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엄정애-
dc.contributor.author임예지-
dc.creator임예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2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4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27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실행연구를 통해 만 3세 유아에게 적합하면서도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실외놀이 운영방안을 찾아 이를 적용하고, 실행과정을 통한 유아, 교사의 변화 및 반응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육 현장에서의 실외놀이의 방향을 제시하는 한편, 교육적 효과를 높이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3세 유아를 위한 유치원 실외놀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무엇인가? 2. 만 3세 유아를 위한 유치원 실외놀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따른 유아, 교사의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실행연구로서 서울시에 위치한 대학부속유치원인 푸른유치원 내 만 3세 학급 잎새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이 학급 유아 20명과 교사 2명이다. 연구 기간은 2012년 3월 22일부터 5월 30일까지이다. 만 3세 유아를 위한 실외놀이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기존의 실외놀이 환경과 교육계획을 점검하고 문제점을 인식, 해결방안을 모색하였고, 체계적인 실외놀이 계획, 실외놀이환경 개선 및 유아의 발달을 지원할 수 있는 실외놀이 교육 활동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는 만 3세 유아의 실외놀이의 문제점 인식 및 해결 방안 모색,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2차 방안 모색, 2차 실행, 1, 2차 실행 평가 순으로 실시되었다. 이에 따른 결과를 알아보고자 실외놀이 시간의 유아 및 교사의 행동을 녹화, 녹음하고 전사하였으며, 이와 함께 연구자가 약기노트를 작성하여 현장노트를 만들고 이를 부호화, 범주화하여 연구 문제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일일교육계획안, 사진자료, 동료교사 면담, 보조교사 면담, 연구자 저널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에서의 만 3세 유아를 위한 실외놀이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고자 2010학년도와 2011학년도의 주간, 일일교육계획안을 분석하여 실외놀이 환경 및 실외놀이 시간에 이루어지는 놀이 및 교육활동을 점검하였다. 그 결과, 실외놀이는 실내자유선택활동에 비하여 계획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환경 구성 또한 1년 내내 거의 변화 없이 고정식 놀잇감만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1차 실행을 실시하게 되었다. 1차 실행에서는 체계적인 실외놀이 계획, 실외놀이 환경의 개선 및 만 3세 유아의 발달을 지원할 수 있는 교육활동을 계획, 실시하였다. 주간, 일일교육계획안 작성 시 실외놀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놀이 및 놀이방법, 교육목표, 준비물을 자세히 작성하였으며 실외놀이 환경을 유아의 흥미와 발달에 적합하도록 흥미영역별로 구성하였다. 또한 만 3세 유아의 발달을 지원하기 위하여 실외놀이 시 실시할 수 있는 교육활동을 조형 활동과 대근육 활동 중심으로 계획, 실시하였다. 1차 실행 결과 물리적 환경 개선과 구체적, 체계적인 실외놀이 계획은 만 3세 유아의 놀이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실외놀이 공간이 너무 넓어 유아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거나 교사의 놀이 지도가 어려운 영역이 있어 활성화를 위한 영역 이동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영역 구성에 있어서도 유아가 편안하게 놀이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였다. 또한 실외놀이 시 만나는 형들과의 관계가 유아의 놀이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다른 학급 유아들과의 관계 형성이 요구되었다. 2차 실행에서는 1차 실행에 이어 실외놀이 공간을 다양한 영역으로 구성하고 생활주제, 유아의 흥미와 발달을 고려하여 놀이 및 놀잇감을 교체하여 주되, 1차 실행의 평가를 반영하여 영역 배치 및 구성을 수정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만 3세 유아들이 실외놀이 시 만나는 형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동생 간 유대관계 형성 및 배려 증진을 위한 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둘째, 만 3세 유아를 위한 실외놀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따른 유아의 반응을 살펴보면 실외놀이에 대한 관심 증가 및 흥미 향상, 놀이의 다양화, 또래에 대한 관심 증가 및 친구관계 형성, 신체 발달 및 자신감 향상, 다른 학급 형들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등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실외놀이 및 실외놀이 공간에 대한 재인식, 실외놀이 시 교사의 역할 다양화, 만 3세 유아의 발달에 대한 이해 및 교육방법에 대한 인식 향상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만 3세 유아를 위한 물리적, 사회적 환경을 고려한 실외놀이의 효과적인 운영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한편, 구체적인 실외놀이 운영방안을 제시해 주었다는 의의를 지니는 연구이다. 본 연구가 현장의 교사들이 실외놀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To plan effective ways to kindergarten outdoor play for 3-year-old children,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educationally proper and meaningful outdoor play operations for children through action research and observe changes and reactions of children and teachers through applica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direction of outdoor play and improve an educational effect in the field. With such purposes, the research topics were set up as follows. 1. What are the effective ways to operate kindergarten outdoor play for 3-year-old children? 