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7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박세령-
dc.creator박세령-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0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98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7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989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학습모형을 활용한 생물다양성교육의 단계별 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유아가 갖는 경험을 고찰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학습모형을 활용한 생물다양성교육의 단계별 과정은 어떠한가? 2.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학습모형을 활용한 생물다양성교육에서 유아가 갖는 의미 있는 경험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대학 부속 영유아교육기관의 만 5세 종일제 두 학급에서 사례연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과정에 참여한 유아 38명과 담임교사 4명이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2011년 11월 11일부터 2012년 2월 16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총 50회의 참여관찰을 했다. 이와 함께 문서수집, 유아작품 수집, 교사·유아와의 비형식적인 면담, 현장기록, 오디오 녹음, 사진촬영 및 비디오 녹화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면담 전사본으로 기록하였다. 교육과정은 지속가능발전교육 학습모형의 단계에 따라 기록하였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의미있는 경험은 범주화 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학습모형을 활용한 생물다양성교육의 과정은 지속가능발전의 원칙과 원리가 반영된 총 여섯 단계의 모형에 따라 전개되었다. 문제발현 및 주제선정 단계, 문제인식 단계, 문제탐색 및 대안적용 단계, 경제·환경·사회계의 순환관계 이해 단계, 현황파악 및 해결책 제시 단계, 보전노력과 국제적 책임 인식 단계의 방향으로 전개되었는데, 각 단계는 병렬적으로 실행되었으며 각 교육내용의 출발점과 강조점은 유아의 흥미와 놀이전개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기존의 유아교육 교수전략과 교수원리를 그대로 적용하였고, 각 단계마다 생물다양성교육의 주요 내용 및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핵심주제들을 연계해갔다. 생물다양성교육의 주요내용으로는, 생물다양성의 가치와 관련하여 동물의 생존가치와 경제적 이용가치의 내용이 다루어졌고, 생물다양성 의미와 관련해서는 동물 생태계의존성, 동물종, 동물분류기준에 따른 생태계(서식처, 먹이)다양성, 동물종간 상호작용 등의 내용이 다루어졌으며, 생물다양성 보전과 관련해서는 동물과 생태계 간 상호의존성, 생태계 순환과정, 멸종동물종과 멸종위기동물종, 생물종 보호, 서식처 보호, 멸종이유, 사회적 노력과 홍보, 국제적 책임 등의 내용이 다루어졌다. 관련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핵심주제로는 안전, 건강과 식품, 문화다양성, 자연자원, 환경문제, 매체소양, 에너지, 기후변화, 식량생산, 지속가능한 마을, 국제적 책임 등이 활동의 맥락 안에서 부분적으로 연계되었다. 둘째,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학습모형을 활용한 생물다양성교육에서 유아가 갖는 의미 있는 경험은 정보수집, 홍보, 의사소통의 도구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기, 의사결정을 위해 다수의 의견과 다양한 관점 반영하기, 전체를 살피며 개인의 역할 찾아 수행하기, 지구적 관점에 기반한 주도적 실천과 공동의 변화 촉진하기 등으로 나타났다. 유아는 다양한 매체로써 책, 인터넷, 기관 내 방송, 리플릿, 포스터, 동영상, 공공사인, 게시판 등을 주도적으로 활용하였다. 의사결정과정에서는 더 많은 사람이 원하는 결정을 내리기 위해 투표, 다수결, 토의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고, 더 좋은 결정을 내리기 위해 다양한 관점을 수용적으로 반영했으며, 개인적으로 반대의견이나 딜레마가 있어도 집단의 결정에 순응하는 태도를 보였다. 또한 유아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동하면서 가위바위보, 제비뽑기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역할분담 하였고, 그 결과에 기반하여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찾았으며, 협동과정에서 역할이 중복되지 않도록 전체를 살피며 개인의 역할을 찾아 수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멸종위기동물을 위한 실천노력은 개인으로부터 가정, 기관, 지역사회, 세계로 확대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관찰된 유아의 자발적인 태도는 기관의 철학, 교사의 태도,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사전경험과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유아의 경험은 지속가능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역량과 부합되는 것으로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교육과정을 통해 발현되었다.;This study aims to analyze biodiversity education using ESD(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learning model in early childhood and to examine children's meaningful experiences during the process. To the end,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in the study. 1. What are the stages of the biodiversity education using ESD learning model in early childhood? 2. What are the meaningful experiences of the children in the biodiversity educ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a case study at two full day classes of 5-year-old children in the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in Seoul. The objects of the study were 38 students and 4 homeroom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he data required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1, 2011 to February 16, 2012 mainly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s(50 times). Other various methods were also used such as collection of documents and children's works, informal interview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child observation record, audio recording, picture taking, and video recording, etc. and interviews and recordings were transcribed. The education curriculum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six stages of ESD learning model and the children's meaningful experiences during the course were categoriz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cluded as follows. To begin with, the curriculum of biodiversity education using ESD learning model in early childhood was developed by the model of six stages with