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8 Download: 0

서사적 사고력 중심의 통합 교과형 논술 지도 방안 연구

Title
서사적 사고력 중심의 통합 교과형 논술 지도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ntergrated-Subject Statement Education Focused on Narrative Thinking Skills
Authors
최서영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소연
Abstract
The author found out a trend of recent integrated subject statement that gave offering of integrated literary works at liberal arts area. The literary works were used to be offering and to investigate learners' thinking skills as well as individuals' various points of view. The author examined connection between the literature and integrated subject statement. Not only the literature but also integrated subject statement had common factors of creativity, understanding and analysis, demonstration skills, and expressions: The author paid attention to 'narrative thinking skills' that was literary education factor including all of the things. The narrative thinking skills that could understand meant ability that someone could produce new context from his or her own point of view to reorganize things. The narrative thinking skill allowed learners to find out new values of objective events and/or phenomenon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 and to reorganize all of the events based on their interests. Learners could find out values of either events and/or phenomenon from their own points of view not by others but by themselves. Therefore, narrative thinking skill had statement education value that learners could ha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addition, narrative thinking skill allowed learners to develop variety of their values and points of view. Learners could have new values based on their own narrative thinking skill on objective phenomenon, so that they could accept objective facts in quite different way if they had different values and points of view. The integrated subject statement could test learners' points of view so that narrative thinking skill had statement education value. And, narrative thinking skill included creative thinking skill, inference, imagination, expressions and other integrated subject statement factors. Discovery of new values from objective phenomenon had relation with inference and imagination to find out problem solving of learners and to be related to creativity. The expression of all of the things in writing had relations with expression ability. The author thought that narrative thinking skill had the greatest statement education value, so that she suggested statement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development of narrative thinking skill. The author gave teaching-learning program by brain storming, thought combining, and discussion & communication to develop not only composite thinking skill but also narrative thinking skill. The author taught learners at the class of eight hours by using subject of 'Bakssijeon', 'Heosaengjeon' and 'Hesaeng's wife'. The subject was eight students in their ninth year at Seoul to consist of not only three boy students but also four girl students. The author was not concentrated on one kind of gender only to consider various kinds of discussions. In particular, the author gave statement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development of narrative thinking skill by Korean classic novels that mostly had short story to have good narrative. And, the Korean classic novels described a character's life and/or episode to let learners comprehend narrative easily. The Korean classic novels's contemporary continuously connected modern learners' lives to let the leaners discover significant subject for their lives. The findings were: First,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was effective to let learners make change of their attitudes toward the statement. Before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he learners had almost no knowledge on the statement or thought that the statement was a kind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However, after the process, the learners thought that the statement could help them describe their thinking toward various kinds of problems in reasonable way that could exist in their daily lives. Second, learners could develop causality by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he students said that they could complete a piece of the writing rather easily after reading writing after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hird, learners could develop creativity by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Fourth, learners could make change of cognition on Korean classic novels by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he learners thought that Korean classic novels had no relation with their lives to be an old story: However, they could talk modern lives by using Korean classic novels at the statement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discovered subject having close relation with their lives. The study gave implications: First, common factors of the literature and integrated subject statement were described. The author examined rating factors of integrated subject statement to describe that creativity, inference, imagination and expressions were common factors of both integrated subject statement and the literature, and that the abilities could include narrative thinking skill. Narrative thinking skill that learners could develop by the literature included creativity, inference, imagination and expressions to be common factors of the literature and integrated subject statement. Second, learners could develop narrative thinking skill by not only literary education but also integrated subject statement that had statement education value. The narrative thinking skill could give values to human experience to let learners have