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성-
dc.contributor.author김지영-
dc.creator김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9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2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6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21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국어과 문법 영역 중 품사에 대한 중학생들의 오개념(misconception) 유형을 파악하고, 수업을 통한 해당 오개념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국어과는 언어를 바탕으로 한 교육이다. 언어는 인간만이 가지는 의사 전달의 수단으로써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에는 고유한 특성이 있으며, 언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언어의 문법을 이해해야 한다. 문법 중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은 품사로, 품사 체계와 기능에 대한 이해가 잘 이루어져야 문장구조를 분석하고 이해하기 쉽다. 이에 중학교 1학년 국어과 교육과정에는 품사 체계 분류와 기능 이해를 목표로 하는 품사 단원이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학생들은 국어 품사와 관련하여 기존에 알고 있던 선개념을 잘못 인지하거나 영어 품사와 혼동을 하기도 하고, 수업 전과 후의 개념을 혼동하면서 많은 오개념을 가지게 된다. 학습자들은 학습 이전에 이미 경험과 배경지식을 통해 다양한 지식을 쌓고 있으며, 이때 이 지식 중에 잘못된 개념을 그대로 인지하여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오개념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교사의 오개념 및 교과서의 오개념으로 인하여 학습자들의 오개념이 형성되기도 하며, 혹은 기존에 가지고 있던 오개념과 관련된 선개념들이 바르게 수정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품사 에 대한 오개념에 주목하여 오개념의 유형과 그 원인을 살피고자 하였다. 특히 국어과는 타 교과와는 달리 국어과만의 특수성이 띠는 과목이므로 오개념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오개념들은 수업을 통하여 혹은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수정되고, 변화되고, 올바르게 학습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연구를 설계하고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본고는 기존의 수학과와 과학과 등의 지식 교과 과목에서 활발히 연구되어 온 오개념과 관련된 연구 방법을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어과 특수성을 반영한 오개념 연구 방법으로 설문지와 면담법을 설계하여 학생들의 오개념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검토를 통해 얻은 사실들을 바탕으로, 본고의 연구의 범위를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다루는 국어과 오개념을 명확히 정의하기 위해 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오개념, 교육 전반 및 국어교육에서의 오개념, 그리고 품사와 관련된 오개념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국어 품사 단원을 통해 학생들이 드러내는 오개념을 연구하기 위하여 설문지와 수업분석, 면담법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두 번에 거쳐 실시되는데 1차 설문지는 학생들이 얼마만큼의 품사 개념을 알고 있는지, 선개념에서 오개념은 얼마나 나타나는지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품사 수업을 나가기 전에 자신들이 알고 있는 품사 개념에 대하여 대답하는 객관식 설문지를 선택하였다. 1차 설문지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높은 오답률을 보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품사 수업을 계획하였다. 총 3차시로 이루어진 수업에서는 평상시와 유사한 상황 요소를 만들어 실제 수업과 일치하게 진행하였으며, 학습자들에게 품사 개념 및 품사 분류 방법 등을 지도한 후에 2차 설문을 실시하였다. 2차 설문 역시 품사의 개념 지식과 관련된 것으로 구성하였다. 면담법은 선개념 설문과 오개념 설문 분석 결과 큰 차이를 보인 학생들을 각 반에서 두 명씩 선정하여 총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Ⅳ장에서는 학생들의 설문지와 수업 전사 분석, 면담법 분석 등을 통하여 학생들의 품사 관련 오개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1차 설문지에서의 결과와 2차 설문지에서의 결과가 확연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교사와의 수업에서 올바른 피드백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었음을 지적하였고, 학생들이 수업 이후에도 여전히 가지고 있는 품사 관련 오개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본고는 이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국어 품사에 대한 다양한 오개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중 관형사와 부사, 동사와 형용사 부분에서 가장 많은 오개념을 가지고 있고 어려워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또한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오개념들이 교사의 수업을 통해 조금씩 수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오개념의 수정과 보완은 수업 과정에서 표현된 교사의 피드백 화법의 영향이 컸다는 사실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과 문법 영역과 관련된 품사 부분에서 많은 오개념이 형성된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그 유형과 원인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오개념을 미리 파악하여 수업에서 적극적으로 수정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국어 문법 영역에서 오개념 관련 후속 연구의 활성화를 통해 체계적인 문법 교육의 기획과 실천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Korean language is the education based on language. Language is the method of communication that only human can have, and there is unique characteristics in that. To know certain language, we should understand the grammar of it. As part of speech is the basis of the grammar, it is essential that we understand the system and function of them first to analyze the sentence structure. So in the textbook of Korean for freshmen in middle school there is a chapter that has word class part for the purpose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system of parts of speech. In the course of that ,however, students misunderstand the concept of word class with their preconception and confuse word class of