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숙-
dc.contributor.author김지혜-
dc.creator김지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7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9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7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91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청소년 직업 및 취업설계프로그램(TOP)을 바탕으로 해서 수정된 진로집단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청소년 직업 및 취업설계 프로그램(TOP)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청소년 직업 및 취업설계 프로그램(TOP) 중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연구대상 선정,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구성, 사전검사, 청소년 직업 및 취업설계 프로그램(TOP) 적용, 사후검사, 자료 분석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중학교 2학년 학생들 중에서 프로그램 참가 희망 학생 30명을 선발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각 15명씩 배치하고, 2012년 10월 4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2012년 10월 4일부터 2012년 11월 9일까지 청소년 직업 및 취업설계프로그램(TOP)을 총 8회기에 거쳐 진행하였고, 비교집단은 2012년 10월 4일부터 2012년 11월9일까지 서울시교육청 서울시교육연구정보원에서 개발한 『미디어와 함께하는 교실 속 진로체험』을 적용하여 실험집단과 동일하게 총 8회기로 진로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측정도구인 사전·사후검사로는 진로성숙도검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검사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질문지였고, 각각 30문항, 2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진로성숙도검사는 Crites(1961)의 CMI 검사 중, 한국 실정에 맞게 번안하고 수정·보완한 강유리(2006)의 상담용 검사를 활용하였고, 중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위하여 Betz, Klein과 Taylor(1996)가 개발한 CDMESES-SF 검사를 이기학과 이학주가(2000)타당화하고, 이은경(2001)이 수정·보완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검사지를 재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통계적인 방법으로 검증하기위하여 일원변량분석, 혼합변량분석, 일원공변량분석, 반복측정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효과의 확인을 위해 진로성숙도 하위영역별로 반복측정변량분석을 한 결과, 진로확정도, 진로독립도, 진로타협도, 진로선택태도, 진로관여도 모두 5가지 영역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여 진로성숙도의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을 위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영역별로 반복측정변량분석을 한 결과, 직업정보수집, 목표설정, 계획수립, 문제해결, 자기평가의 5가지 하위 영역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청소년 직업 및 취업설계프로그램(TOP)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진로 및 직업 관련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진로 집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들이 스스로 진로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fter developing a group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mproved based on precedent stud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such studies,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eenager Occupation Program(TOP) created by the Korean counseling & welfare institute focusing on the design profession and employment of youth development. 30 students at second grade of the middle school selected as subjects performed in this study. They are devided into comparison group composed of 15 member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5 starters. A pre-inspection was conducted on Oct. 4 2012. From October 4, 2012 to November 9, 2012,a total of 8 therapy seesion was proceeded with a comparison group of media career group programs and experimental groups of TOP.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ests were used as a measurement tools. Way ANOVA analysis (One-Way ANOVA) to verify the homogeneity homogeneous group for the pre-test resul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of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is study was conducted.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each sub-area test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pre-and post-test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difference for changes in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is study, the significance mixed ANOVA (Mixed-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tatistics not secured in the sub-area homogeneity in advance for the pre-test score as a covariate, and then ANCOVA(one-Way ANCOVA) was carried out by putting posttest scores. Shown to make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r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eenager Occupation Program(TO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of Teenager Occupation Program(TOP) whether or not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five different sub-areas of career maturity, career independency, career choice, career compromise, attitude choosing their path after graduation, awareness of their career.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observations of the feedback of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eenager Occupation Program (TOP) and counselor's observation, the program (TO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 that Teenager Occupation Program (TOP) of this stud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improvement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deriv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veloping a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oriented Teenager Occupation Program (TOP) and verifying the effectiveness and implications of it,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s on students' career choices were derived. The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treating career, as well as socia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cused on Teenager Occupation Program(TOP) was developed as comprehensive one. First, Sine study selected 2nd grade students attending one middle school as study subjects,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ation the above effects. Next, After 8 sessions over short-term career group counseling, follow-up management was not done. Consequently there is a need to further inspection and subsequent management to review effectiveness of this study, once again. And an alternative which can be applied to this program, should be studied continuously taking advantage of short-term progra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진로발달 5 B. 진로집단 프로그램 7 C. 진로성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9 D. 선행연구의 고찰 13 Ⅲ. 연구방법 1 17 A. 진로집단프로그램 목적 및 구조, 내용 17 B. 프로그램 적용 및 활용방향 19 C. 프로그램 예비 실시 19 D. 프로그램 실시 23 E. 프로그램 평가 27 Ⅳ. 연구방법 2 28 A. 연구대상 28 B. 연구절차 28 C. 실험설계 31 D. 측정도구 32 Ⅴ. 연구결과 35 A. 진로성숙도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집단간 동질성 검증 35 B. 진로성숙도에 대한 효과 36 C.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대한 효과 43 Ⅵ. 논의 및 제언 50 A. 결론 요약 50 B. 시사점 및 제언 52 참고문헌 55 부록 61 ABSTRACT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530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진로집단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청소년직업 및 취업설계 프로그램(TOP)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a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Career Self-Efficacy : Teenager Occupation Program (TOP)-
dc.creator.othernameKim, Ji Hye-
dc.format.pagex,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