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종우-
dc.contributor.author우정주-
dc.creator우정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5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1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6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103-
dc.description.abstract현재 세계의 각 교육계에서는 과학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키고 창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STEM 교육에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맞춰 우리나라에서는 과학·기술 분야의 창의적 융합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STEAM 교육(과학, 기술, 공학, 예술, 그리고 수학을 연계하여 가르치는 융합교육방식의 일종)을 강조하고 있는 실정이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하지만 여러 가지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중등교육 현장에는 STEAM 교육과 같은 창의성 교육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측면이 있다고 지적된다(김영철 외, 2006; 문용린 외, 2010). 그러므로 STEAM 교육을 중등교육 현장에 적용하는 문제에 대하여 조사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STEAM 교육의 현장적용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찾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접근방법으로는 질적 연구방식을 채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7명의 고등학교 교사들로, 각자 한 번씩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개개의 면담은 최소 30분에서 최대 120분이 소요되었고, 면담을 통한 모든 대화내용은 녹음되었다. 그들은 STEAM 교육의 적용으로 발생될 문제점을 지적하였고, 구체적인 활용방안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결론을 도출하는 방식으로는 두 가지 분석방법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는 먼저 귀납적 분석방법(J. Amos Hatch, 2008)에 기초하였고, 다음으로 교차사례 분석방법(이기순, 2009)을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교사들은 STEAM 교육의 취지와 교수방법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지만, 반면에 실제 적용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고수하였다. 어떤 교사들은 STEAM 교육이 기존에 이미 존재했던 방식이라 여겼고, 또 다른 이들은 STEAM 교육이 곧 사라질 유행에 지나지 않는다고 언급하였다. 둘째, 고등학교 교사들은 STEAM 교육의 문제점으로 교육과정상의 문제, 대학입시제도에 의한 문제, 정책과 현장 사이의 괴리에 따른 문제를 지적하였다. 또한 이에 덧붙여 교사의 업무 과중에 따른 문제, 교사의 의식부족에 따른 문제, 학생들의 전반적인 학습수준 하락에 따른 문제, 학생들의 희생이 되는 역효과에 의한 문제 등을 언급하였다. 셋째, 고등학교 교사들은 STEAM 교육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총 6가지를 제안하였다. 이들은 장기적인 계획과 철저한 준비를 통한 활용, 대학입시전형의 변화에 의한 활용, 초등학교부터 시작되는 연계 교육으로의 활용, 교육과정 밖에서의 활용, 융합과학 과목을 이용하는 활용, STEAM 교육을 강조하지 않는 활용 방안 등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STEAM 교육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진행되었는데, 앞으로도 이와 같은 기초연구가 더욱 많이 행해져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STEAM 교육의 후속연구로 STEAM 교육의 본래 취지에 맞는 심화연구가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들은 STEAM 교육에 대하여 비판적인 자세를 잃지 말고 끊임없는 수정과 보완의 과정을 거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Current educational communities around the world have concentrated on STEM education, for increasing the interest and improving creativity in science. Keeping pace with the current of the times, Korea has put great emphasis on STEAM education, a kind of a integrative teaching method among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school subjects for training the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in the fields of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However, in spite of various efforts, many people have pointed out that there are many obstructions to activation of teaching for improving creativity like STEAM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Kim Young-chol et al., 2006; Moon Yong-lin et al., 2010).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problems caused by applying STEAM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ccording to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problems resulting from applying STEAM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 and it's improvement plans by investigating the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toward STEAM Education. In this study,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dopted as approach. The participants for the research are 7 high school teachers, a representative group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Korea. A total of 7 participants had in-depth interviews once respectively. Each interview took at least half an hour and at most two, and all the conversations over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They pointed out problems caused by applying STEAM education and suggested concrete application methods of STEAM education. In this study, 2 analysis methods were used to draw a conclusion. Firstly based on the inductive analysis(J. Amos Hatch, 2008) and then on the cross-case analysis(Lee Ki-soon, 2009), the study could arrive at a meaningful conclusion as follows. The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7 high school teachers took a positive view of the aim and the teaching method of STEAM education, but stuck to negative position about it's application in practice. Some of them considered STEAM education as existing method already, and others mentioned that STEAM education is nothing but the vogue. Secondly, 7 high school teachers pointed out problems resulting from applying STEAM education, including the school curriculum, the national university entrance system and considerable gap between government's policy on education and the chalkface. In addition, they mentioned a variety of restrictions caused by teachers' heavy workload and lack of awareness of STEAM education, students' fall in academic standards and the opposite effect results in sacrifice of them. Thirdly, 7 high school teachers suggested 6 application methods of STEAM education. There are many solutions, including a method going through a long-term strategy & thorough preparation, a change of the national university entrance system, a phasein started from elementary school, informal application method (not in the school curriculum), using a subject such as convergence science, and going with the flow, which means that the government doesn't emphasize STEAM education. This research suggests further study as following. First of all, fundamental research on STEAM education like this study is to be done. In addition, not only basic research but also more thoughtful essays which meet the purposes of STEAM education are urgently needed. Finally, researchers have to undergo modifications and supplementations repeatedly and do a critical analysis of STEAM education now and for ev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 문제 3 C. 용어 정의 4 D.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6 A. STEM 교육 6 1. STEM 교육의 개념 6 2. 주요 국가들의 STEM 교육 현황 7 B. STEAM 교육 10 1. STEAM 교육의 개념 10 2. 한국의 STEAM 교육 현황 13 C. STEAM 교육의 인식에 관련된 선행연구 14 Ⅲ. 연구 방법 17 A. 연구 설계 17 B. 연구 대상 18 C. 자료 수집 및 분석 21 1. 연구자 21 2. 자료 수집 22 3. 자료 분석 25 4. 연구의 신뢰도 확보 29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31 A. STEAM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31 1. 긍정적 인식 31 2. 부정적 인식 33 3. 기타 인식 36 B. 중등학교 현장에서의 STEAM 교육 적용에 따른 문제점 38 1. 제도적 측면 38 2. 개인적 측면 49 C. STEAM 교육의 효율화 방안 59 1. 큰 변화를 통한 활용방안 59 2. 작은 변화를 통한 활용방안 66 Ⅴ. 결론 및 제언 72 A. 결론 72 B. 제언 74 참고문헌 76 부록 1 - 구희령 (2012, 9, 5). 중앙일보, 종합 12면 80 부록 2 - 신성미 (2012, 11, 19). 동아일보, 종합 8면 81 ABSTRACT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178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STEAM 교육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관련한 질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in STEAM Education-
dc.creator.othernameWoo, Jeong - joo-
dc.format.pageix,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