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신수정-
dc.creator신수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1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1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8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102-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능력 중에서 담화능력의 측면에서 중국 이주청소년이 생산한 한국어 구어 및 문어 서사담화에 나타난 접속표지에 대한 사용 양상을 밝히는 데 있다. 본고가 실시한 담화분석은 텍스트성 요소 중 응결성을 기준으로 하였는데, 특히 접속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본고는 총 Ⅴ장으로 이루어졌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본 연구와 관련된 한국어 학습자의 텍스트성 분석에 관한 연구 및 담화표지 분석에 관한 연구들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Ⅰ장의 마지막에서는 중국 이주청소년의 서사담화에 나타난 접속표지에 대한 분석을 한국어 모어 청소년 화자를 비교집단으로 하여 크게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첫째, 담화와 접속표지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고 둘째,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의 접속표지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논의를 하였다. 이 과정에서 담화분석 중 담화의 표층기제를 밝히는 측면인 응결성 장치로서의 접속이 접속표지를 설명해주는 이론적 바탕이 됨을 설명하고, 이를 통해 한국어에서 접속에 해당되는 것을 크게 접속사, 관용적 연결어, 연결어미로 분류하여 본 연구대상으로 규정하였다. 세 번째로 논의한 이론은 서사담화 분석에 관한 것으로 서사담화의 내용적 특징과 언어적 특징을 살핌으로써 서사담화에서 본고의 연구대상인 접속표지가 다양하게 나올 수 있음을 보였다. Ⅲ장에서는 연구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절차에 대한 개관을 제시하고 중국 이주청소년과 한국어 모어 청소년 화자 두 집단의 연구 참여자 선정 기준을 밝힌 후, 본고의 연구대상인 접속표지의 분석항목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자료 수집 방법을 설명하고 예비 실험의 내용을 통해 보안된 내용을 기술한 후, 본 실험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본고의 자료분석 방법을 연구문제 순서대로 밝혔다. 본고의 접속표지의 분석단위는 단위 문장 당 사용된 접속표지 수로 설정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 결과를 보면, 첫째, 중국 이주청소년과 한국어 모어 청소년 화자의 접속표지는 전체 접속표지 사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세 종류의 접속표지 사용에서도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모두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한국어 모어 청소년 화자가 중국 이주청소년에 비해 각각의 종류의 접속표지 모두를 보다 많이 사용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집단 내에서 문어담화와 구어담화에 사용된 접속표지 사용 차이는 한국어 모어 청소년 집단에서만 확인되었고, 중국 이주청소년 내에서는 담화 종류에 따른 접속표지 사용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국어 모어 청소년 화자가 다른 두 종류의 접속표지에 비해 연결어미를 상당히 많이 사용하여 담화를 생산한 것과 달리, 중국 이주청소년은 한국어 모어 청소년 화자는 더 많은 빈도로 접속사를 사용하였다. 이것은 담화를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접속사와 연결어미 중에서 중국 이주청소년에게 용이한 것은 접속사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양한 연결어미 사용은 이들에게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는데, 한국어 모어 청소년 화자들은 담화 연결시에 접속사보다는 연결어미를 많이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단위 문장 당 어절 수가 보다 많은 한국어 모어 청소년 화자의 담화적 특징을 뒷받침해주는 응결성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관용적 연결어 사용에 있어서 두 집단은 빈도의 차이는 있지만 사용한 종류에서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는데, 이것은 다양한 관용적 연결어 학습을 통해 사용의 숙달도만 높인다면 중국 이주청소년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접속표지임을 보여준다. 그 밖에, 문어 서사담화의 접속사와 연결어미 사용에서 중국 이주청소년은 구어적 표현이 나타난 것에 비해, 한국어 모어 청소년 화자는 문어 서사담화에서는 구어적 표현을 전혀 사용하지 않았고 구어 서사담화에서는 상당히 많은 구어 변이형을 사용하였다. 둘째, 학습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중국 이주청소년의 접속표지 사용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회귀선을 추정해 본 결과 학습기간과 접속표지 사용간의 관계가 U자형 발달곡선과 닮아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목표어 학습초기에는 어느 정도 목표어 규범들 잘 학습되었다가 학습중기에 목표어에 대한 혼동이나 목표어 사용의 규범을 잃어버리고, 다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목표어 사용 규범이 점차 정착화되어 접속표지 사용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한국어의 유의미한 노출에 따라 중국 이주청소년의 접속표지 사용이 달라지는 가를 보았다. 한국어의 유의미한 노출 변인으로는 계승어로서 한국어 학습환경 여부와 한국 내에서 진학이나 취학의 경험 유무를 설정하였다. 먼저 가정에서 계승어로서 한국어를 사용하는 한국계 여부에 따라서 접속표지 사용 차이를 보았는데, 한국계 중국 이주청소년와 비한국계 중국 이주청소년 간의 구어담화 연결어미 사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한국어 모어 청소년 화자의 구어담화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연결어미 사용과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계 중국 이주청소년은 구어담화 연결어미 사용에서 한국어 모어 청소년 화자와 비한국계 중국 이주청소년의 중간 단계의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한국 내에서 진학이나 취학 경험에 따라서는, 구어 서사담화의 접속사 사용에서 경험이 있는 집단이 경험이 없는 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이것을 통해 중국 이주청소년이 한국어에 유의미하게 많이 노출될 수 있는 환경에서 문어의 향상보다는 구어의 향상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마지막인 Ⅴ장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여 요약하고, 본고의 의의와 시사점에 대해 기술했다. 본고의 의의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서사담화 생산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지식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볼 수 있도록 했고, 이를 통해 문법능력을 담화능력으로 발현시킬 수 있는 방법론 연구에 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한국어 담화표지 분석에서 변방에 위치해 있던 연결어미를 주요한 접속표지로 인식하도록 하였고, 한국어 학습자의 실제 담화분석 연구사례로 참조되기를 기대한다. 