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4 Download: 0

장애통합 보육교사 교육 실태 및 요구조사

Title
장애통합 보육교사 교육 실태 및 요구조사
Other Titles
Current Status of Completion of Required Courses for Teachers’ inclus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Request Analysis
Authors
유현주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경혜
Abstract
The focus of this study was placed on ‘Teachers’ out of the elements for the quality growth of integrated education of disabled children which has been growing very quickly based on the elevated attention to children with disability. It tried to identify the teachers’ education completion status of teachers and staffs in Children’s Home where disabled and normal children integrated education was being performed and to find the direction to enhance the expertise of teachers and to improve teachers’ education through the current status of teachers and their requests for teachers’ education progra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0 teachers and staffs in 48 national and public Children’s Home which performed integrated education for normal and disabled children. Excluding some incomplete copies, 160 copies were analyzed in final analysis. SPSS 19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against demographical items.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on categorical questions of the respondents based on their demographic information. For the questions asking satisfaction, average values were compared through independent t-test or ANOVA analysis. The maximum significance level was set as 0.05 and they were verified if they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First, 49.4% answered that teachers chose education considering the contents of education, practical applicability to the site of Children’s Home and helpfulness of the education to their businesses to get help for the qualification, attitudes, roles and expertise and that the obstacles to get education was lack of time (because it would reduce the childcare time).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 issue of substitute teacher recruitment that Kim Tae-suk (2009) addressed. It was found that most of teachers’ education programs for integrated education teachers in Childcare Information Center were given from 3 to 6 in the afternoon on weekdays. Such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rograms were performed in the time slot which would not interfere the working hours or childcare hours of teachers as much as possible,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time they want to have educational programs was found to be from 3 to 6 among 92.3% and 85.1% of subjects respectively. The times of program completion were shown as in the order of 0, 1 and 2, which showed they did not have many opportunities to have educational sessions. It was also found that lecture type teaching (85.5%) was most frequently used through the form of autonomous learning (one-time teachers’ education) (69.6%). Finally, the average completion level of 37 educational contents was only 18.6% and 8 courses out of them showed less than 10% of completion level. Second, although they had high satisfaction for the education, when looking into the subcategories such as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he variety of contents and the actual applic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program, the satisfac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program was the highest and then the satisfaction for the participation i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program followed. On the other hand the variety of contents and the actual application showed relatively low satisfaction, which showed that the goal to acquire and utilize knowledge through education was not achieved. Third, in the requirements of the teachers,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was perceived high. They answered that Childcare Information Center should provide substitute resources so that teachers could attend educational programs (43.6%) and that systematic education should be in place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achers’ educational programs (54.4%). They answered those programs should performed through (46.5%) and lecture (31.8), and the lecturers should be integrated education experts (86.7%). Although they showed over average interest in educational contents, they wanted to have practically helpful contents rather than introductory lectures. The followings are the proposals based on the study results. First, we should improve the understanding and expertise in integrated education by making the teachers’ education mandatory rather than an elective and provide them with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by supplying substitutes. Second, in educational methods,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 method should be utiliz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definition of integrated educational professionals should be established. We need to help them to apply professional knowledge on special education to the situation of integrated childcare. Third, teachers’ education should be composed with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and those programs should consider the basic course on the concept and definition although they should focus on the actual aid. It is believed that systematic teachers’ education based on the proposals of this study will bring quality improvement to the integrated childcare.