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소연-
dc.contributor.author지제현-
dc.creator지제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8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5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3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545-
dc.description.abstract논술은 다 가치 사회의 의사소통 수단이자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으로서 중요한 교육적 가치를 가진다. 이를 인식하고 논술을 왜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공감대가 형성되었으나 왜 배워야 하는지에 대하여 알고 있는 학습자는 많지 않다. 대부분의 논술교육이 단기간에 높은 수준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다 보니 또 다른 주입식 교육으로 변질되어 쓰여진 텍스트, 즉 결과 중심의 논술교육이 이루어졌던 탓이다. 그러나 논술은 언어와 사고활동의 과정과 삶을 살아가는 태도로서 단계적이고 누적적으로 학습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적이면서도 실천 가능한 논술교육의 방향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지속적으로 활용 가능한 국어 교과서를 논술교육의 제재로 활용할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한다. 국어 교과서는 학습자에게 접근성이 가장 높은 교재일 뿐만 아니라 외적 체제는 물론 내적 체제에서도 학습자 중심의 교재이기 때문이다. 특히 중학생은 개인 중심적 글쓰기에서 사회적 글쓰기로 확대할 수 있는 시기이므로 논술교육에 매우 적합한 학년으로 판단해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교육의 방법뿐 아니라 내용 면에서도 학습자를 충분히 고려한 논술교육 방안을 설계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구성주의 학습 이론을 적용한 열린 논술교수·학습 과정을 설계한다. 또한 학습자로 하여금 논술을 생활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논술에 대해 학생들이 느끼는 심리적 거리를 좁히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논술로써 개인적인 문제를 공론화하는 경험과 자신이 쓴 논술문이 평가의 대상이 아니라 소통의 매개체임을 확인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도록 한다. 위의 논의를 바탕으로 Ⅱ장에서는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논술교육 방안으로 열린 논술교육 과정을 고안하였다. 학습자의 입장에서 국어 교과서를 논술의 출발점으로 삼아 삶 속에서 실천 가능한 학습으로 삼을 수 있도록 ‘열린’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국어 교과서의 제재와 더불어 학습자가 직접 쓴 글을 중심으로 활동집의 내용을 구성하고 열린 논술의 교수·학습 과정으로 설계하여 학습자가 구성의 주체로 참여하게 하였다. 교수·학습 방안은 첫째, 학습자의 관심주제를 동료학습자와 교사의 도움을 받아 논술로써 공론화하는 프로젝트 학습법, 둘째, 논술에 대한 개별적인 학습목표를 교사와 협의하여 설정하는 K-W-S-L기법, 셋째, 예비필자로서 읽기와 댓글달기로 하여 학습자의 주체성을 강조하고 학습자간 소통에 중점을 두었다. Ⅲ장에서는 7명의 학생들과 15차시 동안 완성한 열린 논술 교수·학습과정과 결과를 제시하였다. 준비단계에서는 교사가 국어 교과서 제재 4편과 생활국어 교과서의 제재 1편, 외부텍스트 1편을 선택하였다. 1단계에서는 학생들에게 본인이 현재 가장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에 대하여 자유 형식으로 글을 쓰게 하고 준비단계에서 교사가 선택한 제재와 함께 논술 교수·학습과정의 콘텐츠(내용)로 포함시켰다. 2단계에서는 예비필자로서 읽기와 댓글달기 활동을 통해 교과서 제재 및 학습활동, 외부텍스트를 학습하였다. 3단계에서는 학생들이 1단계에서 쓴 7편의 자유 글을 논평의 형식으로 퇴고하기 위하여 모둠활동을 실시하였다. 4단계에서는 모둠활동에서 협의한 방향에 맞게 퇴고한 글을 함께 읽고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단계에서 발생한 콘텐츠를 중심으로 학생 별 열린 논술 활동집을 완성하였다. Ⅳ장에서는 7개의 열린 논술 활동집과 사전·사후 인터뷰, 내부 관찰자로서 얻은 연구자의 관찰 자료를 중심으로 열린 논술 활동집이 학습자에게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의의를 논하였다. 그 결과 열린 논술 활동집이 학습자의 성별·성적·논술경험과는 무관하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공통된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학습자들의 논술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학습자들은 논술을 더 이상 형식적인 글쓰기가 아니라 자신의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친구들과 심도 깊은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과정으로 받아들였다. 둘째,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를 고취할 수 있었다. 학습자들은 자신의 열린 논술 활동집에 애착을 가지고 완성도를 높이고자 자발적인 학습을 진행하였다. 교과서에서 스스로 제재를 찾아 예비필자로서 읽고 삽입하거나 전문 필자의 글을 패러디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면서 국어 교과서를 활용하였다. 또한 개별 학습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열린 논술 활동집을 학습교재로 활용하고 자신의 인지체계에 맞게 순서를 재구성하는 등 적극적인 학습 태도를 보였다. 셋째, 국어 교과서에 대한 인식 변화를 볼 수 있었다. 교과서를 단지 시험의 대상으로 인식하던 학습자들이 자신의 글과 생각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주체적으로 학습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열린 논술 활동집의 경험이 논술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과서를 활용하는 주체가 비단 교사뿐 아니라 학습자 자신일 수 있다는 인식 전환을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본 연구에서 주장하는 ‘논술교육’의 효과는 단기간에 확인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많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하지만 열린 논술 교수·학습과정을 통해 자신의 삶과 밀접한 논술을 경험하고, 자신의 논술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국어 교과서를 경험한 학습자들은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학습에 임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열린 논술 교수·학습과정과 활동집을 ‘나의 것’으로 인식하고 애착을 가지는 태도가 학습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열린 논술 교수·학습과정을 통해 논술과 국어 교과서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이 변화하였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태도가 고취되었다는 점에서 지속적이고 실천 가능한 논술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As a valuable method of communication for the new society where many kinds of values coexist, and also as a process to solve usual problems in your life, Essay is very valuable for teaching. As a result, we formed a social consensus why we should teach Essay. Nevertheless, many students still do not know why they should learn Essay because it is the reality that Essay Education in Korea has focused on result-oriented and try to make a progress for a short time. However, Essay education must be learned sequentially and accumulatively.