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설경옥-
dc.contributor.author이선아-
dc.creator이선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7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5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7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51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환경 불안정성이 청소년의 부적응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거주지 이전과 양육자 변경 경험을 양육안정성의 두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양육자 변경 경험과 거주지 이전 경험이 청소년의 행동 문제 및 학교성적 문제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 그리고 양육자변경 경험과 거주지 이전 경험은 개인변인(성별 및 나이)과 가정변인(가정의 경제적 수준), 관계변인(부모 관계와 친구 관계)을 통제하고도 청소년의 부적응 문제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학생 793명을 대상으로 심리검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779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자변경 경험과 거주지 이전 경험은 청소년의 행동 문제 및 학교성적 문제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자 변경횟수는 행동문제,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학교성적과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거주지 이전 경험은 행동문제, 외현화문제, 학교성적과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거주지 이전 경험과 내재화 문제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양육자 변경 경험과 거주지 이전 경험은 개인변인(성별 및 나이), 가정변인(경제적 수준), 관계변인(부모 관계와 친구 관계)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와 학교성적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내재화 문제는 예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가정환경 불안정성의 종속변인에 대한 낮은 설명력에 대해 논의하고, 질적 연구로의 자료 수집 방법의 개선과 좀 더 다양한 맥락을 반영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가정환경 불안정성에 초점을 두고 양육자 변경 횟수와 거주지 이전회수와 청소년의 부적응 문제와의 관계를 탐색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정리하면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적응 문제를 가정환경 불안정성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성을 제안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서의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Associations between family instability and adolescent adjustment problems(including internalizing, externalizing, and educational outcomes) were examined(N=779). Family instability was assessed with number of residential moves and separations from caregivers. Househol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current environment were controlled. Family stability effects remain significant even after these controls. Higher numbers of residential moves and parental separations predicted greater adolescent externalizing and educational outcomes.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with importance of family instabi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A. 가정환경 불안정성 4 1. 양육자 변경 경험 6 2. 거주지 이전 경험 6 B. 청소년의 부적응 문제 7 1. 행동 문제 8 2. 학교 성적 9 C. 청소년의 부적응 문제 관련 변인 10 1. 개인 특성 10 2. 가정의 경제적 수준 12 3. 지각된 관계 변인 12 Ⅲ. 연구 방법 15 A. 연구 대상 15 B. 조사 도구 16 1. 청소년의 부적응 문제 16 2. 가정환경 불안정성 17 3. 개인특성 및 가정의 경제적 수준, 지각된 관계 수준 17 C. 조사 절차 및 자료 분석 18 Ⅳ. 연구 결과 20 A. 기술통계분석 20 B. 상관관계 20 C. 가정환경 불안정성과 청소년의 행동 문제 22 D. 가정환경 불안정성과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학교 성적의 관계 23 Ⅴ. 논의 및 결론 25 A. 요약 및 해석 25 B.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26 참고문헌 30 부록 40 ABSTRACT 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07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가정환경 불안정성과 청소년 부적응 문제와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양육자변경 및 거주지이전 경험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Family Instability and Maladjustment in Adolescence-
dc.creator.othernameLee, Sun Ah-
dc.format.pagevii, 4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