셋째, 기존에 미비했던 중국 이주청소년의 한국어 학습에 관한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넷째, 중국인이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이주청소년들의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재개발과 프로그램 운영에서 한국어 담화능력 향상을 위한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atterns of Korean conjunctive markers in narrative discourses by immigrant teenagers from China and examine them in the aspect of a discourse competence. The discourse analysis of this study is based on cohesion among elements of textuality particularly focused on conjunction. Previous studies on textuality analysis of Korean learners and analysis of discourse markers are discussed in the first chapter. The patterns of Korean conjunctive markers in narrative discourses by Chinese immigrant teenagers are compared with those of native Korean teenagers. Three topics for more researches are also suggested in the first chapter. In the second chapter,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discourses and conjunctive markers are discussed. The conjunctive markers are measuring units of the analysis of cohesiveness of discourses. This chapter defines conjunctions, idiomatic connective words and connective endings as three objects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discourses are also described in this chapter and the analysis of narrative discourses is selected as the way of revealing a great variety of conjunctive markers. In the third chapter, details of the research are overviewed, such as criteria of selec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analysis of conjunctive markers and research materials. A standard unit of analysis is numbers of conjunctive markers per sentence in discourse of participants. The fourth chapter describe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patterns of Korean conjunctive markers by Chinese immigrant teenagers and native Korean teenagers show meaningful differences. Native Korean teenagers use more conjunctive markers, such andconnectiveendings. Furthermore, Korean speakers show difference in the use of conjunctive markers in a written discourses and spoken discourses, but Chinese learners show no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 Native Korean teenagers use more connective endings than conjunctions or idiomatic connective words. On the other hand, conjunctions are used more often among Chinese immigrant teenagers. The study shows Chinese learners have difficulties in using a wide variety of conjunctive markers and repetitively use the same or similar markers in their dialogue. This supports that Korean speakers discourse more condensely by using more words per sentences than Chinese learners. One thing interesting i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connective words that both Korean speakers and Chinese learners use do not show a big difference, even 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This means when learners practice and master various connective words they can attain proficiency and use various conjunctive markers more often. The period of the learning is also an important factor of the use of conjunctive markers. It shows U-curve patterns, which means beginners use conjunctive markers quite well and often. However, intermediate-level learners run into confusion and avoid using conjunctive markers. Then learners advance to gain mastery of conjunctive markers and use them more frequently. The next factor that influences the use of conjunctive markers by Chinese learners is how often they are exposed to the Korean speaking environment. Learners who speak Koran at home, such as Korean-Chinese family use conjunctive markers more proficiently than those who speak other languages than Korean at home. Chinese learners who go to school or work in Korea use more conjunctive markers in spoken dialogues than those who do not. This supports the fact that language learners who are exposed to Korean-speaking environment more often can use conjunctive markers more often and accurately. The final chapter describes results of this research and suggests further study in the future. First, this study shows how learners apply their knowledge on Korean grammar to narrative discourses and suggests how to help learners reveal their grammar into discourses. Secondly, the study recognizes connective endings which have been ignored in many studies as one of major conjunctive markers. Thirdly,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al research on Korean discourses by Chinese immigrant teenagers. Finally, this study will help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mprovement of discourse competence in designing Korean teaching materials for Chinese learners who win an absolute majority of Korean learn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4 1. 한국어 학습자의 담화표지에 관한 연구 5 2. 한국어 학습자의 서사담화 분석에 관한 연구 9 3. 이주 아동·청소년의 한국어 학습에 관한 연구 11 C. 연구 문제 15 Ⅱ. 이론적 배경 18 A. 담화와 접속표지 18 1. 담화와 텍스트성 18 2. 접속표지 22 B. 한국어 담화 접속표지 27 C. 서사담화(narrative) 분석 32 Ⅲ. 연구 방법 36 A. 연구 참여자 37 B. 연구 대상 39 C. 자료 수집 방법 40 D. 연구 실험 및 자료 수집 40 1. 예비 실험 40 2. 본 실험 42 E. 자료 분석 방법 43 1. 전사 방법 43 2. 통계 처리 방법 43 Ⅳ. 연구결과 및 해석 46 A. 중국 이주청소년과 한국어 모어 청소년의 연결표지 사용 양상 비교 47 1. 두 집단이 생산한 전체 연결표지 수 비교 48 2. 집단 내 연결표지 사용 차이 비교 50 3. 서사담화에서 사용된 연결표지의 종류와 빈도 비교 54 B. 중국 이주청소년의 한국어 학습기간에 따른 연결표지 사용 양상 62 C. 한국어 학습환겨예 따른 중국 이주청소년의 연결표지 사용 양상 64 1. 중국 이주청소년의 한국계 여부에 따른 연결표지 사용 비교 64 2. 중국 이주청소년의 취업이나 진학경험 유무에 따른 연결표지 사용 비교 66 Ⅴ. 결론 및 제언 68 참고문헌 71 부록 1 기관 의뢰용 연구 소개서 80 부록 2 연구 참여 동의서 81 부록 3 연구 질문지 82 부록 4 중국 이주청소년의 문어 서사담화 일부 85 부록 5 한국어 모어 청소년 화자의 문어 서사담화 일부 87 부록 6 중국 이주청소년의 구어 서사담화 일부 88 부록 7 한국 모어 청소년 화자의 구어 서사담화 일부 89 ABSTRACT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337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중국 이주청소년 한국어 서사담화의 접속표지 사용양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Korean Conjunctive Markers in Narrative Discourse by Chinese Immingrant Teenagers-
dc.creator.othernameShin, Su Jung-
dc.format.pagex,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