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4 Download: 0

한국과 독일의 지리교과서 내용분석

Title
한국과 독일의 지리교과서 내용분석
Other Titles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Geography textbook of Korea and Germany : Physical Geography chapter of the middle school level geography textbook
Authors
윤홍경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효현
Abstract
학생들이 지리수업에서 자연지리의 이해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학생들마다 자연지리와 관련된 매우 다양한 배경지식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교사가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있는 지리교과 학습내용을 학생들의 자연지리에 대한 지식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 지리교사들이 학생 개인의 지리적인 배경을 이해하면서 그에 맞추어 지리교육을 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오랜 전통의 지리학과 지리교육의 역사를 가진 독일의 중학교 지리교과서의 자연지리영역의 내용을 분석하여 독일 지리교육의 학습내용과 탐구활동을 연구하고 이를 기초로 우리나라의 중학교 자연지리교육이 독일로부터 받아들이고 수정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독일의 중학교 수준의 지리교육에서 첫째, 교수매체인 교과서를 발행하는 과정과 지리교육과정을 분석한다. 둘째, 교과서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지리교과서의 단원의 구성 및 전개방식을 파악한다. 셋째, 비교교육학적인 관점으로 자연지리와 관련된 단원의 학습내용 특징을 파악한다. 넷째, 자연지리를 학습하는데 도움이 되는 탐구활동을 분석하여 앞으로 교육 현장에서 지리교육에 반영될 수 있는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으로 첫째, 한국과 독일의 중학교 수준의 교과서 발행제도와 지리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둘째, 한국에서 2013년부터 사용될 2011년 개정교육과정을 반영한 중학교 사회1, 사회2 교과서와 이와 비슷한 계통적 방법의 주제-화제 중심의 구조로 단원을 구성하고 있는 독일의 라인란트팔츠주와 자를란트주(Rheinland-Pfalz und Saarland)에서 사용하는 교과서를 단원의 구성 및 전개방식, 학습내용, 탐구활동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중학교 지리교육목표는 사회의 지리적 환경과 지표 공간의 자연 및 인문환경에 대한 이해, 지리적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여 지리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점을 둔다. 지리적 개념과 원리를 통합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것으로 지식, 기능, 가치의 측면의 목표를 포괄적이고 통합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반면에 독일의 지리교육은 공간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인간과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과 친환경적인 태도를 함양하여 지리적인 역량을 갖추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친환경적인 태도나 지리적 역량을 강조한 부분과 같이 구체적으로 목표를 제시하고 있으며 스스로 공간지향적으로 지식을 재조직할 수 있도록 자료수집, 탐구방법, 의사소통, 평가 그리고 적용 및 실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한국과 독일의 교과서 모두 대단원은 계통적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대단원의 하위 영역에서 자연지리와 인문지리 영역의 주제를 세분화하여 다루고 있다. 단원의 학습내용은 자연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의 활동과 관련한 것을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은 중학교 수준의 지리영역 교과서의 상권에 자연지리와 인문지리의 내용이 같이 구성되어 있으나, 독일은 상권의 전체 대단원이 자연지리의 학습주제로만 구성되어 있다. 셋째, 한국과 독일의 중학교 수준의 지리영역 교과서의 학습내용을 자연지리의 학습주제인 '기후, 지형, 수문, 토양, 생물지리, 자연재해' 등 6가지로 분류하여 각 주제와 관련한 사례를 찾아서 분석하였다. 한국은 6가지 주제 가운데 수문과 토양을 다루는 부분이 없었던 것에 비해, 독일의 교과서는 6가지 주제를 상권의 자연지리 영역의 학습내용에 모두 포함시켜 다루고 있다. 두 국가의 교과서는 실생활과 관련된 사례중심으로 지리적인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지리적 현상을 중심으로 지식을 이해하는 학습내용이고 독일은 원리나 형성작용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문제를 파악하여 지식의 적용 및 확대를 유도하여 스스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넷째, 두 교과서의 탐구활동내용을 자연지리의 학습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한국과 독일의 탐구활동은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 이해와 사고능력을 점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국교과서의 탐구활동의 경우는 학습내용의 사실 확인을 하는 형성평가나 총괄평가 성격의 활동이 주를 이룬다. 반면 독일의 탐구활동은 지리적인 역량(geographical competence)을 발견하고 직접 지리현상을 연구하고 실험해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활동이 주를 이룬다. 그리고 독일은 자연환경에 대한 탐구능력을 향상시키거나 현실적인 문제 해결방안과 함께 자율적인 시도를 강조한 것 이외에도 탐구활동을 통하여 계통지리와 지역지리의 연계와 통합을 유도하고 있다. ;Students are having difficulty understanding physical geography during geography class, and each student has a distinct background knowledge on physical geography. Therefore, teachers have to take on the roles of connecting learning contents included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with the students' knowledge of physical geography. However, the current domestic educational settings make it difficult for geography teachers to understand each student's background of geographical knowledge and create the geography education to be suitable for each individual. Therefore, analysis was conducted on contents about physical geography of a geography textbook for a middle school in Germany, which is known for its history of traditional geography and geographical education, in order to research the learning contents and exploratory activities of geography education in Germany. Based on this, suggestions will be made on revisions that need to be made on the physical geography education of domestic middle schools according to the education system in Germany.