with only individual efforts in our society and then actually they are aware of a limits in our structure. Consciousness for actuality is different by the consciousness of stratum, especially teenagers involved in a lower stratum were conscious that our country is not opened very much. I think it is result that has hindered individual motive for accomplishment and potentiality of social development. This study has limit that concept of stratum is measured in fragments.;오늘날 불평등이란 사회경제적 측면에서의 '구조적 사회불평등(structured social inequality)'을 의미하고 이것을 사회 계층화(social stratification)라 한다. 이 용어는 학문적으로 아직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있지만 그와 관련된 용어들인 '빈부격차', '소득불평등'은 우리 일상 생활 속에 보편화되어 있다. 사회불평등의 형태와 그것을 만들어내고 유지시키는 요인, 그리고 이것이 사회구조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좀 더 평등한 사회를 만들 수 있을 것인지는 보편적인 관심주제이다. 특히 급격한 산업화와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사회불평등과 그 해소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한국사회의 현실을 고려할 때 계층문제는 중요한 주제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청소년이 우리사회의 계층문제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계층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시각은 계층관으로 불리는데 그 개념은 주로 계층의식의 분포, 사회성원이 지각하는 계층구조의 형태, 사회이동 가능성에 대한 평가 등이 주요 내용이다. 이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인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계층관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인 청소년은 미래사회의 주역으로 부모, 학교교육에 의한 고정관념을 벗어나 사회현상에 대해 독창적으로 사고할 능력을 갖추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이들은 기존 사회체제의 모순에 대해 비판하고 그 문제에 대해서 사회적 주의를 환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성인들과는 다른 인식의 특성이 나타날 것이다. 연구 목적은 청소년의 계층관의 특성을 통해 현재 우리사회의 불평등의 문제를 간접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만약 청소년의 눈에 한국사회가 사회불평등이 심각하며 사회이동이 현실적으로 제한되어 있고 계층구조가 고착되어 있다고 비친다면 이것은 심각한 문제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인식은 개인적으로는 성취동기를 떨어뜨리고 사회 전체적으로는 사회발전의 잠재력을 저해하는 동시에 계층간의 갈등을 유발하여 사회통합을 저해할 수 있는 측면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육의 목적이 궁극적으로 개인과 사회의 발전을 위한 것이라면 학교 교육내용과 현실의 괴리로 인해 이미 체념적 태도가 내면화된 학생들이 다수라면 미래의 우리사회의 모습을 예상해보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청소년을 통해 계층현실을 진단해보고 사회평등의 실현이 우리에게 얼마나 중요한 과제인지를 다시 검토해야 할 것이다. 우선 이 연구는 여러 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해 계층이론과 계층현상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조사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질문지를 통하여 자신의 주관적 계층위치에 대한 인식상태, 전체사회의 계층구조와 계층관련 의식(경제적 불평등, 교육과 사회이동의 가능성)은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청소년의 주관적 계층의식은 분포 상으로 중간층의 비대화가 두드러졌다. 또한 청소년은 성인보다 좀 더 자신의 계층적 위치를 높게 보고 있고 IMF 이전에 비해 상층 귀속의식은 대폭 감소한 반면 하층 귀속의식은 증가하였다. 주관적 계층의식을 결정하는 유의미한 변수는 성별, 가구소득, 생활만족도 였으며 특히 소득요인의 중요성은 결정적이었고 생활만족도는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지위 등의 변수와 주관적 계층의식 사이를 매개하는 매개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계층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각 변수별 영향력은 소득>부의 직업>부의 교육수준이었다. 청소년의 계층구조 이미지는 피라밋형, 다이아몬드형, 양극형의 순서로 나타났다. 특히 전체 청소년의 1/2, 하층의 1/2가 피라밋형과 양극형을 선택한 것은 이들이 우리사회를 매우 불평등한 구조로 보고있으며 현실 인식이 매우 부정적임을 뜻한다. 한편 계층관련 의식 태도는 하층은 빈곤의 원인을 중층보다는 개인적 요인에서 찾지만 상층에 비해서는 사회구조적 요인을 중시하고 있다. 또한 우리사회가 순수한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성공하기 어려운 구조 속에 있으며 따라서 현실적으로 사회이동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계층의식에 따라 현실을 인식하는 태도에 차이가 있는데 특히 하층에 속하는 청소년은 우리 사회가 개방성이 낮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것은 개인의 성취동기 및 사회발전의 잠재력을 저해할 수 있는 결과로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