principl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 the stages are problem occurrence and subject selection, problem recognition, problem exploration and alternative application, understanding circulatory relations of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ectors, understanding current situations and providing solutions, and endeavors for preservation and recognition of international responsibilities. Each stage was implemented in parallel and the learning contents for the stage were considered depending on the children's interests and situations of their playing and learning developments. The existing teaching strategies and principles were also applied to the lessons and each stage of the biodiversity education was implemented with connections to the core subjects of ESD related to the biodiversity education. The major learning contents of biodiversity education were as follows : lessons about animal's existence values and their economic values were provided to the children for teaching the value of biodiversity, and lessons about animal's dependance on ecosystem, animal species, variety of ecosystem(habitat and food) based on the standard of animal classifi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animal species, etc. were given for the meaning of biodiversity, and for preservation of biodiversity, they had the lessons about interdependence between animal and ecosystem, cyclic process of ecosystem, species of extinct animal, endangered animal, protection of species, protection of habitat, reasons of animal extinct, social efforts and promotions, international responsibilities, etc. The core subjects of ESD were about safety, health and food, cultural variety, natural sources, environmental problems, media information, energy, climate change, food production, sustainable villages, international responsibilities, ect. and these were partly linked to the biodiversity education as learning activities. Secondly, the meaningful experiences of the children during biodiversity education using ESD learning model were specified as the actions such as collecting information, promotion, utilizing various communication media, reflecting others' opinions for decision making, performing their own roles in a group, leading actions and pursuing common goals, etc. The children proactively used various materials such as books, the internet, broadcasts, leaflets, posters, public signs, video clips, bulletinboards, etc. During the decision making process, they used votes or majority votes, and discussions for making the decisions that more people wanted, and accepted different perspectives for making better conclusions, and conformed to the group decision even though it was against their own opinions. In addition, children shared roles to reach the common goals by playing the rock-paper-scissors game or drawing lots, etc. and decided what they can do based on the game results. They carried out their own roles by checking if their roles were duplicated and thinking the whole group's performances. The practices and commitments to save the endangered animal expands from families to institutes, to local communities, and to the world. During the activity, it was revealed that the child's voluntary attitude was related to the philosophies of the education institutes, attitudes of teachers, and the previous experienc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experiences of the children are connected to the capacities to mak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se capacities are emerged through the curriculum ba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지속가능발전교육 6 1.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 6 2.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유아교육 9 B. 생물다양성교육 16 1. 생물다양성교육의 개념 16 2.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물다양성교육 21 Ⅲ. 연구 방법 25 A. 사례연구 25 B. 연구대상 26 1. 소망 연구원 26 2. 사랑반, 믿음반의 교사, 유아 27 C. 연구절차 28 D. 자료수집 32 E. 자료분석 33 Ⅳ. 연구결과 34 A.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학습모형을 활용한 생물다양성 교육의 단계별 과정 34 1. 문제발현 및 주제선정 단계 34 2. 문제인식 단계 36 3. 문제탐색 및 대안적용 단계 42 4. 경제·환경·사회계의 순환관계 이해 단계 54 5. 현황파악 및 해결책 제시 단계 63 6. 보전노력과 국제적 책임 인식 단계 69 B.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학습모형을 활용한 생물다양성 교육에서 유아가 갖는 의미 있는 경험 73 1. 정보수집, 홍보, 의사소통의 도구로 다양한 매체 활용 73 2. 의사결정을 위해 다수의 의견과 다양한 관점 반영 77 3. 전체를 살피며 개인의 역할 찾아 수행 83 4. 지구적 관점에 기반한 주도적 실천과 공동의 변화 촉진 86 Ⅴ. 논의 및 결론 91 A. 논의 91 B. 결론 및 제언 97 참고문헌 101 ABSTRACT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246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학습모형을 활용한 생물다양성교육의 과정과 의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rocess and meaning of biodiversity education using ESD(Education for sustain able development) learning model in early childhood-
dc.creator.othernamePark, Se Lyoung-
dc.format.pagevi, 11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