new values on specific phenomenon and/or event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 to have context again. The skill was significant to let learners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 by reorganizing phenomenon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 and to let learners express their own narrative thinking skill and have various kinds of points of view and values. As a result, the skill had relation with in-depth search for learners' experience as well as objective phenomenon and events to be valuable from point of view of statement education. Third, the author gave concrete teaching-learning program by using Korean classic novels. The statement teaching-learning strategy for development of narrative thinking skill included brainstorming, thought combining, and communication and discussions of which teaching-learning process made change of learners significantly. Fourth, Korean classic novels having narrativity were used to do teaching-learning to show expanded teaching to another literary genre. The author thought that Korean classic novels had plenty of narrativity despite short length to be good to let learners develop narrative thinking skill and to suggest statement teach-learning program using Korean classic novels and to do case study. As a result, modern novels, modern poems, classic poetry, essay and other literary genre could be also used to teach learners. Learners' statement ability development and/or changes of thinking skill could be tested not by short-term case study but by rather long-term findings: So, the author's short-term case study was not enough for discussions.;본 연구자는 최근의 통합 교과형 논술이 인문 영역 내에서의 통합이 주로 이루어지고 문학 작품을 제시문으로 출제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는 것에 주목했다. 문학 작품이 제시문으로 도입되면서 학습자의 다양한 사고력과 관점을 측정할 수 있는 여지가 커졌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는 문학과 통합 교과형 논술의 연결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논술에서 중요한 평가 항목들로는 창의력, 이해·분석력, 논증력, 표현력이 있다. 이를 길러줄 수 있는 문학교육의 요소로 본 연구자는 ‘서사적 사고력’에 주목하였다. 서사적 사고력은 ‘특정 사건이나 현상을 자신의 관점에서 재맥락화할 수 있는 능력’이다. 서사적 사고력은 인과성, 자기 주도성, 창의력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요소들은 각각 논술교육적 가치를 가진다. 고전소설을 활용한 논술 교수-학습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고전소설을 읽고 이해하며, 서사의 사건들을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만의 관점을 토대로 새로운 논제를 발견해 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인과성,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창의력이 발현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서사적 사고력을 문학교육이 가지는 가장 큰 논술교육적 가치라고 보고, 서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논술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브레인스토밍과 생각 뭉치기 활동, 토론과 대화의 과정을 통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재는 <박씨전>과 <허생전>, <허생의 처>로 총 8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 9학년 학생 일곱 명이었으며, 남학생 세 명과 여학생 네 명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박씨전>, <허생전> 및 <허생의 처> 등 세 편의 작품을 택한 이유는 첫째로 서사성의 두드러짐 때문이다. 고전소설은 대부분 단편 소설인 만큼 짧은 길이 안에 서사성이 함축되어 있다. 인물의 일대기 중심이거나 에피소드의 나열로 이루어지기에 9학년 수준의 학습자가 서사성을 파악하기 간편하다. 둘째로, 학습자들은 고전소설을 이해하고 자신의 삶에 끊임없이 연결하면서 현대 학습자의 삶에 유의미한 논제를 추출해낼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하였다. 셋째로,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고전소설을 학습자와 거리가 먼 이야기라고 여기는 것에 주목하여 고전소설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변화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교수-학습 과정은 학습자의 논술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 데에 효과적이었다. 논술을 대학 입시의 도구로만 생각했던 학습자들이 교수-학습 과정을 마친 후에는 논술은 생활 전반에서 찾아볼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합리적으로 서술하는 것이라는 인식을 정립하였다. 둘째, 본 교수-학습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인과성을 기를 수 있었다. 사전 검사에서는 타당한 근거를 들어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는 것을 버거워하던 학습자들이 본 교수-학습 과정을 거친 후에는 인과성이 높아진 근거를 들어 글을 작성해냈다. 셋째, 학습자의 창의력 및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이 신장되었다. 사전 검사에서 자신의 삶과 관련한 논제를 뽑아내거나, 새로운 근거 및 해결방안을 생각해내지 못한 학습자들이 관심사와 경험에 근거하여 논제를 뽑아내는 모습을 보였다. 객관적인 실체인 고전소설에 본인만의 관점을 투영하면서 창의력이 신장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고전소설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였다. 고전소설이라면 자신의 삶과는 관계없는 것이라고만 생각했던 학습자들이 본 교수-학습 과정을 통해 고전소설을 통해서도 얼마든지 현대의 삶을 이야기할 수 있으며 특히 자신의 생활과 밀접한 논제를 뽑아낼 수 있다는 것에 흥미를 보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얻어낸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과 통합 교과형 논술의 공통적 핵심 요소를 밝혔다. 통합 교과형 논술의 평가 요소를 살펴 창의력, 이해·분석력, 논증력, 표현력이 통합 교과형 논술에 중요한 요소이며 궁극적으로 이 능력들은 서사적 사고력으로 포괄된다는 것을 밝혔다. 둘째, 서사적 사고력이 문학교육은 물론이고 통합 교과형 논술을 통해서 기를 수 있는 핵심 능력이며, 논술교육적 가치가 있는 능력임을 밝혔다. 서사적 사고력은 학습자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특정 현상이나 사건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재맥락화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서사적 사고력 교육을 통해 학습자는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주체적으로 현상을 재구성해내면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기를 수 있으며, 창의력과 인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셋째, 고전소설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논술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서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논술 교수-학습 전략으로 브레인스토밍, 생각 뭉치기 활동, 대화 및 토론의 과정과 같은 전략을 채택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교수-학습 과정을 진행한 결과 학습자들에게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측정할 수 있었다. 넷째, 서사성이 뚜렷한 고전소설을 통해 논술 교수-학습 과정을 진행하였는데, 이를 통해 다른 문학 장르로의 확장 지도 가능성을 보였다. 본 연구자는 고전소설이 서사성이 두드러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학습자들이 서사적 사고력을 기르는 데에 적절하다고 판단, 고전소설을 활용한 논술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고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에 따라 다른 문학 장르로 확장 지도의 전망을 밝혔다. 다만, 논술 능력의 향상이나 사고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데에는 단기간의 사례 연구보다는 비교적 장기간의 연구 결과가 필요한데 연구자의 사정상 단기간의 사례 연구로 논의를 진행한 것은 제한점이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