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1 Download: 0

한국의 장신구와 의류부자재에서의 니켈과 코발트 용출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의 장신구와 의류부자재에서의 니켈과 코발트 용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Nickel and Cobalt Release from Jewelry and Sewing Materials in Korea
Authors
정승현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혜영
Abstract
니켈은 접촉피부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니켈을 용출하는 장신구, 의류부자재 등과 반복적, 지속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니켈에 의한 접촉피부염을 일으킨다. 한국에서 니켈에 대한 첩포 검사 양성률은 다른 나라보다 거의 2배 정도 높으며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코발트는 니켈과 상호반응이 흔한 금속으로 한국에서 코발트에 대한 첩포검사 양성률은 높으며 니켈과 마찬가지로 서구에 비하여 양성률이 높다. 한국에서 니켈과 코발트의 감작률이 높은 이유는 이들이 포함된 금속제품의 빈번하고 지속적인 노출과 제품에서 용출되는 니켈과 코발트 양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한국의 금속 용출에 대한 현재 실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니켈과 코발트 감작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는 장신구, 의류부자재 중 다양한 제품을 선택하여 니켈과 코발트가 용출되는 제품의 빈도를 알아보고 일부 품목을 대상으로 니켈 용출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브랜드 장신구 (등록된 회사의 상품명을 가지고 있는 정품) 193개, 비브랜드 장신구 (생산업체를 알 수 없는 비교적 저가의 제품) 202개 및 의류부자재 76개가 포함된 총 471개의 제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제품 표면에서의 금속 용출 선별검사로 니켈은 dimethylglyoxime (DMG) 검사, 코발트는 cobalt spot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니켈 용출 정량 검사는 유럽의 표준 방법인 EN1811:1998을 이용하였다. 니켈의 경우 대상 제품 중 47.8%가 DMG 검사 양성이었으며 브랜드 장신구 중 12.4%, 비브랜드 장신구 중 70.8%, 의류부자재 중 76.3%가 양성이었다. 장신구를 품목별로 비교하면 헤어핀 (85.7%)과 벨트 (81.0%)가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 비브랜드 장신구 중 노점상에서 구입한 제품이 83.3%의 높은 양성률을 나타냈다. 니켈 용출 정량검사 결과 니켈 용출이 0.1 µg/cm2/week 미만에서 88.4 µg/cm2/week로 넓은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DMG 검사의 위양성률 10%, 위음성률은 20%이었다. 코발트의 경우 대상 제품 중 6.2%가 cobalt spot 검사 양성이었고 이 제품은 모두 DMG 검사에도 양성을 보였다. 품목별로 비교하면 벨트 (28.6%)와 헤어핀 (14.3%), 의류부자재 (14.5%)가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금속제품, 특히 비브랜드 장신구와 헤어핀, 벨트, 의류부자재에서 니켈과 코발트 용출이 많음을 확인하였다. 이 제품들은 어린 나이부터 반복적으로 피부에 장시간 접촉하여 니켈과 코발트 감작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따라서 금속 용출 규제 시 이 품목들에 대한 규제 및 철저한 감시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대규모 시장 조사를 바탕으로 장신구와 의류부자재에서의 니켈과 코발트 용출 빈도를 파악한 것으로, 이는 향 후 한국에서의 니켈과 코발트 용출에 대한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앞으로 시행될 예정에 있는 금속 용출에 대한 규제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기반이 되리라 기대된다. ;Nickel allergy is by far the most frequent contact allergy, and may develop following repeated or prolonged skin contact with metallic items that release nickel. In Korea, the prevalence of nickel allergy is nearly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other countries, and showed the sharp increasing trend. Main uses of cobalt are in the production of alloys. Contact allergy to cobalt is often associated with concomitant contact allergy to nickel and is also more common in Korea. The high prevalence of nickel and cobalt may be related to the frequent exposure from metallic items. The present aim was to study the prevalence of items that release nickel and cobalt on Korean market. We also conducted the quantitative study of nickel release from some items. Total 471 items including 193 brand jewelry (refined jewelry having brand name of registered companies in Korea), 202 non-brand jewelry (relatively cheap jewelry produced by unknown manufactures) and 76 sewing materials were included. To detect nickel and cobalt, we used dimethylglyoxime (DMG) test and cobalt spot test, respectively. For quantitative study of nickel release, EN1811:1998 which is European standard method was conducted. Nickel release was shown for 47.8% of 471 tested items. The result of DMG test showed the positive rate of 12.4% on brand jewelry, 70.8% on non-brand jewelry and 76.3% on sewing materials. Among the jewelry and accessories, hairpins (85.7%) and belts (81.0%) showed high DMG positive rat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rand jewelry and non-brand jewelry, and remarkably high DMG positive rate was shown in items of street vendors. The quantitative study of nickel release showed the various result from under 0.1 µg/cm2/week to 88.4 µg/cm2/week, and showed that the false positive and the false negative rate of DMG test were 10% and 20%, respectively. The result of cobalt spot test on 471 items showed the positive rate of 6.2%, and the remarkable point was that all cobalt spot test positive items were also positive to DMG test. Relatively high cobalt spot test positive rates were observed in specific items such as hairpins (14.3%), belts (14.3) and sewing materials (14.5%). Our study showed that the prevalence of items releasing nickel and cobalt among jewelry and sewing materials was much high in Korea, especially in non-brand jewelry, belts, hairpins and sewing materials. Considering that these items are used from the early ages and can directly contact the skin, they may be the main cause of nickel and cobalt sensitizaion. Therefore, close and regular monitoring should be conducted especially on these items in regulation of metal relea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nickel and cobalt release in jewelry and sewing materials through the first large-scale market survey. This will create a basis for future study on nickel and cobalt, and also for evaluation of the effect of the nickel regulation in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