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규-
dc.contributor.author전아원-
dc.creator전아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9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5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4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51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 읽기 교육에서 텍스트 수정 수행 당사자인 교사 역할에 주목하고, 포커스 그룹 연구 방법을 통하여 교사 간 점층적 토론을 거쳐 현장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텍스트 수정 안내서(어휘 상세화를 중심으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현장 교사를 위한 텍스트 수정 이론과 방법을 소개하는 안내서를 도출하는 것은 여러 가지 의미가 있는 작업이다. 우선, 수정된 텍스트를 제공받는 학습자 입장이 아닌, 텍스트 수정을 수행하는 한국어 교사에게 텍스트 수정 이론과 방법을 소개한 안내서가 도출된다면, 한 기관 안에서 가르치는 교사 간에 통일성 있는 읽기 자료 수정이 이루어지도록 도울 수 있으며 경력이 많은 한국어 교사에게는 전문성 함양, 경력이 없는 예비 교사에게는 기량 함양 차원 등 교사 재교육 차원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은 한국어 교사를 위한 텍스트 수정 안내서 개발을 위해 67명의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1~5차에 걸친 포커스 그룹 연구 총 참여자 26명의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텍스트 수정 양상과 텍스트 수정 안내서에 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설문 조사는 SPSS 18.0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교사들의 텍스트 수정 양상은 Excel에 기입하여 정리 분석하였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는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범주화 하였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한국어 읽기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기술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한국어 교사들의 텍스트 수정 이론과 방법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한국어 교사들의 실제 텍스트 수정 양상과 선호하는 수정 방법 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3. 한국어 교사들이 텍스트를 수정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 4. 어휘 수정을 중심으로 텍스트 수정 이론과 방법을 제공하는 안내서에 요구되는 사항은 무엇인가?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 한국어 교사들은 텍스트 수정 이론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는 경우가 많았고, 들어본 바 있다고 해도 구체적인 수정 방법에 대해서는 알지 못했다. ?모른다?고 응답한 경우와 ?들어본 적이 있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74.1%였으며 텍스트 수정과 이론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알고 있는 교사는 ?학습한 적이 있다?로 응답한 교사로 단순화와 상세화 모두 15% 내외에 불과해 텍스트 수정과 방법에 대한 낮은 인지 수준을 보였다. 설문 참여 교사의 대부분이 텍스트 수정이 어렵다고 응답하였고, 52명의 교사가 텍스트 수정 이론 교육과 안내서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결과, 한국어 교사들은 텍스트 수정을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현장 교사를 위한 텍스트 수정 이론과 그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들의 텍스트 수정 양상을 살펴 본 결과, 전반적으로 교사들의 수정 양상은 상이했다. 이는 교사들의 경험을 통한 주관적인 의견과 모어 화자의 직관에 의하여 이루어진 결과이다. 주어진 텍스트 안에서 중급 숙달도에 맞춰 수정해야겠다고 선택한 어휘는 대부분 일치한 양상을 띠었다. 하지만 중급 수준으로 수정하도록 요구하였는데 중급 어휘로 수정하지 않고 초급 어휘로 수정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다양한 수정 방법이 사용되지 않고 어휘를 대체하거나 삭제하는 단순화 방법에 치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후에 진행된 모임에서 교사들이 언급한 텍스트 수정의 목적인 어휘 학습을 돕지 못하는 방법으로 교사들이 기재한 텍스트 수정 목적과 실제 수행하는 방식에 모순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텍스트 수정과 안내서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을 포커스 그룹 방식을 통해 수렴한 결과, 1)텍스트 수정 이론 즉, 단순화와 상세화에 관한 인식이 부족하였으며, 2)텍스트 수정 이론과 방법을 학습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으며, 3)텍스트 수정 안내서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들이 정확히 인지하지 못했던 다양한 텍스트 수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많은 한국어 교사들이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설문 조사를 통해 텍스트 수정 이론 교육과 안내서의 필요성이 제기된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포커스 그룹 연구 참여를 통해 교사들은 텍스트 수정 이론과 텍스트 수정 방법을 알고 활용한다면 읽기 이해와 어휘 학습을 동시에 도울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게 되었다. 따라서 교사를 위한 쉽고, 예시가 적혀 있는 안내서의 도출로 인하여 교사에게는 또 하나의 전문성 함양에 도움을 주고 학습자에게는 이해 가능한, 흥미 있는, 실제성 있는 동시에 어휘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자료를 접할 기회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guidebook for text modification which is a process of modifying reading materials for foreign language learners. The focus for this study is the modifi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he guidebook is designed to help Korean language teachers. To make this guidebook more practical, teachers' opinions were collated from a questionnaire and several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his guidebook, which introduces theories and methods for text modification to Korean educators, is expected to help them become more consistent when modifying text, and be used in training for both experienced and potential teachers. From the questionnaire answered by 67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5 focus group interviews with 26 teachers, the present condition of text modification is identified and some suggestions about the guidebook were drawn. The questionnaire is statistically analysed