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9 Download: 0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직무만족도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Title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직무만족도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 of emotional labor of kindergarten teachers with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Authors
안혜정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verall aspects regarding emotional labor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difference in it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orrelation of emotional labor with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state of emotional labor for kindergarten teachers? 1-1. What is overall aspects regarding emotional labor of kindergarten teachers? 1-2. Is there any difference in emotional labor of kindergarten teachers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age,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and marriage)? 1-3. Is there any difference in emotional labor of kindergarten teachers according to their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type of an institution, children's age that takes charge of, number of children in a class, and working hours)? 2.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3.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social support? The subjects for current study were 334 kindergarten teachers who work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For measuring the state of emotional labor of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Labor of Teaching Scale(ELTS), which was used in the research done by Brown(2011), was translated and used. For investigating job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Measurement Scale for Child Care Teachers used by Lee(2007) was adapted and used, and for measuring social support, Indirectly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developed by Park(1985) was used. For data analysis, average, standard deviation, ceiling value and valley value, frequency and percentage, t 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fter doing one-way ANOVA, in case of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Scheffé posterior test was made to find out which of the groups revealed the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motional labor of kindergarten teachers was not high, but was high in order of deep acting, natural emotions, surface acting. Among the teachers’ personal variables, only type of institution and working hou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words, teachers working in a public kindergarten seemed to perform more deep acting as compared with teachers working in a private kindergarten. Also, the teachers who work more than 11 hours and 30 minutes show more surface acting but lesser deep acting than teachers who work more than 10 hours 30 minutes, but less than 11 hours and 30 minutes. Moreo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labor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 variables including age,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and marriage, and institutional variables including children’s age that a teacher takes charge of and number of children in a clas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deep acting among the types of teachers’ emotional lab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surface act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social support, natural emotion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support, instrument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among overall social support and its subordinated factors, except informational support. Additionally, deep act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verall social support and all subordinate factors. Lastly, surface act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support, instrumental support, appraisal support among overall social support and its subordinate factors except informational support.;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 및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직무만족도 및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은 어떠한가? 1-1.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의 전반적인 양상은 어떠한가? 1-2.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은 개인적 변인(연령, 교직경력, 교육정도, 결혼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3.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은 기관적 변인(기관유형, 담당 유아연령, 학급 원아 수, 근무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지역 국공립ㆍ사립 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치원 교사 3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Brown(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정서노동 척도(Emotional Labor of Teaching Scale: ELTS)’를 연구자가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진화(2007)의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측정 도구’를 유치원 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박지원(1985)이 개발한 ‘간접적으로 지각한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최대값과 최소값,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t검정, 일원분산분석(ANOVA),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어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진 않았으나, 내면적 노력행위, 자연적 표출행위, 표면적 가장행위 순으로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별 차이에서는 기관유형과 근무시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국공립 유치원 교사가 사립 유치원 교사에 비해 내면적 노력행위를 더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1시간 30분 이상 근무하는 교사가 10시간 30분 이상 11시간 30분 미만 근무하는 교사보다 표면적 가장행위는 더 많이 하는 반면 내면적 노력행위는 더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적 변인인 연령, 경력, 교육정도, 결혼여부, 기관적 변인인 담당 유아연령, 학급 원아 수에 따라서는 정서노동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 유형 중 내면적 노력행위는 직무만족도와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표면적 가장행위는 직무만족도와 부적상관이 있었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서노동 중 자연적 표출행위는 사회적 지지 전체 및 하위요인 중 정보적 지지를 제외한 정서적 지지, 도구적 지지, 평가적 지지와 정적상관이 있었다. 내면적 노력행위는 사회적 지지 전체 및 모든 하위요인과 정적상관이 있었다. 표면적 가장행위는 사회적 지지 전체 및 하위요인 중 정보적 지지를 제외한 정서적 지지, 도구적 지지, 평가적 지지와 부적상관이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