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0 Download: 0

시 창작 교육 내용의 교과서 반영 양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Title
시 창작 교육 내용의 교과서 반영 양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Other Titles
The critical examination for the reflection of textbook aspect of the poem creation content of education : In 2007, around the revision first year of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and life korean language
Authors
원민희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how the poem creation content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urse of education was reflected in the textbook and to examine critically how to be realized in the learning activity of 23 kind authorized textbooks. And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poem creative activity which is efficient to the teacher and all students and suggest the plan of education that enters upon and considers the aspect of realization. Next is in 2007, the standard of accomplishment corresponding to 7 grade of the revision department of Korean course of education. [7-literature (2)] the whole emotion of the literary work and mood is grasped. [7-literature (4)] the lyrics is written based on the understanding about the relationship of the poetical language and everyday language. It was analyzed the development of the poem creation was divided into three aspects of the speaker, image, rhythm based on these two standards. The critical evaluation was based on the applicability of the lesson field and smoothness. The analyzed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t lots of the quantity of the poem creative activity in the center of speaker of 7 grade but there was lots of the activities grasping the tone of the speaker. As to this development, the activity and which becomes the order of the application in the theory mutually different 2 works was compared and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speaker it could divide into the activity checking the content, speaker, situation, and etc. by oneself. This work was the same as the things loaded on the textbook of the seventh textbook or the different publishing company, or could not deviate from the frame that it is the work where there is the existing recognition. So, as to the activity content, it was understood as the limit that there is no big difference. Also the activity that it thinks among the content of the activity was understood as the limit to be the activities which are easy to be excessive in the school hours. Second, there was not lots of the amount but the poem creative activity of the center of image acted the activity grasping the impression of the poetical language than the side, that is the technique, with the center. The learning activity of the center of image looked into 2 sides in the activity grasping the impression of the poetical language and understanding the poetic expression. There was lots of the activities grasping the impression of the poetical language in the textbook than the poetic expression. Thus, it looked at. The emotion was felt than the side which is the technique to the students and it focused. The most of poem creative activities understood and applies the image and gave the large-scale help. But there were the several activities to be difficult to utilize for the school hours. Third, the poem creative activity of the center of the prosody was made centering around the repetition of the sound. As to the number of activities and amount, it looked at to be the most abundant. There was the intention to intensify the awareness relating to the prosody of the poem in 7 grade. The poem creative activity was done through the activity of three types of the lyrics writing such as changing the lyrics of the popular song, changing the prose into the lyrics, writing the lyrics to utilize the visual material. However, it determined that popular song which the learners don't know well was loaded and it crossed each other with the adequacy aspect of the work.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students to create the poem. Therefore, the work presentation and creative activity fitted for the learner level should be made. In addition, rather than the content that the learner experiences through the poem creative activity is focused on the self-expression, the content of education has to be diversified. In 2007, according to the revised course of education, it was changed in the national textbook to the authorized textbook system. This means the diversification of the content of education. Therefore, the existing thing is not unconditional followed as to the work and this activity loaded on the textbook. It needs to diversify. In addition, the level of the learner is very various. Therefore, the degree of difficulty of the poem creative activity needs to be controlled in order to fit for the level of the learner. And a little, by stage activity that everyone