Korean with English’s, so they have misconception even after studying that. From this point, we will focus on the misconcep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word class. We used questionaries and interviews for the research since firstly these are ways used frequently in knowledge-based subjects such as mathematics and science regarding misconception study secondly we can reflect the distinctiveness of Korean. In chapter 2 we illuminated the notion of misconception and examined the reason why misconception is developed in constructivist view, in education, in education of Korean, and in studying word class As learners build up lots of knowledge through their own experiences before studying word class, mistaken concept related to word class in the process affects the formation of the misconception. Moreover, while proceeding the class, misconception can be built because of teachers and textbooks. On the contrar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wrongly established concept can be corrected during the class. Since having a specialty different from other subjects , Korean language need to reestablish the study of misconception in Korean. What we want to say in this study is that misconception which leaners have should be corrected by interacting with teachers in the lectures and that students have to be taught right. In chapter 3 we conducted the analysis of lectures, surveys, and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to show the misconception they actually have during the class of part of speech in school. The surveys were carried out in twice. The questionaries were multiple choice form aimed to find out how much the students know about the parts of speech, how much misconception is observed before the class. The result of first survey showed that high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 so we kept in mind this point when planning the actual class. The class was carried out three times and was similar to the usual. Students were taught conception of word class and the way to classify words. After that, second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interviews, we selected two students in each class who showed the biggest gap between surveys.(total interviewees were ten) In chapter 4, we made an analysis the misconception the students got by analyzing the result of surveys, class, and the interviews. Because the results of two surveys clearly show the difference, we see that the feedback from the teacher was right and we discussed the misconception remains after the class. This paper is designed to investigate what misconception about word class in Korean is form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how that is modified through the class. Of the word class of Korean, students have a great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notions of pre-noun, adverb, verb, and adjective. Of course this leads to misconception but we were able to know it can be corrected by interaction with teachers. The feedback from teachers is the main key to helping students understand parts of speech correctly. After checking in the rate of incorrect answer which is 81.6% in the first survey, we gave the lecture. Then the second survey subsequent to it shows the rate is noticeably low. Misconception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in other subjects. We also studied that in the section of grammar and word class in Korean.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we have to figure out the existing misconception in advance and try to rectify that in the cla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3 C. 연구의 범위 6 Ⅱ. 오개념 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 8 A. 교육 내용으로서의 오개념 8 B. 국어교육에서의 오개념 11 C. 품사 오개념의 발생 환경 15 Ⅲ. 연구 방법 및 연구 내용 17 A.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17 B. 연구 시기 및 연구 절차 19 C. 검사도구 19 1. 선개념 설문지의 구성 및 내용 19 2. 국어 수업 구성 및 내용 20 3. 오개념 설문지의 구성 및 내용 21 4. 면담법의 구성 및 내용 22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23 A. 결과 23 1. 선개념 설문지 분석 결과 23 2. 국어 수업 분석 결과 39 3. 오개념 설문지 분석 결과 66 4. 면담법의 분석 결과 84 B. 논의 105 Ⅴ. 결론 109 참고문헌 111 부록 1 선개념 설문지 113 부록 2 오개념 설문지 119 부록 3 수업 전사 자료 125 부록 4 인터뷰 내용 264 ABSTRACT 2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847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중학생의 국어 품사 오개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 research of middle school students, misconception parts of speech in Korean language-
dc.creator.othernameKim, Ji Young-
dc.format.pageix, 2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