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용희-
dc.contributor.author전우용-
dc.creator전우용-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5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3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50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5-year-old children's reading and writing in the daily routine at kindergarten, analyze profoundly the characteristic behavior which has appeared in reading and writing and investigate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The study analyzed the children's reading and writing type and the characteristic behavior which has appeared in reading and writing with an ethnographic method. For that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type of reading and writing in the daily routine at Haneul kindergarten? 2. What is the characteristic behavior which has appeared in reading and writing at Haneul kindergarten? The research was conducted at Gureum class, a time extension class of Haneul kindergarten, which is located in Seoul. Twenty-eight 5-year-old children and two teachers were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The data for this research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first, 2011 to October 11th, 2011, using 20 participating observations,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documentation, photographing, videotaping, audio recording and survey from parents. The contents of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ere transcribed in field notes. Collected data were encoded, categorized, and analyzed as Bogdan and Bikein(2007)'s suggested.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Gureum class children at Haneul kindergarten read and wrote to communicate or share information each other and express their own thought or feelings and so on. They read and wrote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s, get some information on daily routine and play in free-choice activities. They also read and wrote to participate in teacher-initiated activities. Second, Gureum class children simply imitated letters and kept each other in check while reading and writing. They shared each other's knowledge or information through letters. When children in Gureum class were in need of help, they helped each other in reading and writing letters. They also expressed self-confidence when they satisfied their own ability of reading and writing or felt glad at the result of reading and writing. They seemed under pressure when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al activities and play related to reading and writing. They also felt some pressure when somebody watched their reading and writing. Lastly, they interfered peers' reading and writing process although they weren't asked for help. The children in Gureum class have shown the reading and writing in free-choice activities as well as teacher-initiated group activities during their daily routine. It means that teachers need to suggest systematic reading and writing teaching method through playing and educate children actively. From the result of observing children‘s reading and writing during teacher-initiated group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children needed teachers' direct teaching though they obtained reading and writing skills naturally in playing. Therefore teachers should provide children abundant reading and writing opportunities naturally in their daily routine as well as teacher-initiated group activities. They should also try to develop creative and various teaching method applying the principle of Korean alphabet. Children in Guruem class have got educational experience about a written language through reading