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동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 빠른 속도로 양적인 성장을 하고 있는 장애아동 통합보육에 대한 질적인 성장을 위한 요소 중 ‘교사’라고 하는 부분에 초점을 두어 이루어졌으며 실질적으로 장애통합 보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교수이수 현황과 요구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고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현직교사에 대한 질 높은 교사 교육의 방향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국공립 장애통합어린이집의 보육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182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9를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진행하였고, 인구학적 문항에 대해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학적 문항을 기준으로 응답자들의 범주형 문항에 대해서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고, 만족도를 묻는 문항들의 경우에는 인구학적 문학을 기준으로 독립 t-test 또는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평균비교를 진행하였다. 최대 유의수준은 0.05를 기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자질, 태도, 역할, 전문성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가 96(52.7%)명 또는 ’어린이집의 지명을 받거나 타인에 의해서‘가 49(26.9%)명이 교육을 희망하였고 이는 교사의 직위, 장애통합반의 담당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육을 선택 할 때에는 교육내용이 88(48.3%)명과 어린이집 현장의 적용 가능성이나 업무의 도움 여부에 따라서가 75(41.2%)명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변인에 따라 차이는 없었다. 교육선택의 방해요인으로는 100(54.9%)명이 교육받을 시간이 부족해서로 선택하였는데 이도 변인간의 차이는 없었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연 0회, 연 5회 이상이 각각 62(34.0%)명과 28(15.4%)명으로 나타났는데 변인간의 차이가 있었고 교육 유형에 따라서는 자율연수(일회성교육)을 가장 많이 이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형태는 강의가 99(54.4%)명으로 가장 높았고 교육일시는 평일 오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육내용으로는 8가지 영역 37개의 하위영역에서 182명의 응답자중 교육경험이 없는 62명을 제외하고 평균 44(36.7%)명이 교육경험이 있었다. 셋째, 교육에 대한 만족은 5점 척도의 평균 3점으로 나타났고 가장 높은 영역은 시간, 교수방법, 교육비용, 강사에 대한 교육방법에 대한 것으로 가장 낮은 영역은 교육 참여에 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들은 장애통합 교육에 대해 필요함 이상이 166(91.2%)명으로 나타났고 137(75.3%)명이 실제 보육에 대한 도움을 얻기 위하여 교육을 희망하였고 이러한 교육을 받기 위하여 대체인력의 지원- 80(44%)명과 47(25.8%)명이 요구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변인간의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교사교육의 운영에 대해서는 계획 및 실행을 장애통합 전문가가 해야 한다는 의견이 107(58.5%)명으로 가장 높았고 그 뒤를 이어 특수교사가 68(37.4%)명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를 위해 보육정보센터는 교사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내용의 다양화가 각각 73(40.1%)명, 47(35.8%)명으로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교사교육의 실행에 있어 보육교사들은 체계적인교육과 정기적인 교육을 각각 104(57.1%)명, 66(36.3%)명이 요구하였고 이는 연 5회 이상이 72(39.6%)로 가장 높게 요구하였다. 또한 교육일시는 평일 오후를 가장 높이 희망하였고 교수방법으로는 워크숍과 강의가 각각 75(41.2%)명, 53(29.1%)명으로 높이 나타났으며 교육강사로는 장애통합전문가(보육 및 영유아전공과 특수교육을 함께 전공)가 가장 적합하다고 165(90.7%)명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교사교육의 내용으로는 평균 4점 이상의 필요성을 요구하였고 가장 낮은 하위영역으로는 통합교육의 이해 및 지식이 가장 높은 영역으로는 장애유아 지도이해 및 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교육을 희망하는 동기는 교사의 자질, 태도, 역할, 자질, 전문성에 대한 도움과 어린이집의 지명을 받거나 타인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고 이는 직위 등에 대한 변인에 차이가 있음으로 장애통합 보육교사의 교육을 진행 할 때에는 장애통합어린이집으로 지정된 어린이집과 지정되지 않은 어린이집이더라도 교사교육에 대한 교육을 보수교육에만 의지하지 않고 보육정보센터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한다. 둘째, 보육교사들이 희망하는 교육은 체계적이고 정기적인 교육이나 현재 가장 많이 이수하고 있는 교육은 일회성 교사교육임으로 보수교육이외의 교육을 교육과정에 따라 계획하여 장단기교육을 꾸준히 실행하여 교사들의 전문성을 높이고실제 업무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교육에 대한 만족도에 가장 낮은 영역인 교육참여 부분에 대해서 교육에 대한 홍보와 교육참여를 위한 지원 요소인 대체인력의 지원과 교육내용의 다양화를 실현해야 한다. 특히 대체인력의 지원은 꾸준히 논의 되는 이야기이나 아직 개선되지 않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넷째, 장애통합의 전문가가 필요하다. 실질적으로 보육정보센터에서 특수교사의 비율은 매우 낮고 서울시 내의 보육정보센터에 총 24명이 근무하고 있으나 이는 교사들이 요구하고 있는 장애통합의 전문가와는 다름으로 장애통합 전문가의 개념에 대해서 다시 한 번 확립하고 양성제도를 구축해야 한다. 다섯째, 체계적이고 정기적인 교육을 위해서 교육내용의 다양화가 꼭 이루어져야 하며 교사들의 이해도와 실제업무에 대한 도움을 위하여 교수방법 또한 다양화 되어야 한다. 보육교사들의 희망하는 강의와 워크숍에 대한 요구는 이에 대한 반영으로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실제 워크지를 통한 실제업무에 대한 도움을 요구하고 있으며 다양한 교육내용 중 그 필요성과 요구에 대하여 구체적인 연구를 재조사하여 그 대상에 따라 장애통합을 담당할 교사에 대한 사전 교육과 장애통합 현직교사를 위한 현직교육 등으로 나누어 교사교육에 대한 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교사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장애통합보육의 질적인 성장을 가져오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