can go easily to the creation to be kinder thinks as the inappropriate activity about 7 grade levels. In teaching and learning aspect, it should help and so that the students can realize to be not activity in which the poem creation is difficult firstly the triggering of motive should be done. Actually, there is the students who if it experiences the poem creation performance assessment, it is unable to write one letter and are vast. However, if the song lyrics was changed from its, it could look at to be very well without hesitation bitter. In this way, preferentially, it informs and that song is not different from the poem the synchronism has to be given. Thereafter, the practice which has been being used gradually as the difficult activity from the easy activity is played. If it is the case, the smoothness of teaching and learning will be able to be planned. The level of the students is by oneself determined. It will be able to become one method to create according to the group. In addition, it utilizes as the performance assessment not being the some of lesson. If it awakens than the result of the activity that process is important, the burden will be less felt. While the direction of the creation education doesn't emphasize the specialty, it should be realized that the creation process is more important than the result of the creation. The teacher evaluates the learner through the result of the creation or shouldn't give the burden. It is the share of the teacher to create the activity mood which awakens to the learners than the result of the creation and that process is important which it can try.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에 따른 ‘시 창작 교육내용’이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으며 23종 검정 교과서의 학습활동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효율적인 시 창작 활동은 어떠한 것인지 연구해보고 그 실현 양상을 고려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7학년에 해당하는 성취기준 ‘【7-문학(2)】문학 작품의 전체적인 정서와 분위기를 파악한다.’와 ‘【7-문학(4)】시어와 일상어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노랫말을 쓴다.’를 중심으로 시 창작을 ‘화자, 이미지, 운율’의 세 측면으로 나누어 각각을 중심으로 하는 시 창작 활동의 전개 양상을 분석해 보고 및 비판적 평가를 하였다. 비판적 평가는 수업 현장의 활용 가능성 및 수월성을 바탕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7학년의 화자 중심 시 창작 활동의 분량은 많지 않았지만 ‘화자의 어조’ 파악을 중심으로 하고 있었다. 그 전개 양상에 있어서는 화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론 제시 - 내용 이해 - 적용‘의 순서로 되어 있는 순차적 활동과, 서로 다른 두 작품을 비교해 보며 ’내용, 화자, 상황‘ 등을 스스로 파악하는 활동으로 나눌 수 있었다. 여기에 제시된 작품은 7차 교과서 혹은 다른 출판사의 교과서에 실린 것들과 똑같거나, 기존의 인지도 있는 작품이라는 틀을 벗어날 수 없었기에 활동 내용에 있어서도 큰 차이가 없다는 점이 한계점으로 파악되었으며, 활동의 내용 중 ‘생각해 보자.’, ‘짝과 함께 이야기 해 보자.’ 등의 발문으로 된 것들은 수업시간에 다루지 않고 지나치기 쉬운 활동들이라는 점 역시 한계점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이미지 중심의 시 창작 활동 역시 양이 많지는 않았지만 기법적인 측면보다 ‘시어의 느낌’을 파악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하고 있었다. 이미지 중심의 학습활동은 ‘시어의 느낌’을 파악하는 활동과 ‘시적 표현’을 이해하는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교과서에 시적 표현보다 시어의 느낌을 파악하는 활동이 더 많은 것으로 보아, 학생들에게 기법적인 측면보다는 정제된 시어를 통한 정서를 느끼는데 초점을 두었다고 볼 수 있었다. 대부분의 시 창작 활동은 이미지를 이해하고 적용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었으나, 몇몇 활동은 수업 시간에 활용하기 어려운 것도 있었다. 셋째, 운율 중심의 시 창작 활동은 ‘소리의 반복’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활동의 수와 양에 있어서도 가장 많은 것으로 파악되는 것으로 보아, 7학년에서 시의 운율과 관련된 인식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보였다. 대중가요의 노랫말 바꿔 쓰기, 산문을 노랫말로 바꿔 쓰기, 시각 자료를 활용하여 노랫말 쓰기의 세 가지 유형의 활동을 통해 시 창작 활동을 하고 있었으나, 대중가요의 경우, 학습자들이 잘 모르는 작품이 실려 있어서 작품의 적절성 측면에 어긋난다고 판단하였다.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이 창작이므로 학습자 수준에 맞는 작품 제시 및 창작 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시 창작 활동을 통해 학습자가 경험하는 내용을 ‘자기표현’에만 국한시키기보다, 교육 내용을 다양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국정 교과서에서 검정 교과서 체제로 바뀌었다. 이는 교육 내용의 다양화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교과서에 실리는 작품과 그 활동에 있어서 기존의 것을 무조건적으로 답습하지 말고, 다양화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학습자의 수준은 매우 다양하다. 그러므로 학습자의 수준에 맞도록 시 창작 활동의 난이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조금 더 친절하게 창작에 쉽게 다가 갈 수 있는 안내, 즉 단계별 활동이 7학년 수준에 적절한 활동이라고 생각한다. 교수-학습 측면에서도 시 창작이 어려운 활동이 아니라는 것을 학생들이 깨닫게 도와주고 그들의 동기 유발이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실제 시 창작 수행평가를 해 보면, 한 글자도 써 내려가지 못하고 막막해하는 학생들이 있지만, 그런 학생들에게 노래 가사를 바꾸어 보도록 하면 거리낌 없이 매우 잘 써 내려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렇듯 우선적으로 시와 노래가 다르지 않음을 알려주어 동기를 부여한 후, 삼행시 쓰기, 모방시 쓰기 등의 쉬운 활동부터 어려운 활동으로까지 점차적으로 써 나가는 연습을 한다면, 교수-학습의 수월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학생들의 수준을 스스로 판단하게 하여, 시 창작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은 모둠별로 창작을 권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순한 수업의 일부가 아닌, 수행평가로 활용한다면 학생들이 조금 더 열정적으로 참여할 것이며, 시 창작 활동의 결과보다는 과정이 중요함을 일깨워 준다면 이에 대한 부담을 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창작 교육의 방향은 전문성을 강조하지 않으면서, 창작의 결과보다는 과정이 중요함을 깨닫는 데 있다. 교사는 창작의 결과를 통해 학습자를 평가하거나 부담을 주어서는 안 된다. 학습자들에게 창작의 결과보다는 과정이 중요함을 일깨워 노력할 수 있는 활동 분위기를 조성해 주는 것이 교사의 몫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