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용희-
dc.contributor.author지소현-
dc.creator지소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6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3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64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foundly understand full-day class children's imitation behaviors in the daily routine at kindergarten. The study analyzed the aspects and functions of the children's imitation behaviors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children's imitation behaviors with an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For that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aspects of children's imitation behaviors of Sarang class at Hanmaeum kindergarten? 2. What are the functions of children's imitation behaviors of Sarang class at Hanmaeum kindergarten? 3. What are the factors of influences of children's imitation behaviors of Sarang class at Hanmaeum kindergarten? The research was conducted at Sarang, in a full-day class of mixed-age both four-year-old children and five-year-old children at Hanmaeum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twenty children and two teachers. The data for this research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st, 2011 to October 10th, 2011, using 20 participating observations,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photographing, audio & video-tape recording, documentations, and survey from parents. The contents of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ere transcribed in field notes. Collected data were encoded, categorized, and analyzed as Bogdan and Bikein(2007)'s suggested.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pects of children's imitation behaviors in the Sarang class were presented via play, behavior, word and attitude. Children have led imitation behaviors when they selected play materials or did not have any idea on how to play, and this made them imitate onomatopoeia or slangs that were frequently used in their age. In addition, they imitated behaviors, facial expression, and emotional expressions from instructors or others in their age or emulated roles of certain people and the use of tools by others. Lastly, they imitated attitudes of instructors or peers. Second, the function of children's imitation behaviors in the Sarang class can be classified into the right function and dysfunction. As for right function of imitation behaviors, enhancement of learning capability, development of creativity, increase of self-regulation, creation of fellowship, and the formation of basic life habits were mainly presented. As for dysfunction, weakness of independence, diffusion of inappropriate imitation behaviors, habituation of negative words or behaviors, and psychological atrophy were mainly indicated. Third, peers, instructors, family members, mass media, daily experiences, and interest were presented as factors influencing on the children's imitation behaviors. Emulating others in longing for capability of peers or even between best friends were indicated in the imitation behaviors than other factors. Instructors imitated others on purpose to derive an interest from children, often emulating words or behaviors of family members or characters in the mass media. In addition, it was indicated that they imitated people or objects deriving an interest from children in daily lives. Imitation behaviors steadily shown in daily lives of children were observed, and the meaning and function that imitation entails for were reflected on via this study. Children's imitation behavior is an important element to understand what children are thinking since they reflect their life styles and thoughts. In addition, children can have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of various types of education via imitation and is positively influenced on their learning and development. Consideration has to be given on instructors that they have to guide children by assisting them to understand how imitation behavior has a special value and to follow an appropriate way of imitating. It is expected that a study of children's imitation behaviors in the Sarang class conveys an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children's imitation behaviors and a meaningful experience to children.;본 연구의 목적은 혼합연령 종일반 유아들의 모방행동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따라서 한마음유치원 사랑반 유아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행하는 모방행동의 양상과 기능 및 모방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한마음유치원 사랑반 유아들의 모방행동의 양상은 어떠한가? 2. 한마음유치원 사랑반 유아들이 행하는 모방의 기능은 무엇인가? 3. 한마음유치원 사랑반 유아들의 모방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한마음유치원 만 4, 5세 종일제 혼합연령 학급사랑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이 학급 유아 20명과 교사 2명이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0년 9월 1일부터 2010년 10월 1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총 20회 참여관찰, 형식적 · 비형식적 면담, 사진촬영, 비디오 촬영, 부모 설문지, 문서 수집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자는 현장약기와 녹음 및 녹화내용으로 현장기록과 전사본을 만들었으며, 사진, 분석메모, 연구 일기, 지도 그리기 등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Bogdan과 Biklein(2006)이 제시한 대로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랑반 유아들의 모방행동의 양상은 놀이, 말 행동, 태도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놀이 속에서 놀이감을 선택하거나 놀이 방법을 모를 때 친구의 놀이행동을 따라했으며, 또래가 사용하는 은어나 의성어와 같은 말을 따라했다. 또한 교사나 또래의 동작이나 감정 표현을 따라하거나 특정 인물의 역할이나 도구의 사용 방법과 같은 행동을 모방했다. 마지막으로 교사나 또래의 태도를 모방했다. 둘째, 사랑반 유아들의 모방행동의 기능은 순기능과 역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모방행동의 순기능으로는 학습 능력 신장, 창의성 발달, 자기조절력 향상, 유대감 형성, 기본생활습관 형성으로 나타났으며, 역기능으로는 주체성 약화, 부적합한 모방행동의 확산, 부정적인 말·행동의 습관화, 심리적 위축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랑반 유아들의 모방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또래, 교사, 가족, 대중매체, 일상경험, 흥미로 나타났다. 또래가 가진 능력을 동경하는 마음에서 모방을 하거나 단짝 친구 간에 더 많은 모방행동이 나타났다. 교사는 유아의 흥미를 끌기 위해 의도적인 방법으로 모방을 유도했으며, 유아는 가족구성원이나 대중매체에 등장하는 인물의 말이나 행동을 따라했다. 또한 일상에서의 경험이나 유아의 흥미를 끄는 사람이나 사물을 모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유아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끊임없이 일어나는 모방행동을 관찰하고 모방이 가지는 의미와 기능에 대해서 조명해 볼 수 있었다. 유아들의 모방행동은 유아들의 삶의 방식과 생각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유아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방법이 된다. 또한 유아들도 모방을 통해 다양한 교육적 경험을 할 수 있으며 발달과 학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교사는 유아의 모방행동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고 모방행동을 바르게 이끌어 줄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사랑반에서 이루어진 유아들의 모방행동에 대한 연구가 유아들의 모방행동에 대한 이해를 돕고, 유아에게 의미 있는 경험이 될 수 있도록 지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문제 4 C.연구자 4 II.이론적 배경 8 A.모방에 대한 이해 8 1.모방의 개념 8 2.모방이론 9 B.유아기 모방행동 12 1.모방의 기능 12 2.모방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15 III.연구방법 20 A.문화기술적 연구 방법 20 B.연구 대상 21 C.연구절차 32 IV.유아들의 모방행동의 양상 37 A.놀이 37 1.놀이감 선택 37 2.놀이 방법 40 B.말 43 1.은어 44 2.의성어 45 C.행동 47 1.동작 47 2.감정 표현 49 3.역할 재연 51 4.도구 사용 52 D.태도 55 V.유아들이 행하는 모방행동의 기능 58 A.순기능 58 1.학습 능력 신장 58 2.창의성 발달 63 3.자기조절력 향상 65 4.유대감 형성 68 5.기본생활습관 형성 70 B.역기능 72 1.주체성 약화 73 2.부적합한 모방행동의 확산 77 3.부정적인 말 행동의 습관화 79 4.심리적 위축 81 VI.모방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84 A.또래 84 B.교사 87 C.가족 89 D.대중매체 90 E.일상경험 93 F.흥미 96 VII.논의 및 결론 100 A.논의 100 B.결론 및 제언 106 참고문헌 110 부록 117 ABSTRACT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98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혼합연령 종일반 유아들의 모방행동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Ethnographic Study about Full-Day Class of Mixed-Age Children's Imitation Behaviors-
dc.creator.othernameJi, So Hyeon-
dc.format.pageix, 12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