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continuous and achievable way of Essay education. For this, the investigator proposed a specific method to use Korean textbooks as a contents of essay education material. Korean textbooks is the easiest material to approach to students, and it is designed for learners-oriented material not only external format but also internal format. Especially, students in the 7th to 9th grade could expand self oriented writing to social writing which could be a basic step of Essay education. This is the reason why the investigator decided 9th graders as an object of study. Thus this study designed a teaching method of Essay which is considered learners sufficiently not only method but also contents of education. For this, the investigator designed a opened essay teaching-learning process based on constructivism in education. Also, this study tried to reduce a sense of distance that students feel about essay by offering some experience that self oriented problem is expanded as a social issue by essay process to learners. Students also could experience their essay written could be a way to communicate not a object to be evaluated. In this regards, the investigator designed an opened essay education process. This study adopted the concept of ‘opened’ because learners could regard this essay education as a first step of lifelong education. For contents of a collection of activities, this study used texts of Korean textbooks and writings that students wrote by themselves. The process that students composed and completed a collection of activities is where teaching-learning process is happened. Students could compose a collection of activities by using the three way; first, ‘the project learning method’ that students could their self oriented issues as a public opinion through essay process helping his or her teacher and co-learners; secondly, ‘K-W-S-L’ that students could make his or her own aims of the essay education; thirdly, ‘reading as a prep author’ and ‘writing a comment’ that focused on communication between co-learners and independence of learner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case tested group of 7 students in the 9th grade in Seoul. For preparation, the investigator chose 5 texts from Korean textbooks, 1 text from newspaper column. At the first step, learners wrote down what they concerned recently for a free writing and their writing also included as a contents of a collection of activities. At the second step, learners studied Korean textbooks by essay process as a teaching-learning method. At the third step, learners re-write their each writing that they wrote on the first step through group activities. At the fourth step, learners deeply communicat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learners’ perception of the Essay was changed. In other words, learners do not think essay as a perfunctory writing anymore. They was accepted essay as a progress of solving their problems connected with their own life, and a progress of communicating with other people deeply and truly. Secondly, learners was inculcated with attitude of self directed learning. They were attached to his or her own collection of activities, so they tried to make it better studying(composing) by themselves. Thirdly, the learners’ perception of Korean textbooks are also changed. They started to think a textbook as a useful material for their writing not a book for a only test. With all consideration, the opened essay education, by using an experience that learners compose their own collection of activities, resulted in the overall effects on stud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1 B. 선행 연구 4 1. 논술문에서 논술로 5 2.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논술교육 7 3. 학습자 중심 논술교육 10 4. 중학논술 13 C.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16 1. 연구대상 16 가. 국어 교과서 12종 검토 16 나. 9학년 20 2. 연구방법 21 Ⅱ.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학습자 중심 논술교육방안 설계 23 A. 정의 및 특성 23 B. 설계 25 1. 기본구성 25 2. 구성방법 27 가. 프로젝트 학습법 28 나. K-W-S-L기법 31 다. '예비필자로서 읽기'와 '댓글달기' 32 Ⅲ.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학습자 중심 논술교육의 실제 34 A. 열린 논술 활동집의 교수·학습 과정 34 1. 준비단계 : 활동집 내용 선택하기 35 2. 1단계 : 학습자의 관심 환기 및 확인을 위한 자유글쓰기 38 3. 2단계 : '예비필자로서 읽기'와 '댓글달기' 40 4. 3단계 : 모둠활동을 통한 자유 글 퇴고방향 설정하기 48 5. 4단계 : 고쳐 쓴 글로 소통하기 49 B.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적 활동집 사례 51 Ⅳ. 교수·학습 결과의 분석 및 의의 60 A. 논술에 대한 인식 변화 60 1. 문제-해결 과정으로 인식 61 2. 의사소통 과정으로 인식 71 B.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 73 1. 자발적인 교과서 활용 73 2. 패러디를 통한 수용 75 3. 열린 논술 활동집 활용 77 4. 순서 재구성 79 C. 국어 교과서에 대한 인식 변화 81 Ⅴ. 결론 86 참고문헌 91 부록 1. 열린 논술 활동집-학생1 95 부록 2. 열린 논술 활동집-학생2 100 부록 3. 열린 논술 활동집-학생3 105 부록 4. 열린 논술 활동집-학생4 110 부록 5. 열린 논술 활동집-학생5 114 부록 6. 열린 논술 활동집-학생6 119 부록 7. 열린 논술 활동집-학생7 123 ABSTRACT 1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3104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자기 주도 학습을 위한 과정 중심의 논술교육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9학년 교수·학습 사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ethod of Process-Oriented Essay Education for Self-Directed Learning : Focusing on Cases of Teaching-Learning for 9th Graders by Using Korean Textbooks-
dc.creator.othernameJi, Je Hyeon-
dc.format.pagexi, 12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