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차지혜-
dc.creator차지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2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0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9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099-
dc.description.abstract학교교육은 수많은 변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매우 복잡한 현상이다. 학교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얻은 교육 결과를 학업 성취라고 한다. 이러한 학교교육의 결과인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매우 다양하다. 학업 성취를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학생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학생 구성 특성 변인, 학교의 환경적 특성, 교사 특성 및 교육과정 등이 있다. 초기의 학업 성취도 관련 연구에서는 학생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학업성취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계속된 연구에서는 학교의 환경적 특성 및 학교 내 과정 변인도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 있는 변인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학생의 학업 성취도 관련 연구에서 사용하는 자료들은 위계적인 속성을 갖고 있다. 즉, 학생은 학급에, 학급은 학교에 속하는 다층적인 특성을 띄고 있지만 기존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자료의 위계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료의 위계적인 특성을 살리는 다층 모형(multilevel model)을 사용한 분석 방법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중다회귀분석과 다층모형을 사용하였을 때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2학년 학생의 영어과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자료의 위계적 특성을 살릴 수 있는 다층 모형을 사용하여 다음을 분석하였다. 학업성취도의 변량을 파악하였다. 이것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학교 수준의 변수가 영향을 미치는지, 미친다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학년 별로 분석하였다. 학생 수준의 변수를 투입하였을 때, 학교 수준의 변수를 투입하였을 때 각각 학교 내, 학교 간 학교 내 분산을 어느 정도 설명하는지 학년 별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 특성 변수, 학교 과정 변수, 학생 수준 변수 중 영어과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변수가 무엇이며, 어느 정도의 영향력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실시한 2001년 국가 수준 교육 성취도의 영어과 학업 성취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SPSS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 정리와 기본적인 통계치 산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HLM5 프로그램을 통하여 다층 모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방법의 분석과 다층모형 분석의 결과를 비교하여보면, 전통적인 방법 중 분산방법을 사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가장 많이 나왔으며, 집합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가장 적게 나왔다. 둘째,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학교 수준의 변수가 일정 정도 영향을 미치며, 고등학교로 갈수록 학교 수준 분산이 증가하였다. 이는 고등학교로 갈수록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학교의 영향력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학교 내 분산의 비율은 학생 수준의 변수를 투입한 후 설명력을 높일 수 있었으며, 학교 수준 변수들이 학교 수준의 분산을 설명하는 정도는 중학교 3학년 22.63%를, 고등학교 1학년은 34.03%, 고등학교 2학년은 14.24%이었다. 넷째, 학교 수준 배경 변인 중에서 학년 별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조금씩 달랐으나 지역, 설립 유형, 성별 유형, 선발 유형, 협의회 빈도, 교사의 교직 만족도, 수업 자료 등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 수준 배경변인중 영어과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학생 성별, 부모 학력, 과외 시간, 영어 학습 중에 사용하는 학습 자료, 교과 태도, 학습 동기 등이다. 이 연구에서 다층 모형을 사용한 학생의 영어과 학업성취도에 3개 학년 모두 학교가 위치한 지역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표집상의 제한으로 교사 수준 변수가 학교 수준 변수로 사용된 제한점이 있다. 또한 분석의 수준을 3수준으로 적용하면 2수준 모형을 적용했을 때 보다 정확한 영향력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는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The schooling is extremely complex phenomenon. The many interactions of variables which affect student achievement can take place in a single school. These variables which are effects on student achievement are very various.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what variables are effect on English achievement and how much these variables affect on achievement. In this study, dependent variable was English achievement which was from nation wide achievement test. Independent variable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school-level(school circumstance and school precess) and student-level.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ow large is the school effect on English achievement? Second, after we control for the effect of student variables, whether if there are difference of average of English achievement between schools, what are the school variables that can show this difference? Third, what kind of school circumstance variables influence upon English achievement? Fourth, do school process variables affect on English achievement? and if so, what variables are critical for student achievement? Finally, what kind of student variables have an effect on English achievement and how large the size of effect is. To obtain such a goal, this study used statistical model 2-level HLM(Hierarchical Linear Model) which was considered an appropriate for analyzing data with hierarchical structure. The data for analysis came from the nation wide student achievement test. The results were were as follows; First, as we use one-way ANOVA with random effects, we can get useful preliminary information about how much variation in the achievement lies within and between schools. After analyzing, the variance in the school-level variance of third grade in middle school was 17.56% of total variance, 42.04% in first grade in high school and 40.00% in second grade in high school. That is, school variables affected English achievement in some degree. Second, when analyzing the HLM, to include student variables was increasing in within-school variance. Third, after involving school variables, they could increase the effect of school-level variance, 22.63% in third grade in middle school, 34.03% in first grade in high school and 14.24% in second grade in high school. The school-level variance in second grade in high school was lower than variance of the other grade, so we should find another variables which were able to increase the variance. Fourth, it was different that what school variables affected on English achievement each grade, however, these variables were like this: location of school, type of selection, school type(public and private school), school facilities, teacher satisfaction, teaching material etc. Finally, student variables, such as student gender, parent academic career, academic attitude, academic motivation and academic material, were also accounted for students English achievement. The effects of these variables were various in each grad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5 II. 이론적 배경 = 7 A. 학업성취도의 개념 = 7 1. 학업성취의 의미 = 7 2. 대규모 학업성취도 평가 = 8 B.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수준 변수 = 10 C.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수준 변수 = 13 D. 다층모형을 적용한 선행연구 = 22 1. 다층모형의 개념 = 22 2. 선행연구 = 24 III. 연구방법 = 28 A. 연구자료 = 28 B. 분석도구 = 31 1. 영어과 학업성취도 검사지 = 31 2. 설문지의 구성 = 32 3. 연구변수 = 33 C. 분석방법 및 모형 = 37 1. 분석방법 = 37 2. 분석모형 = 38 D. 연구문제 = 44 IV. 연구 결과 = 45 A. 분석방법에 따른 결과 비교 = 45 B. 학업성취도 변량비율 = 47 1. 학년별 학교 수준의 변수의 영향력 = 47 2. 학생수준 변수의 설명력 = 49 3. 학교수준 변수의 설명력 = 49 C. 학생·학교수준 변수들의 구체적 효과 분석 = 50 V. 결론 및 논의 = 59 A. 결론 및 논의 = 59 B. 연구의 제한점 = 65 참고문헌 = 66 부록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608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영어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수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10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