by SPSS 18.0, teachers' text modification is arranged by Excel, and the result of the focus group interviews is categorised by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In chapter 5, we summarised the results, described the significance and limits of this research, and provided a proposal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teaching of Korean reading. Research topics of the thesis are as follows. How much are Korean teachers aware of the theories and methods about the text modification? How do teachers modify reading resources and what method is preferred by teachers? What is the purpose of text modification? What kind of content is required for the guidebook that provides the theories and methods focused on vocabulary modificatio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we found that theories and methods for text modification are not well known by teachers. Most teachers were unfamiliar with text modification theories. Even those who have heard about the theories do not know about these methods in detail. 74.1% of respondents answered 'I don't know' or 'I have heard' about text modification theories. Only the teachers who answered 'I have learnt' have some knowledge of text modification theories. The respondents who are aware of the concept of word simplification or word elaboration account for only 15% each. Most of the teachers stated that they had difficulty in text modification and 52 out of 67 teachers agreed that a guidebook for text modification is needed. Secondly, teachers modify texts in different ways. This is because they apply the text modification on the basis of their subjective opinion or intuition rather than specific criteria. When teachers are asked to modify the same text for intermediate level students, many of them chose the same vocabularies to be replaced by other ones. When it comes to the method of modification, teachers tend to rely on a word simplification method that substitutes a word for the other one or eliminates a word. Although the teachers explained that the main purpose of modification is to improve their students' vocabularies, the method that they actually use has proved that they are not particularly effective in achieving the goal. Thirdly, the focus group interviews have identified teachers' lack of knowledge about text modification theories such as word simplification and word elaboration. Teachers agreed that there is a necessity for a guidebook and training program for text modification theories and methods. The guidebook, containing various and specific text modification methods that most teachers were not aware of so far, is expected to be an indispensable tool for Korean teachers. The outcome of the questionnaire showed teachers agree on the need for a guidebook and training for text modification theories. Also, the focus group interviews made teachers realise that using text modification theories and methods could improve their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learning. Therefore, this practical guidebook is beneficial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since it helps teachers increase their expertise and give students an opportunity to access this interesting and practical resour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용어정의 3 1. 텍스트 수정 3 2. 텍스트 단순화 3 3. 텍스트 상세화 3 4. 포커스 그룹 4 C. 논문의 구성 4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5 A. 이론적 배경 5 1. 제2언어 습득과 입력 수정 5 2. 텍스트 수정 방법으로서의 단순화와 상세화 6 3. 읽기 텍스트와 어휘 습득 7 4.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포커스 그룹 8 B. 선행연구 고찰 9 1.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어휘 학습 9 2. 텍스트 수정 연구 10 가. 외국어 교육에서의 텍스트 수정 10 나. 한국어 교육에서의 텍스트 수정 11 3. 한국에서의 포커스 그룹 연구 13 C. 연구문제 14 1. 연구문제 14 Ⅲ. 연구방법 16 A. 사전연구 17 1. 텍스트 선정 기준 연구 17 2. 텍스트 수정 방법 연구 20 3. 텍스트 수정 양상 연구 28 4. 포커스 그룹 방법 연구 31 B. 연구설계 32 1. 설문지 32 2. 텍스트 수정 평가지 33 3. 텍스트 수정 자가 점검표 33 4. 텍스트 수정 안내서 가안 33 5. 포커스 그룹 토의 질문지 36 C. 연구절차 37 1. 참여자 선정 37 2. 1차 포커스 그룹 연구 40 3. 2차~5차 포커스 그룹 연구 42 D. 자료분석 방법 42 Ⅳ. 연구결과 45 A. 설문조사 결과 45 B. 포커스 그룹의 텍스트 수정 양상 55 C.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67 Ⅴ. 결론 및 제언 81 A. 연구결과의 요약 81 B.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83 C. 한국어 읽기 교육에 대한 시사점 84 참고문헌 86 부록 88 ABSTRACT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344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한국어 교사를 위한 읽기 텍스트 수정 안내서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어휘 상세화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text modification guidebook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Focused on word elaboration-
dc.creator.othernameChon, Ah Won-
dc.format.pagexii, 10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