2. What are the reactions of children and teachers under effective management to kindergarten outdoor play for 3-year-old children? As an action research, this study was practiced for 20 children and 2 teachers of 3-year-olds' class, Ipsae Class, Pureun Kindergarten, attached to the university located at Seoul. The research term ranged from 22th, Mar. to 30th, May, 2012. For effective management of outdoor play for 3-year-old children, this research examined the current outdoor play environment and educational plan and searched for a solution for problems through systemic outdoor play planning with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educational activities to support children's development. In outdoor play for 3-year-old children,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process of problem recognition, solution searching, 1st action, 1st performance evaluation, 2nd operation searching, 2nd action, and 1st & 2nd performance evaluations in order. Futhermore, behaviors of children and teachers were videotaped, recorded and transcribed during outdoor play time. In addition, a brief field note was created and analyzed after encoding and categorization by the research topic. Also, daily educational plans, photographs, interview with teachers, interview with assistants and research journ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during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s below. First, in order to establish measures for activating outdoor play for 3-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it analyzed weekly & daily educational plans in 2010, 2011 and examined outdoor play environment and activities during outdoor playtime. As the result, compared with indoor free-choice activities, outdoor play planning was disorganized. As for composition of the environment, only fixed playing facilities were used almost without any change. To solve such a problem, the 1st action was conducted. In the 1st action, planning of systemic outdoor play, improvement of outdoor play environment and educational activities for supporting development of 3-year-old children, were planned and performed. As for the weekly an daily educational plans, detailed framing was done for kinds and methods of outdoor play, educational aims and preparatory materials with composition by interest area to create outdoor play environment appropriate for children's interest and development. Furthermore, in order to support 3-year-olds' development, during outdoor play time, educational activities were conducted focused on the art and gross-motor activities. As the result of the 1st action, it showed that improvemen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planning of the concrete and systemic outdoor play have a positive effect on activating play for 3-year-old children. However, the necessity of the interest area transfer was raised in that there's a range of outdoor play space unaccessible to children or causing teachers to have a difficulty in play guidance. As for composing the playing area, a change was required for children to play comfortably. In addition, as the relations with older children during outdoor play time had a great effect on children's play, it was required for them to form relations with children in other classes. In the 2nd action following the first, outdoor play space was organized into the various areas, play and toys were changed considering children's life theme, interest and development, and finally interest area arrangement and composition were corrected reflecting to the result of the 1st action's evaluation. Also, in order for 3-year-old children to consider older children positively when they meet during outdoor play time with higher intimacy, educational activities were conducted to form relationship between older-younger children and cultivate mutual considerations. Second, inspecting reactions of children to the effective operations of outdoor play for 3-year-old children, it resulted in interest increase in outdoor play, diversification of play, higher interest and building friendship with peers, physical development, confidence reinforcement and positive recognition on other class' older children. For teachers, it resulted in re-perception on outdoor play and play space, diversification of a role during outdoor play, understanding of 3-year-old children's development and raised recognition on the educational method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the effective operations of outdoor play considering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s for 3-year-old children and presents concrete management of outdoor play. It's expected for the research to be helpful for field teachers' effective operation of outdoor pla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연구자 배경 5 Ⅱ. 이론적 배경 8 A. 실외놀이 8 B. 만 3세 유아의 발달과 실외놀이 19 Ⅲ. 연구방법 23 A. 실행연구 23 B. 연구대상 24 C. 연구절차 28 D. 자료수집 및 분석 32 Ⅳ. 연구결과 34 A. 만 3세 유아를 위한 실외놀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 34 B. 만 3세 유아를 위한 실외놀이의 효과적인 운영에 따른 유아, 교사의 반응 76 Ⅴ. 논의 및 결론 95 A. 논의 95 B. 결론 및 제언 101 참고문헌 104 부록 110 ABSTRACT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541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만 3세 유아를 위한 유치원 실외놀이의 효과적인 운영에 대한 실행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ction Research on Effective Ways to Outdoor Play For Three-year-old Children-
dc.creator.othernameLim, Ye-ji-
dc.format.pageviii, 11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