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어린이집 평가인증 조력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Title
어린이집 평가인증 조력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The perception of Day Care Center teachers' about assisting for the Accreditation System of Day Care Center
Authors
박성경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that Day Care Center teachers' perceptions, experiences, and needs to the assistance during the process of the accreditation system of Day Care Center and reactive assistance after the accreditation system of program for young children. Through this, it trie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offering the direction of effective help in the entire process of the accreditation system. For the purpose, established subjec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What is Day Care Center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to the assistance for the accreditation system of day care for young children? 2. What is Day Care Center teachers' needs to the help method(large group education, small group workshops, excellent organization visits, on-site assistance and post-assistance)? It surveyed 166 teachers experienced the help during the process of the accreditation system and more than one year of teaching among the nurseries located in Mapo-gu, Jongno-gu, Dongjak-gu, Nowon-gu where the help for the accreditation system was performing activel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s a study method, and it was written by researcher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a survey of the literature, and was composed of a total of four categories of 31 item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frequency, percentage and the percentage of the cases. The result is as follows: At first, in the result of perceptions and experiences to assistance for the accreditation system of day care, teachers recognized that it's needed for proper support to the lacking part of the assistance for the accreditation system. In experiences of the assistance for the accreditation system of teachers, the on-site assistance which appropriate assistance could be made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variety of Day Care Center was the most common. And, the help for the accreditation system which teachers experienced had been performed by child care professional personnel, chief of Chid care Information Center and child care(early childhood education) associated professor through the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might be two times,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cess of the accreditation system.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help for accreditation system was effective because it enhanced the understanding of the care and education of infants, and were generally satisfied, but still not satisfied teachers were remained. Secondly, in the results of the teachers' needs to the assistance for the accreditation system of day care, the problems were the lack of the assistance time and the confusion caused by the different help depending on the expertise of professional assistance, qualities, capabilities. In a similar vein, they answered that the problems of the help for the accreditation system could be improved by matching the contents of the help through the education of professional assistance before the help and after the help centered connecting process of pre-assistance. About current help methods (large group education, small group workshops, excellent organization visits, on-site assistance), they generally wanted that child care(early childhood education) associated professor performed the entire area of the accreditation system at the nurseries where they worked or the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2 times, 1~2 hours at a time, in the afternoon on weekdays. However, they asked other contents or metho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elp.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professional assistance needed objective assessment skills and understanding indicators based on indicators that were the basis of the accreditation system, and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nurseries. They answered that the professional assistance should grasp the understanding level of indicators of nursery teaching staffs and information about operation of nurseries at first, and teach the purpose and expecting effectiveness of the accreditation system first of all. They wanted nursery environment, curriculum, interaction and teaching method as the priority of the assistance, and the guidance through small meetings between the professional assistance and them at the on-site nurseries after accomplishing the help for the accreditation system. In the result of finding teachers' needs about the reactive assistance after the accreditation system, most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it's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maintenance and management. They wanted that the reactive assistance after the accreditation performed on the entire area of the accreditation system one time a year, after one year, 6 months or 3 months since the end of the accreditation system. Also, they wanted that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ies for the promotion of professionalism as the reactive assistance after the accreditation system were performed at the nurseries where they worked or the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by child care professional personnel, chief of Center and child care(early childhood education) associated professor.;본 연구는 어린이집 평가인증 과정 중에 이루어지는 조력과 사후조력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인식, 경험 및 요구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평가인증의 전과정에서 효과적인 조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제시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린이집 평가인증 조력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인식 및 경험은 어떠한가? 2. 어린이집 평가인증 조력의 방법(대집단 교육, 소집단 워크숍, 우수 기관 방문, 현장방문 조력, 사후조력)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평가인증 조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마포구, 종로구, 동작구, 노원구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중 조력 받은 경험이 있는, 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 1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설문지는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토대로 연구자가 작성하였으며, 총 4개 범주의 3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케이스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평가인증 조력 경험 및 인식을 알아본 결과, 교사들은 평가인증 조력이 부족한 부분에 대한 적절한 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이 경험한 평가인증 조력 방법으로는 다양한 어린이집 상황에 따라 적절한 조력이 이루어질 수 있는 현장방문조력이 가장 많았다. 또한 교사들이 경험한 평가인증 조력은 평가인증을 참여하기 전부터, 2회 정도로, 보육정보센터를 통해, 보육정보센터 보육전문요원이나 센터장, 보육(유아교육)관련 교수에 의해 이루어졌다. 교사들은 영유아의 보육 및 교육 방향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켜 주기 때문에 평가인증 조력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고, 평가인증 조력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였으나 여전히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교사들도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평가인증 조력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알아본 결과, 현재 실시되고 있는 조력의 문제점으로는 조력 시간 부족과 전문 조력가의 전문성, 자질, 역량에 따라 다른 조력내용으로 인한 혼란이 가장 두드러졌다. 같은 맥락으로 평가인증 조력 전에 전문 조력가 교육을 통해 조력의 내용을 일치시키고, 평가인증 안내를 위한 사전조력부터 평가인증 이후 어린이집 질 유지․관리를 위한 사후조력까지를 연계하는 과정 중심의 조력을 실행함으로써 평가인증 조력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현재 평가인증 조력 각각의 방법(대집단 교육, 소집단 워크숍, 우수 기관 방문, 현장방문 조력)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평가인증 전체 영역을, 평일 오후에, 자신이 근무하는 어린이집이나 보육정보센터에서, 보육(유아교육)관련 교수가, 2회, 1~2시간 정도 실시하기를 원하였다. 그러나 각 조력 방법의 특성에 따라 다른 내용이나 방법을 요구하기도 하였다. 교사들은 평가인증 조력을 제공하는 전문 조력가는 평가인증의 기준이 되는 지표에 근거한 객관적인 평가능력과 지표에 대한 이해, 어린이집 현 상황을 파악하는 능력이 요구된다고 인식하였다. 평가인증 전문 조력가는 보육교직원들의 평가인증 지표 이해 수준과 원 운영에 대한 정보 파악을 우선하여야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교사들에게 평가인증의 목적 및 기대 효과를 먼저 교육해야 한다고 보았다. 조력의 우선순위로는 보육환경, 보육과정, 상호작용 및 교수법영역을 원하였고, 평가인증 조력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어린이집 현장에서 교사와 전문 조력가간의 소모임을 통해 안내 해주기 원하였다. 평가인증 이후 사후조력 필요성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알아본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이 보육 및 교육의 질 향상, 유지 및 관리를 위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평가인증 사후조력은 평가인증이 끝난 후 1년, 6개월이나 3개월 이후부터, 일 년에 한 번 정도, 평가인증 지표 전체 영역에 대해서 이루어지길 원하였다. 또한 평가인증 사후조력은 교육 등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 기회를, 자신이 근무하는 어린이집이나 보육정보센터에서, 보육정보센터의 보육전문요원이나 센터장, 보육(유아교육)관련 교수에 의해서 이루어지기를 원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