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based on the geography education of Korean and German middle school levels. First, the publication process of textbooks, the instructional media, and geography educational course will be analyzed. Secondly, based on comprehension about textbooks and the educational curriculum, formation of units and expansion methods used in geography textbooks will be identified. Thirdly, characteristics of learning contents in each units related to physical geography will be identified from a comparative educational point of view. Fourthly, by analyzing exploratory activities which help in learning physical geography, improvements which can be applied on geographical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will be derived. In order to do so,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ublication system of middle school textbooks in Korea and Germany as well as the geographical educational curriculum. Secondly,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unit formation, expansion methods, learning contents, and exploratory activities of Korean middle school textbooks Social Studies 1 and Social Studies 2 which reflected on the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made in 2011 to be applied in 2013 with textbooks used in Rheinland-Pfalz and Saarland, Germany, which seems to construct units in the structure similar to the systematic method which was based on the theme-topic. The summarized results are listed as followed. First, the objective of geographical education in Korean middle schools are in order to enable students to understand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of the society as well as nature and human environment, and to assist students in acquiring geographical knowledge and functions to solve geographical problems. This is to develop abilities and attitudes that can generally cultivate geographical concepts and principles, and it describes goals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functions, and values in a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way. On the other hand, based on how Germany's geography education is focused on understanding of space, the objective is to cultivate a harmonious life and eco-friendly attitude between humans and the nature in order to equip geographical abilities. In the same way, just as parts in which eco-friendly attitudes or geographical competence were reinforced, the objective is being suggested in details, and in order for students to reorganize knowledge in space-oriented manner on their own, competencies which allow for data collection, exploratory methods, communication, evaluation, 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are being emphasized. Secondly, units of Korean and German textbooks are both formed through systematic methods, and themes from physical geography and human geography are subdivided and dealt with in the lower area of each unit. The learning contents of each units were formed of themes regarding human activities which take place in the natural environment. Middle school geography textbooks (Social Studies 1) in Korea are formed of contents about physical geography and human geography. Thus, the overall units of textbooks(TERRA2) in Germany are formed of learning themes about physical geography Thirdly, learning contents of middle school geography textbooks in Korea and Germany were divided into 6 areas of learning themes in physical geography such as climate, topography, hydrology, soil, bio-geography, and natural disasters, and cases related to each theme were searched for and identified. Compared to how Korean textbooks did not cover the hydrology and soil of the 6 themes, textbooks in Germany included all 6 themes in the learning contents of physical geography. The textbooks from both countries identified geographical phenomenon by focusing on cases related to real life. However, learning contents in our country's textbooks are understood based on geographical phenomena, but Germany identifies students' problems based on principles or application of formation and learning contents induce students to apply and expand their knowledge so that they can construct their own base of intelligence. Four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contents of exploratory activities in the two textbooks based on learning themes of physical geography, exploratory activities of Korea and Germany have been constructed in the manner where inspection can be made on systematic comprehension and thinking abilitie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s. In case of exploratory activities in Korean textbooks, activities are predominantly formed from formative assessment which confirms the learning contents or summative assessment. Meanwhile, exploratory activities in Germany are mainly activities that suggest methods which enable students to discover geographical competence and personally research about geographical phenomena and conduct experiments. Moreover, in addition to how Germany increased exploratory abilities about the natural environment or emphasized solutions measures to realistic problems and autonomous attempts, it has been inducing integration between systematic geography and regional geography through exploratory activ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