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현의-
dc.contributor.author이순하-
dc.creator이순하-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7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8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7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89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자녀 문제에 있어 학부모의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접근요인(사회적 지지 수용)과 회피요인(자기 낙인, 사회적 낙인)을 중심으로 경제적 수준에 따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가 다르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계되었다. 즉, 본 연구의 목적은 학부모의 경제적 수준이 사회적 지지 수용, 자기 낙인, 사회적 낙인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며, 자녀문제 상담에 있어서의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심리적 어려움에 처한 저소득 가정의 청소년들이 상담이나 심리치료와 같은 전문적 도움을 구하지 않는 구체적 이유를 탐색하고, 상담 및 적절한 심리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 비율이 높은 중학교 4개교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사회적 지지 수용척도(Network Orientaion Scale; NOS), 자기 낙인 척도(Self-Stigma Of Seeking Help Scale; SSOSH), 사회적 낙인 척도(Stigma Scale for Receiving Psychological Help; SSRPH),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척도(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l Help Scale-Short Form; ATSPH-SF)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단순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수준에 따라 각 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 수용, 자기 낙인, 사회적 낙인,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서 경제 수준별 집단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즉, 경제적 수준이 낮은 저소득 가정이 일반 가정보다 사회적 지지 수용, 자기 낙인, 사회적 낙인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가 높게 나타나 저소득 가정의 학부모가 사회적 지지 수용, 자기 낙인, 사회적 낙인에 대해 더욱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 문제에 대해 학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사회적 지지 수용, 자기 낙인, 사회적 낙인,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의 경우 저소득 가정에서는 사회적 지지 수용, 자기 낙인, 사회적 낙인과 부적 상관관계를 가진다. 반면, 일반가정에서는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의 경우 사회적 낙인과의 관계는 부적인 관련성을 가지나, 사회적 지지 수용과 자기 낙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수용도의 경우, 자기 낙인과의 관계가 저소득 가정에서는 정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일반 가정에서는 부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낙인과의 관계에서 저소득 가정은 정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반면, 일반 가정에서는 관련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낙인과 사회적 낙인과의 관계에서 저소득 가정에서는 정적으로 유의한 관련성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반 가정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제적 수준에 따라 각 변인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저소득 가정의 학부모는 자녀문제에 대한 사회적 지지 수용과 자기낙인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를 설명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자기 낙인은 사회적 지지 수용보다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반 가정에서는 사회적 낙인만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를 예측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제적 수준에 따라 자녀문제에 대한 전문적 도움추구 대상과 상담을 꺼려하는 요인의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자녀문제에 관한 잠재적 내담자인 학부모의 특성을 더 잘 이해하고, 저소득 가정의 자녀상담 접근방식 및 전문상담에 관한 홍보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is study was based on the advanced studies in which parents'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are different in dependent on their economic level focusing on approach factor(social network orientation) and evasion factors(self-stigma and public stigma) which have influence on parents'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parents' economic level and social network orientation, self-stigma and public stigma, and also its influence on their attitudes toward counselling about their children.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reason why low-income youths with psychological difficulties do not seek professional help like counselling or psychotherapy, and also to promote them to receive counselling and appropriate psychotherap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250 students from four middle schools with higher rate of low-income. As measuring tools, we used Network Orientation Scale(NOS), Self-Stigma Of Seeking Help Scale(SSOSH), Stigma Scale for Receiving Psychological Help(SSRPH),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Scale-Short Form(ATSPH-SF). BY using SPSS 19.0 program, the collected data was verified wit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simple/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dependent on study questions. The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is like below. In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each variable in accordance with economic level, first, the differences in groups with different economic level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social network orientation, self-stigma, public stigma and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In other words, low-income families show high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network orientation, self-stigma and public stigma, which means that low-income parents have more negative perception of social network orientation, self-stigma and public stigma. In results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economic level and social network orientation, self-stigma and public stigma and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in regard of counselling about their children, second, the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of low-income families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social network orientaion, self-stigma and public stigma. On the other hand, the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of ordinary families have negative relations with public stigma while social network orientation and self-stigma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ase of social network orientation, it shows positively significant relations with self-stigma in low-income families while it shows negatively significant relations in ordinary families. Also in the relation with public stigma, low-income families show positively significant relations while ordinary families show almost no relations. The relation between self-stigma and public stigma is positively significant in low-income families while it is not significant in ordinary families. In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each variable on the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in accordance with economic level, third, social network orientation and self-stigma of low-income parents in regard of their children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explanation of the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Among them, self-stigma has more influence on the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than social network orientation. On the other hand, public stigma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prediction of the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in ordinary families. Fourth, there are differences in factors of avoiding counselling and the object of professional help in accordance with economic level. This study is significant to provide basic data for approach methods and promotional strategies of counselling with low-income children that occupy high percentage of adolescent problems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s who are the potential clients in counselling agenc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저소득층 6 1. 저소득층 개념 6 2.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특성 7 B. 자녀문제에 대한 학부모의 전문적 도움추구 필요성 8 C.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9 1. 사회적 지지 수용 9 2. 낙인 11 (1) 자기 낙인 11 (2) 사회적 낙인 12 D.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13 Ⅲ. 연구방법 15 A. 연구대상 15 B. 연구절차 16 C. 연구도구 16 1. 저소득층 16 2 사회적 지지 수용도 17 3. 낙인 17 (1) 자기 낙인 척도 17 (2) 사회적 낙인 척도 18 4.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18 D. 분석 방법 19 Ⅴ. 연구결과 20 A. 경제적 수준별 사회적 지지 수용, 낙인,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의 평균차이 검증 20 B. 경제적 수준별 사회적 지지 수용, 낙인, 전문적 도움추구 간의 관계 비교 21 C.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대한 경제적 수준별 회귀분석 22 D.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관련 실태조사 문항 결과 및 분석 23 Ⅵ. 결론 및 제언 31 A. 요약 및 논의 31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33 참고문헌 36 부록 44 ABSTRACT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81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학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자녀 문제에 대한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와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사회적지지수용, 자기낙인, 사회적 낙인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 Between Parents' Economic Level and Their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about Children's Problems : Focused on Social Network Oreiention, Self-Stigma and Public stigma-
dc.creator.othernameLee, Sun Ha-
dc.format.pageix, 5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