and writing. At the same time they expressed their own thought, intention, feelings through them. Teachers should try to understand children's thought and feelings by observing them carefully in daily routine. Teachers should make good use of understandings educationally.;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유아들의 유치원 하루 일과에서 나타나는 읽기ㆍ쓰기를 살펴보고 유아들의 읽기ㆍ쓰기에서 나타나는 행동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읽기ㆍ쓰기 교육과 관련된 교육적 시사점을 고찰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아들의 읽기ㆍ쓰기 유형과 읽기ㆍ쓰기에 나타나는 행동의 특성을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하늘유치원 만 5세 유아들의 하루 일과에서 나타나는 읽기ㆍ쓰기 유형은 어떠한가? 2. 하늘유치원 만 5세 유아들의 읽기ㆍ쓰기에서 나타나는 행동의 특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하늘유치원 만 5세 시간연장제 구름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유아 28명과 교사 2명이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1년 9월 1일부터 10월 11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총 20회의 참여관찰, 형식적ㆍ비형식적 면담, 문서수집, 사진 촬영, 비디오 촬영, 오디오 녹음, 부모설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자는 현장 약기와 녹음 및 녹화 내용으로 현장기록과 면담 전사본을 만들었다. 수집된 자료는 Bogdan과 Biklein(2007)이 제시한대로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늘유치원 구름반 유아들은 하루 일과를 지내는 동안 다른 사람과 서로 소통하거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 등을 표현하기 위해 글자를 읽거나 썼다. 자유선택활동시간 동안 유아들은 집단생활 속에서 자신과 타인을 구분하거나 하루 일과에 대한 정보를 얻는 과정에서, 흥미영역에서 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글자를 읽거나 쓰고 있었다. 더불어 유아들은 교사가 계획한 대ㆍ소집단 활동에 참여하며 글자를 읽고 쓰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하늘유치원 구름반 유아들은 읽기ㆍ쓰기를 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은 단순히 글자를 따라 쓰거나 또래의 읽기ㆍ쓰기 행동을 견제했고, 글자를 통해 알게 된 지식이나 정보를 서로 공유했다. 글자를 읽거나 쓰는 과정에서 도움이 필요한 경우 서로 도움을 주고받으며, 자신의 읽기ㆍ쓰기 능력이나 읽기ㆍ쓰기를 통해 얻게 된 결과물에 만족하는 경우 자신감을 표현했다. 읽기ㆍ쓰기 관련 교육활동이나 놀이에 참여하거나 다른 사람이 자신의 읽기ㆍ쓰기 행동을 지켜보는 것을 부담스러워 했고, 또래가 도움을 요청하지 않았는데도 또래의 읽기ㆍ쓰기 과정에 참견했다. 유아들은 유치원에서 지내는 하루 일과 동안 이루어지는 교사가 계획한 대ㆍ소집단활동시간 뿐만 아니라 자유선택활동시간에도 읽기ㆍ쓰기를 했다. 이는 교사가 유아들에게 놀이를 이용한 체계적인 읽기ㆍ쓰기 교육방법을 제시하며 적극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ㆍ소집단 교육활동시간 동안 이루어진 유아들의 읽기ㆍ쓰기를 관찰한 결과 유아들이 놀이 활동을 통해 읽기ㆍ쓰기를 자연스럽게 습득하기는 하지만 교사의 직접적인 교수 또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교사는 읽기ㆍ쓰기 교육을 계획할 때 유아들이 집단 활동뿐만 아니라 하루 일과 속에서 자연스럽게 글자를 읽거나 쓰는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풍부하게 제공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다양한 교육매체가 발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ㆍ소집단교육활동 시 교사가 사용하는 읽기ㆍ쓰기 지도 방법은 크게 변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교사는 한글의 원리를 반영한 창의적이고 다양한 교구 및 교재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구름반 유아들은 읽기ㆍ쓰기를 하면서 문자언어에 대한 교육적 경험을 하는 동시에 자신의 생각과 의도, 감정 등을 표현하고 있었다. 교사는 유아들이 하루 일과 속에 보이는 읽기ㆍ쓰기를 세심하게 관찰함으로써 유아의 생각과 감정을 파악하고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연구자 4 Ⅱ. 이론적 배경 9 A. 유아기 읽기ㆍ쓰기 9 1. 유아기 읽기ㆍ쓰기에 대한 관점 9 2. 유아기 읽기ㆍ쓰기의 개념과 발달단계 11 B. 유아기 읽기ㆍ쓰기 교육방법 16 1. 부호중심 언어교육접근법 16 2. 총체적 언어교육접근법 17 3. 균형적 언어교육접근법 19 C. 유아기 읽기ㆍ쓰기 관련 선행연구 21 Ⅲ. 연구방법 26 A. 문화기술적 연구방법 26 B. 연구 대상 27 C. 연구 절차 38 Ⅳ. 만 5세 유아들의 읽기ㆍ쓰기 유형 43 A. 자유선택활동시간의 유아들의 읽기ㆍ쓰기 43 1. 집단생활에 필요한 읽기ㆍ쓰기 43 2. 흥미영역에서의 읽기ㆍ쓰기 47 B. 대ㆍ소집단활동시간의 유아들의 읽기ㆍ쓰기 63 1. 대집단활동시간 유아들의 읽기ㆍ쓰기 63 2. 소집단활동시간 유아들의 읽기ㆍ쓰기 70 Ⅴ. 만 5세 유아들의 읽기ㆍ쓰기에서 나타나는 행동의 특성 75 A. 따라 쓰기 75 B. 견제하기 78 C. 공유하기 81 D. 도움 주고받기 84 E. 자신감 표현하기 87 F. 부담감 표현하기 89 G. 참견하기 94 Ⅵ. 논의 및 결론 98 A. 논의 98 B. 결론 및 제언 104 참고문헌 107 부록 112 ABSTRACT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177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하늘유치원 만 5세아의 읽기·쓰기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Ethnographic Study about 5-Year-Old Children's Reading and Writing at Haneul Kindergarten-
dc.creator.othernameJeun, Woo-yong-
dc.format.pagevii, 11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